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울시 지방문화재 56

낙성대 (2020.11.03)

낙성대 (2020.11.03) 정의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고려전기 무신 강감찬의 사당. 시도유형문화재(낙성대삼층석탑). 내용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197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감찬의 출생지로서, 그가 출생할 때 별이 떨어졌다고 하여 낙성대라는 이름으로 전하여오고 있다. 강감찬의 애국충정을 기리고자 서울시에서는 1973년에서 1974년까지 2년간에 걸쳐서 이곳을 정화하면서 사괴석(四塊石)으로 409m의 담장을 쌓고 사당 안국사(安國祠)를 지었는데, 이것이 곧 낙성대이다. 안국사는 외삼문인 맞배지붕의 안국문(安國門)을 거쳐 내삼문 안에 건축되었는데, 사당 안에는 장군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한편, 1974년 6월 10일 안국사가 완공되자 서울시에서는 그 날짜로 공원..

구 벨기에 영사관 (2020.11.03)​

구 벨기에 영사관 (2020.11.03) ​ 정의 대한제국기 건립된 고전주의 양식의 벽돌조 건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에 위치한 벨기에영사관 건물. 미술관. 사적. 개설 서양의 고전주의(古典主義) 양식 건축물로 지어진 대한제국 때의 벨기에 영사관 건물이다. 1977년 사적으로 지정되어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분관으로 관리·운영되고 있다. 역사적 변천 1900년에 입경한 벨기에 전권위원인 뱅카르(Leon Vincart, 方葛)가 총영사로 시무하면서부터 1902년 6월 현재의 회현동 2가에 영사관 터를 마련하였다. 1903년에 착공하여 1905년에 준공되었으며, 시공은 일본 호쿠리쿠 토목회사(北陸土木會社)가, 설계는 고타마(小玉)가 하였다. 1919년 벨기에 영사관을 충무로로 옮긴 다음 이 건물은 일본 요코..

방학동 은행나무 (2020.10.15)

방학동 은행나무 (2020.10.15)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수령 약 550년의 은행나무. 개설 은행나무는 공손수(公孫樹)·행자목(杏子木)이라 하며 잎의 모양이 오리발을 닮았다 하여 압각수(鴨脚樹)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으로 현재 저장 성[浙江省]에 약간 자생하고 있으며 한국·일본의 고산·고원 지대를 제외한 온대에 분포한다. 방학동 은행나무는 서울특별시 보호수 제1호로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이다. 은행나무 앞에 서울 연산군 묘가 마주하고 있다. 형태 방학동 은행나무는 높이 25m, 둘레 10.7m이다. 풍치목(風致木)으로 모습이 매우 고상하고 아름답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방학동 은행나무는 예부터 많은 사람들이 신성시하여 많은 일화가 전하고 있다. 명성 황후가 임오군란을..

구 서울역사(舊서울驛舍) (2020.09.24)

구 서울역사(舊서울驛舍) (2020.09.24) 정의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절충주의 양식의 벽돌조 건물로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하고 있는 철도역사건물. 사적. 내용 사적 제284호. 지하 1층, 지상 2층의 돌·벽돌 혼합 조적조(組績造) 건물이다. 1922년 6월에 짓기 시작하여 1925년 9월에 준공하였다. 설계는 일본인 츠카모토 야스시[塚本靖]가 하였다고 전한다. 건물은 서양에서 18세기 이래 유행하였던 절충주의 양식을 따랐다.제국주의 침략 세력의 상징으로 건립된 건물은 대체로 국적이 없는 절충주의 양식을 보이는데, 서울역사도 일제가 조선과 대륙 침략의 발판으로 세운 건물이므로 절충주의 양식을 갖추었다. 곧 역사는 근대 이후 산업화와 철도의 발달에 의해서 건립되었지만, 옛 건물인 궁전이나 교회 건물의 ..

서울 문묘와 성균관 (2020.09.18)

서울 문묘와 성균관 (2020.09.18) 정의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 내에 있는 조선시대 공자와 중국·우리나라 유학자를 모신 문묘. 성균관건물. 사적. 개설 사적 제143호. 서울 문묘와 성균관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기관이자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의 훌륭한 유학자들의 신위를 봉안하고 제사지내는 곳이다. 일반적으로는 서울 문묘 또는 성균관으로 통칭하여 불린다. 역사적 변천 서울 문묘와 성균관은 1398년(태조 7)에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 규모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비롯하여 96칸에 달하였다. 그러나 1400년(정종 2) 화재로 소실되어 1409년(태종 9)에 중건하였다. 이후 전사청, 향관청(享官廳), 장서각 등 여러 건물들을 더 세웠지만 임진왜란 때 전사청을 제외한 대부분의 ..

대원군 별장(석파랑,석파정 별당,흥선대원군 별장) (2020.09.08)

대원군 별장(석파랑,석파정 별당,흥선대원군 별장) (2020.09.08)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 흥선대원군 관련 건물. 별당.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이 건물은 본래 종로구 부암동 16번지 1호에 있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별장에 딸린 별당(別堂)으로서 정자인 석파정(石坡亭)과 같이 있었다. 1958년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 ; 1903~1981)이 집을 지으면서 뒤쪽 바위 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것이다. 소전은 서예가로 활발하게 활동한 인물인데, 일본으로 반출된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를 다시 찾아오기도 했다. 평면은 ㄱ자형으로 전면에 퇴(退)를 둘렀는데, 중앙 대청 앞쪽만 제외하고 난간을 둘렀다. 지붕틀은 3량(三樑)으로 맞배지붕이며, 박공쪽은..

서대문독립공원,독립문,서울 영은문주초 (2020.09.08)

서대문독립공원,독립문,서울 영은문주초 (2020.09.08) 정의 1896년 독립협회가 서울의 독립문 일대에 조성한 공원. 내용 독립협회는 자주독립의 상징물로서 독립문의 건립과 함께 독립공원 건설을 당면의 목표로 하고 독립협회규칙 제2조에 이를 명기하고 있었다. 독립공원의 건설계획은 당시 빈터인 독립문과 전 모화관(慕華館)을 개수한 독립관일대의 지역에 과수(果樹)·관상목·화초와 여러가지 관목을 심어 공원으로 꾸밈과 동시에 식물재배의 실험단지를 만들려는 것이었다. 또한 공원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용도에 따라 다르게 조성하려는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즉, 일부는 시민들의 운동을 위한 운동장으로 보존하고, 일부는 관리나 시민들의 산보 및 휴식을 위한 휴식처로 만들며, 또 다른 한부분은 시민들이 1주일에 1, ..

공덕리 금표 (2020.08.11)

공덕리 금표 (2020.08.11) 공덕리 금표(孔德理 禁標)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거처하던 별장인 아소정의 위치를 알리던 1870년 8월(음력)에 세워진 푯돌이다. 아소정의 의미는 흥선대원군이 이 별장에서 운둔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일생이 너무 덧없음을 뒤돌아 보고 스스로 조소한다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라 한다. 아소정 입구에 표석을 세워 120보 내에 아소정이 있으니 출입을 금한다는 뜻이다. 공덕리 금표 공덕리 금표 안내문

망원정터 (2020.06.01)

망원정터 (2020.06.01) 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합정동)에 있는 조선시대 정자의 옛터. 내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9호. 망원정은 조선태종 임금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이 세운 정자로 제천정과 함께 외국사신을 위한 연회를 베풀던 곳으로도 유명하였다. 당시 망원동 주변에는 청운정(淸雲亭), 수일루(水一樓), 평초정(平楚亭), 낙수정(樂水亭), 호인정(好仁亭), 탁영정(濯瓔亭), 안류정(岸柳亭), 팔관정(八觀亭) 등 많은 정자가 있었으며 한강변에서는 조선왕조 개국이래 수군(水軍)들이 훈련을 하였는데 세종 임금은 종종 이곳에 행차하여 수군의 훈련을 살피고 겸하여 백성들의 농사를 시찰하기도 하였다. 어느 날 세종 임금이 이 정자에 행차하였는데 큰비가 내렸다고 한다. 마침 그 해는 유난히 가..

환구단 (2020.04.09)

환구단 (2020.04.09)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 사적. 개설 환구단(圜丘壇)은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으로, 일명 환단(圜壇)이라고도 한다. 1967년 7월 15일에 사적 제157호로 지정되었고, 서울특별시 중구청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환구단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를 드리는 둥근 단으로 된 제천단(祭天壇)인데, 예로부터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 하여 하늘에 제를 지내는 단은 둥글게, 땅에 제사 지내는 단은 모나게 쌓았다. 국왕이 정결한 곳에 제천단을 쌓고 기원과 감사의 제를 드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형성과 더불어 일찍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983년(고려, 성종 2) 정월에 왕이 환구단에 풍년기원제(豊年祈願祭)를 드렸다는 『고려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