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10/06 10

서울 북한산 일선사 (2024.09.24)

서울 북한산 일선사 (2024.09.24)        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국사가 창건한 사찰. 내용북한산 보현봉 아래에 위치한 일선사(一禪寺)는 보현사(普賢寺), 관음사(觀音寺), 일선사(一詵寺)라고도 불렀다.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 사찰이다. 신라말인 9세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보현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는데, 현재의 위치보다 서쪽으로 300m쯤 떨어진 자리였다. 지금도 서쪽으로 30m 떨어진 곳에 '보현굴'이라고 불리는 굴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대감국사(大鑑國師) 탄연(坦然, 10701159)이 중창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 13271405)가 중창하여 이 절에서 수도 정진했고, 이곳이 한양의 요충지라고 지목하여 ..

사찰,절,암자 2024.10.06

북한산성 금위영 이건기비 (2024.09.24)

북한산성 금위영 이건기비 (2024.09.24)        정의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성에 있는 조선후기 금위영의 이건 내력을 기록한 기적비.내용1979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총높이 1.41m, 비높이 1.05m, 너비 2.25m이다. 원래 금위영은 소동문(小東門) 안에 있었으나 그 지세가 높아 비바람이 몰아치면 무너지기 쉬우므로 보국사(輔國寺) 아래로 옮기게 되었다. 금위영 이건기비는 이러한 사실을 적은 비이다. 비의 재료는 화강암으로 뒷면은 땅에 묻혀 있다. 장대석(長臺石)으로 지붕돌을 씌웠는데 전면에만 낙수면을 새겼다.와비(臥碑)의 형식으로 비문의 끝부분에 ‘을미즉대명숭정갑신후칠십이년야도제조이이명지(乙未卽大明崇禎甲申後七十二  年也都堤調李頤命識)’이란 명문으로 보..

불교중앙박물관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 교종본찰 봉선사 특별전) (2024.09.05)

불교중앙박물관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 교종본찰 봉선사 특별전) (2024.09.05)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관장 서봉 스님, 이하 박물관)과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주지 호산 스님)는 봉선사 본·말사의 불교문화유산을 조망하는 특별전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이하 특별전)를 2024년 9월 5일(목)부터 12월 1일(일)까지 박물관 전시실에서 개최합니다. 특별전에는 경기 북부 지역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보물 15건을 비롯해 총 93건 262점의 문화유산을 전시합니다. 이를 위해 봉선사 본·말사는 물론 해인사, 통도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등 여러 사찰과 기관 26곳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을 선보입니다. 봉선사는 969년에 운악사..

박물관,미술관 2024.10.06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정의경기도 남양주 봉선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비로자나삼신괘불도.개설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채색. 세로 785㎝, 가로 458㎝. 봉선사 소장. 1735년에 상궁 이성애(李性愛)가 영빈 김씨(寧嬪 金氏, 1669~1735)의 명복을 빌며 제작한 불화이다. 영빈 김씨는 숙종의 후궁이자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현손녀이며 김수증(金壽增)의 손녀, 성천부사 김창국(金昌國)의 딸이다. 이 불화는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불, 노사나불을 중심으로 한 삼신불 형식의 괘불도이다. 최대 세로 144.4㎝, 가로 95㎝의 종이를 각각 세로 폭에 6매씩, 가로 폭에 5매씩 총 30매를 이어 붙여 제작하였다.내용전체적으로 크게 상하 이단구..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보물 제591호) 석씨원류응화사적 목판

(보물 제591호) 석씨원류응화사적 목판        정의1673년(현종 14)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의 불암사(佛巖寺)에서 새긴 『석씨원류응화사적』의 목판.개설197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212판. 불암사 소장이나, 현재는 불교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내용이 책은 언제, 누구에 의하여 편집되었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권말에 있는 처능(處能)의 발문에 의하여, 이 책이 우리나라에 유통된 것은 1631년(인조 9)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정두원(鄭斗源)이 가지고 와서 금강산 백운암(白雲庵)에 두었던 것을 춘파(春坡)가 간행하려 하다가 못하였는데, 그 뒤 유점사(楡岾寺) 승려 지집(知什)이 유촉을 받아 간행한 데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이 책판은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486년(성종 ..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보물 제1798호)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보물 제1798호)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정의경기도 남양주시 흥국사에 있는 조선시대 소조석가여래삼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개설201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흥국사 영산전에 봉안된 소조석가여래삼존상 및 16나한상으로, 국가유산 조사과정 중에 발원문과 바닥면 묵서 기록을 통해 1650년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원래의 조성시기는 1650년보다 빠른 조선 전기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2011년 3월 소조석가삼존불좌상만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가 이후 기록들이 발견되면서 소조석가삼존불좌상을 포함한 모든 존상들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흥국사 영산전에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상들이 봉안되어 있고 16나한상, 제석천상, 사자상 2구, 인..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보물 제1780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780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정의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 대적광전에 봉안된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내부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전적.개설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의 내부에서 발견된 모두 8건 37점의 복장전적이다. 고려시대 유물로 희귀한 판본이 많은데, 대방광불화엄경 진본(大方廣佛華嚴經晋本) 권51∼57,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 권1∼10, 금광명경(金光明經) 권3,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 초조본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初雕本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 백지묵서사경(白紙墨書寫經), 감지금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紺紙金泥文殊最上乘無生界法) 등..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보물 제259호)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보물 제259호)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사리장엄구        정의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수종사 석조 부도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일괄 유물.개설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호(靑磁壺)는 높이 31.2㎝, 입지름 26㎝. 금동구층소탑(金銅九層小塔)은 높이 12.9㎝, 은제도금육각감(銀製鍍金六角龕)은 높이 17.3㎝. 불교중앙박물관 소장. 1939년 발견 당시 금동구층소탑 하나와 은제도금육각감 등 1식(式)의 사리구(舍利具)가 청자호 안에 들어 있었다.내용청자호는 종행능선(縱行稜線)으로 된 일종의 누비무늬로 몸체가 장식되어 있다. 뚜껑은 6릉(稜)으로 접어서 맵시를 낸 다음 천부(天部)에는 큰 연당초문을 돋을새김하였으며 이 무늬의 원심부(圓心部)에는 모란 꽃송이를 돋을새김하였다.항아리 몸체의 청자유(..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보물 제2012호)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보물 제2012호)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정의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에 있었던 조선 전기의 불화.내용201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565년(명종 20년) 경 작. 세로 54㎝, 가로 30㎝.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감지(紺紙)에 금니(金泥)로 윤곽을 그리고 본존의 육계(肉髻) · 입술 · 약합(藥盒) 등에만 채색을 가한 금니화(金泥畫)이다.이 불화는 구도면에서 여래와 보살이 화면 중심에서 상하로 구분되는 2단 구도를 이루고 있어 고려 불화 양식의 전통을 잇고 있다.본존은 높은 수미단(須彌壇) 위에서 결가부좌(結跏趺坐)하였는데 두 발 위에 놓인 왼손으로 약합을 들고 있다. 좌우협시보살은 중앙을 향하여 합장하고 있다. 보관에는 각기 일상(日像)과 월상(月像)의 표식이 보이고 있어 약사..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보물 제2003호)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보물 제2003호)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요약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음보살좌상이다. 원래 대둔산 묘련암에 봉안하기 위해 당대 최고승 벽암각성을 필두로 소요태능 등이 참여하였고, 무염을 비롯한 5명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1649년에 완성하였다. 조선 후기 불교미술사 및 17세기 가장 큰 조각승 유파인 무염파 조각승들의 계보와 활동 연구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정의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음보살좌상.제작 배경대둔산(大芚山) 묘련암(妙蓮庵)에 관음보살좌상을 봉안하기 위해 1649년(인조 27)에 당대 최고승 벽암각성(碧巖覺性)을 필두로 소요태능(逍遙太能) 등이 참여하였고, 조각승 무염(無染)을 비롯하여 성수(..

대한민국 보물 2024.10.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