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10 47

(보물 제1211호)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보물 제1211호)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정의1464년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반야바라밀다심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개설199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당나라 법장(法藏)이 찬술한 『반야심경약소(船若心經略疏)』에 송나라 중희(仲希)가 찬술한 『현정기(顯正記)』를 저본으로, 세조의 왕명에 따라 효령대군(孝寧大君)과 한계희(韓繼禧) 등이 국역(國譯)하여 1464년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국역불경이다.편찬/발간 경위권말의 한계희의 발문에 의하면,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와 한계희가 왕명으로 「반야심경소」를 국역하고 당시 교종판사(敎宗判事)인 해초(海超) 등 고승과 대군의 교정을 거쳐 간경도감에서 목판에 새겨 간행한 것이다. 한계희 발문은 1464년(천순(天順) 8)에 쓰여 ..

대한민국 보물 2024.10.05

(보물 제950호) 묘법연화경 권5~7

(보물 제950호) 묘법연화경 권5~7        정의조선전기 도솔산 안심사에서 신문의 주관으로 성달생의 정서본을 판각하여 1405년에 간행한 불교경전.개설『묘법연화경』은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경전으로, 법화사상을 담고 있는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이다. 흔히『법화경』이라고 하며, 가장 널리 알려진 대승 경전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406년에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한역(漢譯)한 것이 주로 간행 · 유통되었고, 그 뒤 송나라 계환(戒環)이 본문의 뜻을 쉽게 풀이한 주해본(註解本) 7권이 유행하였다.내용이 책은『묘법연화경』전 7권 중에서 권5∼7을 1책으로 묶은 것이다. 1405년(태종 5)에 전라도 안심사(安心寺)에서 당시 명필인 성달생(成達生, 1376∼1444)과 ..

대한민국 보물 2024.10.04

(보물 제1793호) 가평 현등사 동종

(보물 제1793호) 가평 현등사 동종        정의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에 있는 조선시대 범종.개설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범종이 본래 있던 봉선사는 고려 때 창건한 절로, 조선 제7대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1469년(예종 1)에 정희왕후(貞喜王后)의 발원으로 중창된 사찰이다. 이후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봉선사의 법당이 소실되자, 1613년(광해군 5)에 다시 중수하고 1619년에 이 범종을 주성하여 소장하여 왔다. 그러나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 봉선사가 위험해지자 말사인 현등사로 옮겨 현재에 이르고 있다.내용종의 몸체에 “봉선사종명병서 만력사십칠년기미사월십일일 화주 천보 근작 녹화 비구 현옥 정회 대원 영인(奉先寺鍾銘幷序 萬曆四十七年己未四月十一日 化主 天寶 謹作..

대한민국 보물 2024.10.04

(보물 제1790호)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보물 제1790호)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정의경기도 양평군 용문사에 있는 고려시대 금동관음보살좌상. 보물.개설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양평 용문사 관음전에 봉안되어 있는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전형적인 고려 후기 보살상의 모습을 보이며 조형미도 뛰어난 작품이다.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늘씬한 신체, 볼에 살이 있는 방형의 얼굴, 세밀한 머리카락과 높은 상투머리, 화려한 목걸이와 영락장식, 변형 통견식 착의에 승각기와 금구장식 등이 특징이다.특징상반신이 긴 편이며 오른손은 가슴 위로 왼손은 무릎 가까이에 둔 채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모습을 취하였다. 상투형 머리는 높게 올려 세우고 중간을 묶어 고정시킨 후 그 끝을 부채살과 같은 형태로 말아 올렸으며 이마선 위나 어깨 위로 흘러내리는..

대한민국 보물 2024.10.04

리움미술관 (전.함 : 깨달음을 담다) (2024.09.05)

리움미술관 (전.함 : 깨달음을 담다) (2024.09.05)       정의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사립미술관.내용1965년 삼성문화재단 설립 이후 고미술과 현대미술을 아우르는 소장품 수집과 전시활동을 펼쳐 온 삼성미술관은 2004년 서울 한남동에 삼성미술관 리움(Leeum)을 개관하였다. 2021년 10월 리움 미술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리움은 우리의 고미술부터 세계 현대미술에 이르는 미술작품을 한 공간에서 감상 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미술관으로, 고미술과 현대미술을 건축적으로 재해석한 고미술관 뮤지엄(MUSEUM)1과 현대미술관 뮤지엄(MUSEUM)2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스 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가 설계한 뮤지엄1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금속 공예품에서 도자..

박물관,미술관 2024.10.04

(보물 제1호) 서울 흥인지문(동대문)

(보물 제1호) 서울 흥인지문(동대문)       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축조된 한양도성의 동쪽 성곽문. 보물.개설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문으로 일명 동대문(東大門)이라고도 하는데, 서울 도성의 사대문 가운데 동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내용1397년(태조 6) 도성을 쌓을 때 함께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에 세워졌다. 1452년(단종 1)에 중수가 있었으며, 조선 말기까지 존속되어오다가 1869년(고종 6)에 이르러 전반적인 개축이 이루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흥인지문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다포계형식(多包系形式)의 우진각지붕건물이다. 문의 석축은 화강암을 잘 다듬은 무사석(武砂石: 장대석의 일종으로 보통의 성을 쌓는 성석(城..

대한민국 보물 2024.10.04

(국보 제1호) 서울 숭례문(남대문)

(국보 제1호) 서울 숭례문(남대문)        정의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전기에 축조된 서울도성의 성곽문.개설숭례문은 조선시대 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일명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하는데, 서울 도성의 사대문 가운데 남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로 지정되었고, 국가유산청 덕수궁관리소에서 관리하고 있다.그러나 아쉽게도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 쯤에 방화로 인해 발생한 화재로 2층 누각의 90%, 1층 누각의 10% 정도가 소실되었다. 이후 2010년 2월에 숭례문복구공사를 시작한 이래 2013년에 완공되어 시민에게 공개되었다.내용서울 숭례문은 1396년(태조 5) 축조된 서울도성의 정문으로, 1398년(태조 7) 2월에 준공되었다..

대한민국 국보 2024.10.04

여주 명성황후 생가 (2024.08.01)

여주 명성황후 생가 (2024.08.01)        요약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후기에 지어져서 경기도 여주시에 남아 있는 한옥이다. 이 집은 1687년에 지어졌으며, 본래 묘막으로 사용되었다. 이 집에서 명성황후가 태어나 8세 때까지 살았다. 앞에 긴 일자형 행랑채가 있고 그 뒤로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튼 ㅁ자형 배치를 이룬다. 안채의 뒤란에는 장독대와 변소가 있고 사랑채 옆에 초가인 별당채가 있다. 이 집은 조선 후기 일반적인 양반 가옥의 배치와 건축 양식을 보여 준다. 그러나 안채의 몸채와 날개채에 각각 큰 저장 공간을 마련한 것에서 애초의 용도인 묘막의 특징을 볼 수 있다.정의조선 후기, 경기도 여주에 지어진 한옥.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6호건립 경위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

여주 감고당 (2024.08.01)

여주 감고당 (2024.08.01)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건물로 본래 서울 안국동에 있던 것을 이전·복원한 것이다.  조선시대 제19대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친정을 위하여 지어준 집이다. 인현왕후의 부친인 민유중(閔維重)이 살았으며, 인현왕후가 폐위된 후 이곳에서 거처하였다. 이후 대대로 민씨가 살았으며, 1866년(고종 3) 이곳에서 명성황후가 왕비로 책봉된다. 왕비로 책봉된 명성황후는 과거 인현왕후의 일을 회상하여 '감고당(感古堂)' 이란 이름을 붙였다. 본래는 서울 안국동 덕성여고 본관 서쪽에 있던 것을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학원장 공관으로 옮겼으며, 이후 여주시의 명성황후 유적 성역화 사업에 따라 경기도 여주시 명성황후의 생가 옆으로 이전·복원되었다.[感古..

여주 세종대왕 영릉(英陵)과 효종대왕 영릉(寧陵) (2024.08.01)

여주 세종대왕 영릉(英陵)과 효종대왕 영릉(寧陵) (2024.08.01)         정의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는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을 통칭하는 능호를 지칭하는 용어. 사적.내용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세종과 그의 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능인 영릉(英陵)과 효종과 그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능인 영릉(寧陵)을 합친 능호이다.1446년(세종 28) 소헌왕후가 죽자 광주(廣州) 서강(西岡: 현재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산13), 즉 헌릉(獻陵: 태종릉) 서쪽에 쌍실의 능을 만든 뒤 1450년에 세종이 죽자 합장하여 수릉(壽陵)이라 하였다.그 뒤 이장에 관한 논란이 있었으나 실현되지 않다가 1469년(예종 1)에 여주로 이장하여 능호도 영릉으로 하였다. 이 때 소헌왕후도 함께 이장하였고 ..

왕릉,묘,무덤 2024.10.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