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박물관(파두완벽 기획전) (2020.09.18)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 있는 성균관대학교의 부속 박물관.
개설 및 설립목적
조선시대 유교문화와 관련된 유물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석기에서 근현대의 미술 및 역사자료 등을 수집․ 발굴하고 이를 전시와 교육의 자료로 활용하며 아울러 학술연구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박물관 설립 이전에는 유물의 수집과 보관을 도서관에서 담당하였다. 1964년 6월 중앙도서관 5층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개관하였다. 1979년 6월 호암관으로 이관하였다가, 2000년 3월 2일 600주년기념관으로 이전하였다.
현황
설립 직후에는 고려 말에서 대한제국 말기까지 조선시대의 주요 인물 1,136명의 필적을 모은 『근묵(槿墨)』, 성균관(成均館)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의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에서 사용하는 악기 등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을 소장하였다. 이후 석기시대의 돌칼을 비롯하여, 청동기시대의 토기, 삼국시대의 불상과 와당, 고려시대의 청자, 조선시대의 각종 생활유물, 근현대 미술․ 서화 등 우리나라 문화유산 전반에 대한 수집이 이루어졌다. 문화유적으로 1984년김해 퇴래리유적, 1996년여수 화장동 유적, 2003년경기도 양수리유적에 대한 발굴사업을 진행하였다.
1968년부터 전국에 산재한 삼국․ 고려․ 조선초의 금석문에 대한 조사와 탁본사업을 진행하여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금석문탁본 1,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고, 1970년부터 2010년까지 7차례의 금석문 탁본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박물관장을 역임한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가 한국의 문화유적을 촬영한 사진의 유리원판을 1,875매를 소장하고 있는데, 이를 복원하고 정리하여 2006년 ‘집안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전, 2007년 ‘경주 신라 유적의 어제와 오늘’전을 개최하였다.
조선시대의 고문서 5,000여 종과 간찰류 3,000여 종을 소장하고 있다. 2009년에는 대표유물인 『근묵』을 실물대로 영인하고 탈초․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成均館大學校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건물
![](https://blog.kakaocdn.net/dn/FR1ek/btrH2h6YqpK/6zra5b45oyukzgQtOchyr0/img.jpg)
성균관대학교 입구의 모습
![](https://blog.kakaocdn.net/dn/cPduS0/btrH32nZ6Qn/IM3TdekRrc1cNkK7546N4k/img.jpg)
성균관대학교의 모습
![](https://blog.kakaocdn.net/dn/cNOqNW/btrH0QPUtiy/IGtIeEWlaZ0OGhAxV8ymCk/img.jpg)
박물관
![](https://blog.kakaocdn.net/dn/0MLbl/btrH0vSGVzo/eGZrfwaswKKhpeWYMOnb0k/img.jpg)
검여 유희강선생 기증 특별전-파두완벽
![](https://blog.kakaocdn.net/dn/3NNZe/btrH32arVxW/5P0FFSN6EkhmjVfySwupIk/img.jpg)
파두완벽
![](https://blog.kakaocdn.net/dn/ww70h/btrH5eoaIeV/sMrR8xQBIqwwF25F4DDtZK/img.jpg)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poZ7a/btrH33mScXu/aP1djr5pv0hh6gz8qdwsKK/img.jpg)
소성(紹聖) 2년(1095, 북송 철종2, 고려 헌종1) 3월 4일에 첨사군(詹使君)이 나를 초청하여 백수산(白水山) 불적사(佛跡寺)를 유람했다. 탕천(湯泉)에서 목욕하고 폭포 아래서 바름을 쐰 뒤 중령(中嶺)에 올라 폭포수의 근원을 바라보았다. 견여(肩與)를 타고 산을 나와서 지팡이를 집고 걸어가며 산을 구경하다가 유람객들과 얘기도 나누었고, 저물녘에 여포(여浦) 가에서 쉬기도 하고 대숲 그림자 아래서 지팡이를 집고 걷기도 하였다. 이때 여지 열매가 가시연밥처럼 주렁주렁 달려있었다. 부로(父老)들이 여지 열매를 가리키면서 나에게 말하기를 "이것은 먹을 수 있는 것이니, 공께서는 술을 가지고 다시 오시겠습니까?"라고 하므로, 나는 속으로 기뻐서 그러마고 대답했다. 이윽고 이렇게 써서 유람한 해와 달을 기록한다. 함께 유람한 사람은 가상(柯常), 임변(林抃), 왕원(王原), 뇌선지(뇌仙芝)이다. 첨사군의 이름은 범(範)이고, 나는 소식(蘇軾)이다. 동파거사(東坡居士) 미산(眉山) 소식(蘇軾)이 쓰노라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5HnOz/btrH5e2MFCb/X1CH9iIsor5yRTpr3TiVlk/img.jpg)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sTKIf/btrH1AFPloV/vPsslXWHylzzsXnYoNsVGK/img.jpg)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z6oAm/btrH5eBItkD/HbsikUceTxZsMEX3Kz1Uq1/img.jpg)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FCnsi/btrH0QWEuzb/UU9BCj0OZM4cpQyocXhSa0/img.jpg)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ctYEDl/btrH5eaB91V/9DpHKOfgbLR2bRBuMKVASk/img.jpg)
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동파거사미산소식서)
![](https://blog.kakaocdn.net/dn/lM4Ky/btrH3a7DrNI/zWvkBXpDEuBVrt9gFIWHGK/img.jpg)
소동파의 글임을 증명하는 낙관
![](https://blog.kakaocdn.net/dn/nJV6T/btrH313Gp2e/ALHpBP5EBZIbTKK6vfYsE1/img.jpg)
원말 4대가인 조옹,황공망등의 발문
![](https://blog.kakaocdn.net/dn/ciNtME/btrH1aUTFn4/wkTkmIx2ay5Vm6BnhFJNmK/img.jpg)
조옹의 발문
![](https://blog.kakaocdn.net/dn/boBZSw/btrH6IifgBs/BMfYexKuow3M1B5G3kD7x1/img.jpg)
황공망의 발문
![](https://blog.kakaocdn.net/dn/qRr1y/btrH3bS1t14/4epVjKMMiEFkhOXyuA6NA1/img.jpg)
장원증의 발문
![](https://blog.kakaocdn.net/dn/cEXb8A/btrH1BScbmy/6QLTupa9KK7DDtbuwQF3TK/img.jpg)
이가원의 발문
![](https://blog.kakaocdn.net/dn/DZO6F/btrH1blZxfL/igzfxL00uuM74otkZhPm3k/img.jpg)
검여 유희강의 제명(동파진적백수산불적사유기)
![](https://blog.kakaocdn.net/dn/b3b9sy/btrH3a0R6nM/7CJkPfeudrzmuPx4so2WbK/img.jpg)
파두완벽(소동파의 마음과 김정희의 예술혼이라는 뜻)과 소완재
![](https://blog.kakaocdn.net/dn/vff6I/btrH5fABCh6/CtLeQo3PEvdNpk3Rrn0wsK/img.jpg)
파두완벽
![](https://blog.kakaocdn.net/dn/bXp9Kw/btrH746p2Fz/FOjPp6HWBmxPh3eXoFOJk1/img.jpg)
적벽부(1976년,유희강)
![](https://blog.kakaocdn.net/dn/cR2ahf/btrH1CctErS/NbKSDKipuCu4p8PhqU3ddk/img.jpg)
완당 김정희의 난(19세기)
![](https://blog.kakaocdn.net/dn/b6muFF/btrH3bS1uCX/g3tEiGsBiDV54aYJKC48t1/img.jpg)
추사시고(추사 김정희가 옹방강에게 보내기 위해 지은 시)
![](https://blog.kakaocdn.net/dn/b9vqNv/btrH1CKk4ll/0uhpItf16jnap5xVoROGkK/img.jpg)
추사간찰
![](https://blog.kakaocdn.net/dn/baWjVk/btrH1b7gHmA/8SNoIpGfrUK0iwTjdeqyk0/img.jpg)
백련선방(19세기,김정희)
![](https://blog.kakaocdn.net/dn/bdJZ9R/btrH5d3R8y5/rUvuYkuvoQXlHeoKJ1Ai3K/img.jpg)
완당정게(完堂靜偈)(유희강,1965)
![](https://blog.kakaocdn.net/dn/7xf93/btrH0SmDHWP/AVO4D1h7xKUBtlmlfPaxH1/img.jpg)
무량청정(유희강,1965)
![](https://blog.kakaocdn.net/dn/vl7ct/btrH322Au4k/IDpc6LaMOqTugLQYmKtz50/img.jpg)
평양전도(1880년대 중반에 평양의 모습을 그린 시가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uKeCO/btrH3a0R7ZL/OOKn2AKMB7zkGPrIkyXtG1/img.jpg)
평양전도(대동문,대동관)
![](https://blog.kakaocdn.net/dn/tEE8v/btrH1crCQLv/DJ5AclK8OCVrsQiWNAPX10/img.jpg)
평양전도(능라도)
![](https://blog.kakaocdn.net/dn/cTALAi/btrH5eoaI31/WEX8jrwRJqhWe5WpM22hm0/img.jpg)
주자명언십곡병(우암 송시열)-천지생만물성인응만사유일직자이이(천지가 만물을 낳고 성인이 만사에 대응하는 도리는 오로지 하나의 정신일 따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Udsfs/btrH3a0R8LP/MwlUu7cA7OD9E7WwA63nmK/img.jpg)
공자성적도(균천강성)
![](https://blog.kakaocdn.net/dn/qLqub/btrH322AvPg/qFyfg5FRa847KoPaUAwb80/img.jpg)
공자성적도(문례노담)
![](https://blog.kakaocdn.net/dn/cGDJcR/btrH3bZLW7D/KujJh7HdIgwVm0YVK8Z8E1/img.jpg)
박회수초상(이한철 작,1861년,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한 인물)
![](https://blog.kakaocdn.net/dn/cTeXV2/btrH75xuQiJ/JIw7Vz3BMRUhk47HMexbXK/img.jpg)
주자 초상(석지 채용신 작)
![](https://blog.kakaocdn.net/dn/lmnKg/btrH1bGd4G4/NbGLrKxemz7IAXtAM9ZOp0/img.jpg)
공자 사구상(孔子司寇像)
![](https://blog.kakaocdn.net/dn/B7SQL/btrH0SUtjSz/mp8NaknoIHAGf1hMVsQuTK/img.jpg)
공자행교상(孔子行敎像)
![](https://blog.kakaocdn.net/dn/blJj3a/btrH2gNQuN4/JikIDlgyQi1bLS5ipnsk1k/img.jpg)
분청자철화모란엽문병(조선 16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cuLLLE/btrH3bep2pI/LyED2hdsy08enVzq4Cg7PK/img.jpg)
분청자철화당초문호(조선 16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cKnpM4/btrH2gG23x7/xcQRak5nXvgLLlPTwpFg11/img.jpg)
청자음각연화문정병(고려 13세기)
![](https://blog.kakaocdn.net/dn/ww4tx/btrH32heMDl/SjpTfNdsm4lTapvkAaibek/img.jpg)
청자철백화여지문병(고려 13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cjXd7a/btrH3a0R9tW/8XNt1wFLwM4yWZt5Nk47Sk/img.jpg)
청자음각연화문장경병(고려 13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byiLMg/btrH6Iifhw2/afMo8MEW0JjmJbSK1iNYjK/img.jpg)
청자주자,청자탁잔(고려 12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GOF37/btrH1cd30kW/EgRFBbvCmznt0vnq24VUc1/img.jpg)
청자음각당초문주자(고려 12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tsDZ0/btrH5dW7mZq/SkbWW0GMB0s33YEeLJS7C0/img.jpg)
청자상감운학문매병(고려 13세기)
![](https://blog.kakaocdn.net/dn/bcwDWy/btrH1blZzsU/APgRc1uGRHTovFQJcEuk10/img.jpg)
청자 개구리장식 연잎모양 연적(고려 13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djhnFk/btrH31P8MJr/uwmaGCHmW0QsP0pD81fpEk/img.jpg)
청자 사자모양 연적(고려 14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6m3FR/btrH32O2vyT/l5y42YkeCrfBGCmSyqTlL0/img.jpg)
청자상감 '옴마니반메훔' 명불기(고려 13세기)
![](https://blog.kakaocdn.net/dn/Us2yF/btrH1Cp1ceB/vbCZsPf6vw3l4P2bZrH4Ck/img.jpg)
청자상감운학국화문완(고려 14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cbT411/btrH0QoiyhO/DSnxRzDk8cvfFCX1QxcACK/img.jpg)
청자상감국화문과형병(고려 13세기)
![](https://blog.kakaocdn.net/dn/CgVNN/btrH6IbuteM/nC3sI12RC8dkLkkpVkQPtk/img.jpg)
분청자선각화문편병(조선 15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kCnUv/btrH09uj6wv/MHA75MKf0vlGbzs34kikz0/img.jpg)
청자상감어문병(조선 15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Gh3zv/btrH74rOUKY/7hwgSOvbEmTR4QxQIesN51/img.jpg)
분청자인화문합(조선 15세기)
![](https://blog.kakaocdn.net/dn/cxeil7/btrH5e9yUUN/vK0KKRIuav3pXtCdmPsFVk/img.jpg)
백자상준(조선 16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ltgVq/btrH1afGZo6/aAJBliTzXRPlH8MHV2MrBk/img.jpg)
백자철화상준(조선 16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cdLZxn/btrH1BSceNM/fQFaIXw7AKdBpKlm6Q44q1/img.jpg)
백자청화팔각병(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bvXnVW/btrH0tmy0IS/Q6GOIgLQptCvpQ6yjkRAy0/img.jpg)
백자투각십자죽절형필통(조선 19세기)
![](https://blog.kakaocdn.net/dn/zfVjO/btrH6HDDOAQ/dm4ArwYjvfUIdzpv9oTuZ0/img.jpg)
백자청화시문병(조선 19세기 전반)-이태백의 객중행 문구
![](https://blog.kakaocdn.net/dn/vRkBO/btrH083hppy/xZp1kSluCrzp9cYwS4DUFk/img.jpg)
백자양각용문사각연적(조선 18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bl7nKW/btrHZQJhwii/cH3eR2A3TxKvoyaK6RJSY1/img.jpg)
백자양각수복박쥐문또아리연적(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PaUcM/btrH2oExE8w/4wqIZHW203vG0NLY0ymxy0/img.jpg)
백자명기인물상(조선 17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nvROP/btrH33mSeeA/7eSkF4TOlf9mcddOgQd3hK/img.jpg)
백자이권철화묘지(조선 18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bvEsqS/btrH0tUnuIm/6ijlz8sqakfcrrnLyjRoZ1/img.jpg)
백자청화용문호(조선 19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DB6Rc/btrH1z0CtZI/H3MSSy2Q04kgBVt44BjPh0/img.jpg)
백자청화산수문육각병(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beIGOL/btrH6IvN0JZ/bZpiS42S6uOqObKdZuKWk1/img.jpg)
백자청화산수문육각병(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cqQN3P/btrH5alsTUl/i4hKu92LZdw65EuXKGvrG0/img.jpg)
백자청화산수문육각병(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cJythj/btrH5eBIwtD/q20d5rJPLBBT5vH1uAIp41/img.jpg)
백자청화산수문육각병(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qe7k3/btrH0StnRil/aXdUfolSyTm9pUyLSTUPC0/img.jpg)
백자청화산수문호(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bANNzK/btrH1CjgeCY/DhVcF65FEFBKFpQtZUHmrk/img.jpg)
백자청화난국죽문호(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wPdCi/btrH0tmy1Nw/bfRqgV4kATvCTKDkXQph71/img.jpg)
백자청화죽매화문 병
![](https://blog.kakaocdn.net/dn/wWjMV/btrH0PCOIoJ/wzfQ9ZBqWyKDR6wl8kRn00/img.jpg)
백자청화 '제'명 사각제기(조선 18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blpnXY/btrH3QOjN1c/p3fgh7sReviilx1PdAZT9k/img.jpg)
백자청재주전자(조선 19세기 전반)
![](https://blog.kakaocdn.net/dn/bJ8pEq/btrH0wKOZJG/BLHttrKtXsvudJeaYXBXLK/img.jpg)
백자청화금강산연적(조선 19세기)
![](https://blog.kakaocdn.net/dn/cSjGdz/btrH6HRbxvH/wQ88TQ83CKtFrjieQKbjBk/img.jpg)
백자청화동화복숭아연적(조선 19세기)
![](https://blog.kakaocdn.net/dn/FGE91/btrH3a0SdC8/nIaxARyI45aiA7nSVXMvZ1/img.jpg)
백자복숭아연적(조선 18세기 후반)
![](https://blog.kakaocdn.net/dn/dUmX2O/btrH1cymtHJ/rHhUF9xsUGVHpM1vXEP01k/img.jpg)
안광직 초상(이한철 작,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bnTt4E/btrH31JnYAM/58IcxgBx4HfUO0plIvXurK/img.jpg)
창계공 초상(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UISXq/btrH1blZAj5/tS2tE8RhvoKC5VLKl2GUl1/img.jpg)
신응주 초상(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bP61Fi/btrH1zffCud/ZOz4AsN9J7Qltm9czUoBWk/img.jpg)
이명준 초상(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DqomY/btrH5eItOUi/fm3xAd2kkKYKRfAusvCOp0/img.jpg)
충헌공신응현증시교지(1799년 2월, 정조 23)
![](https://blog.kakaocdn.net/dn/rBbdu/btrHZ7jILsR/V1wtV7UvgEXfFk3gzra251/img.jpg)
해유첩(1843년,규남 하백원)
![](https://blog.kakaocdn.net/dn/C0ybU/btrH1ckPL4i/wsyX0sMuJMILMS0CKN5VmK/img.jpg)
갑진기사계회첩(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cJvbte/btrH1BScfIu/pJLrOQRUWZkjabN6KFJxT1/img.jpg)
갑진기사계회첩(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ciJuqp/btrH49mAwgS/16qDoA1XkJK5sBVju3A9Jk/img.jpg)
갑진기사계회첩(조선 18세기)
![](https://blog.kakaocdn.net/dn/cA13rj/btrH7PH8LsX/mS0vUUQ5VNTLkNJKN5Zzn1/img.jpg)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2020.10.05) (0) | 2022.07.27 |
---|---|
국립중앙박물관(빛의과학-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신국보보물전) (2020.09.28) (0) | 2022.07.27 |
국립제주박물관 (2020.08.19) (0) | 2022.07.23 |
아모레퍼시픽미술관(고미술 소장품 특별전) (2020.08.11) (0) | 2022.07.23 |
국립고궁박물관(신 왕실 도자 특별전) (2020.08.06)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