728x90

서울시 지방문화재 56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2023.01.17)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2023.01.17) 요약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에 있는, 1923년 미국인 기업가 앨버트 테일러가 건립한 서양식 주택이다. 지하 1층과 지상 2층 규모의 붉은 벽돌 건물로, 별칭인 '딜쿠샤'는 '기쁜 마음의 궁전'이라는 뜻이다. 1920년대 서양식 주택의 평면과 구조가 서울의 지형과 기술에 맞추어 이식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복원공사를 거쳐 2021년 역사전시관으로 개관하였다. 2017년 8월 8일 국가등록문화재 제687호로 지정되었다.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촌동에 있는 1923년 미국인 기업가 앨버트 테일러가 건립한 서양식 주택. 건립 경위 이 주택의 정초석에는 큰 글씨로 ‘DILKUSHA 1923’이라고 쓰여 있어서 이 주택의 ..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2023.01.17)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2023.01.17) 요약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은 1936년부터 1941년까지 작곡가 홍난파 선생이 살았던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파동에 있는 서양풍 벽돌조 건물이다. 크게 보면 이 주택은 비슷한 시기에 유행했던 문화주택의 범주에 속하지만, 그보다 서양풍에 더욱 가깝다. 1930년 이래 계단과 경사지를 사용한 서양풍 주택의 공간 활용이 그 이후에 지어지는 도시 단독주택의 선례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004년 9월 4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파동에 있는 서양식 근대 건축물. 건립 경위 이 일대는 서울 성곽이 서대문에서 서북쪽으로 올라가는 선상에 놓이며 동쪽으로는 경희궁의 궁장에 접하고 있었다. 1930년에 독일인 선교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서울 황학정 (2022.12.02)

서울 황학정 (2022.12.02)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활쏘기 연습을 위한 누정. 정자.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내용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정자는 1898년 어명에 의하여 경희궁의 회상전(會祥殿) 북쪽 궁장(宮墻) 가까이에 꾸며졌던 궁술연습을 위한 사정(射亭)이다. 1922년 일본사람들이 경성중학교(京城中學校)를 짓기 위하여 경희궁을 헐 때,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한말에는 도성 안 서쪽에 다섯 군데의 사정이 있어서 이것을 ‘서촌오사정(西村五射亭)’이라 하였다. 옥동(玉洞)의 등룡정(登龍亭), 삼청동의 운룡정(雲龍亭), 사직동의 대송정(大松亭), 누상동의 풍소정(風嘯亭), 필운동(弼雲洞)의 등과정(登科..

서울 우정총국 (2022.11.02)

서울 우정총국 (2022.11.02) 정의 조선 말기 우체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 내용 1884년(고종 21) 3월 27일에 설치되고, 3월 28일 책임자로 홍영식(洪英植)이 임명되어 법령을 마련하는 등 개국 준비를 하였다. 그 해 10월 1일 처음으로 우체 업무를 시작하였다. 직제는 총판(總辦)·방판(幇辦) 각 1인과 그 아래에 3과 15부를 두었다. 3과는 규획과(規劃課)·발착과·계산과였다. 1884년 5월에 일본인 실무자 2명을 고용하였다. 중앙에 우정총국을 두고 각 지방에 우정분국(실제로 인천에 인천분국을 설치하였다.)과 우정수취소(郵征受取所)·우초매하소(郵鈔賣下所)를 설치하도록 계획되었다. 우정총국 청사는 전동(典洞)에 있었다. 독립기구로 설치되었으며, 다른 관청과의 관계는 알 수 없다. 188..

서울 광통관 (2022.08.24)

서울 광통관 (2022.08.24)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물. 2002년 3월 5일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02년 3월 5일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우리은행에서 소유, 관리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점포의 하나이며, 우리은행 종로지점으로 쓰인다. 2층 양옥의 근대적 건물로 1908년 2월에 착공하여 1909년 5월에 준공하였다. 대한제국 때 탁지부(度支部) 건축소에서 세운 이 건물은 민족자본 계열의 천일은행(天一銀行)과 어음조합의 사무소, 일본 상공인들의 집회소 등으로 사용되었다. 가까운 곳에 광통교(廣通橋:廣橋)가 있어 광통관이라고 불렀다. 벽돌과 석재를 혼합하여 사용한 이 건물은 이오니아 양식의 벽기둥이 전면에 배치되고, 건물 양 날개 부분에 바..

서울 경교장 (2022.06.02)

서울 경교장 (2022.06.02) 정의 백범 김구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사용했던 석조마감 건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에 위치한 개인 사저 겸 집무실. 사적. 개설 2005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경교장은 최창학(崔昌學) 소유의 별장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金九)가 1945년 11월 중국에서 귀국한 이후부터 1949년 생애를 마칠 때까지 생활하던 사저 겸 집무실이었다. 당시 그 일대의 명칭이 다케조에마치[죽첨정(竹添町)]여서 건물 이름을 ‘죽첨장(竹添莊)’이라 하였으나 김구가 경교장이라 개명하였으며, 정치 활동이 본격화되자 ‘서대문 경교장’이라 불렀다. 서울 광화문에서 서대문 사이에 있던 동양극장 건너편, 지금의 종로구 새문안로에 있는 강북삼성병원(구 고려병원) 자리에 위치해 ..

서울 효사정 (2021.06.24)​

서울 효사정 (2021.06.24)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의 한강변 언덕에 있는 정자이다. 효사정(孝思亭)은 조선 세종 때 한성부윤과 우의정을 지낸 공숙공(恭肅公) 노한(盧閈 1376~1443)의 별서(別墅)였다. 노한은 모친이 돌아가시자 3년간 시묘를 했던 자리(지금의 노량진 한강변)에 정자를 짓고 때때로 올라가 모친을 그리워했으며, 멀리 북쪽을 바라보면서 개성에 묘를 쓴 아버지를 추모했다 한다. 효사정이라는 이름은 노한과 동서지간이었던 이조판서 강석덕(姜碩德)이 붙였고, 그의 아들 강희맹(姜希孟)은 효사정기(孝思亭記)를 남겼는데 강희맹의 이 기문(記文)은 제10권 금천현 누정조에 기록되어 있다. 정인지(鄭麟趾), 서거정(徐居正), 신숙주(申叔舟), 김수온(金守溫) 등 조선 초기의 학자와 문신들도..

서울 양천고성지. 소악루 (2021.06.06)

서울 양천고성지. 소악루 (2021.06.06) 정의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의 성곽터. 사적. 내용 성황산(城隍山)이라고 불리는 해발 74m의 성산(城山)에 쌓은 성으로,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에는 이미 폐허가 되었다. 곧『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양천현의 진산(鎭山)은 성산인데, 읍치(邑治)의 북쪽에 바로 붙어 있으며, 둘레가 726척으로 돌로 쌓은 옛 성이 있었다고 하였다. 성산은 사방이 평야여서 제법 우뚝 솟아 보이는 요충지이다. 성곽은 산 정상부를 두른 테뫼식 산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성벽은 둘레가 약 330m인데, 북쪽으로 한강에 닿는 부분은 매우 험준하다. 산 정상부는 일본군이 훼손한 뒤에도 계속 군용(軍用)시설이 들어서 상당히 훼손되었다. 현재 성..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 (2021.06.04)

풍산심씨 문정공파 묘역 (2021.06.04) 정의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심정과 자손들의 묘역.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지정 면적 2,584㎡. 1991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되었다. 풍산 심씨 종친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개화산 동쪽 기슭으로 방화삼거리에서 약사사로 오르는 산책로를 따라 올라가다가 우측으로 심정과 그의 자손 심사손(沈思遜), 심사순(沈思順) 및 손자인 청백리 심수경(沈守慶) 등 풍산 심씨 가문 분묘가 약 50여 기 있다. 이 중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이들 4인 분묘와 그에 딸린 묘비·상석 등 석물이 문화재로 지정, 보호받고 있다. 이곳 풍산 심씨 묘역 일대는 심씨 집성촌으로 심씨마을이라고 불렸다. 한편, 이곳은 능골·능리라 하여 고려 때의 왕릉지와 인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