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보물 제1215-1호) 이색 초상-목은영당본

(보물 제1215-1호) 이색 초상-목은영당본        정의고려 말의 학자 이색을 그린 조선시대의 초상화.구성 및 형식199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목은영당(牧隱影堂)본 2점(대본 : 세로 150㎝, 가로 81.6㎝. 소본 : 세로 25.8㎝, 가로 25㎝), 누산영당(樓山影堂)본 1점(세로 143㎝, 가로 82.5㎝), 대전영당(大田影堂)본 1점(세로 150㎝, 가로 85㎝), 영모영당(永慕影堂)본 1점. 이색의 영정은 현재 전국에 걸쳐 여러 폭이 산재하여 있다.내용허목(許穆)의 『미수기언(眉嫂記言)』,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에 의하면 원래 이색의 초상화는 두 종류의 본이 있었다. 하나는 관복 차림새[正裝官服本]로서 표관(豹冠), 서대(犀帶), 비포(緋袍)에 수염과 머리털이 ..

대한민국 보물 2024.12.15

(보물 제934호)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보물 제934호) 목우자수심결 및 사법어(언해)        정의1467년 간경도감에서 고려의 승려 지눌의 『수심결』을 국역하여 간행한 불교서. 선이론서.내용198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권 1책. 목판본. 이 판본은 고려시대 지눌(知訥)의 저술인 『수심결』을 세조의 명에 의하여 비현합(丕顯閤)에서 구결(口訣)하고 신미(信眉)가 한역한 책이다.이 책 뒤에는 역시 신미가 번역한 「환산정응선사시몽산법어(皖山正凝禪師示蒙山法語)」·「동산숭장주송자행각법어(東山崇藏主送子行脚法語)」·「몽산화상시중법어(蒙山和尙示衆法語)」·「고담화상법어(古潭和尙法語)」 등 4법어가 합철(合綴)되어 있다.판하본(板下本)의 글씨는 당시의 명필가 안혜(安惠)·유환(柳睆)·박경(朴耕) 등이 썼다. 1984년 보물로 지정된 규장각도서 소장의..

대한민국 보물 2024.12.15

(국보 제245호)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20

(국보 제245호)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20         정의고려전기 초조대장경의 하나로 현종 연간에 판각한 불교경전.내용198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권 1축. 목판권자본. 『일체경원품차록』은 당나라 종범(從梵)이 정원석교록(貞元釋敎錄)에 의하여 여러 경전을 대조하여 경명·역자·종이 수와 권수를 자세하게 기록한 30권으로 구성된 것이다.이 책은 수기대사(守其大師)가 해인사대장경을 간행할 때 제외시키고 대신 『고려국신조대장경교정별록』 30권으로 대치하였다. 그러므로 이 책은 『초조대장경』에만 수록된 자료이다.경명과 권·장·함차(函次)의 표시가 본문 앞에 새겨져 있고, 장차 표시는 장(張)과 폭(幅)으로 혼용되고 있다. 감지(紺紙)의 표지에 금니로 경명과 권차·함차 표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한민국 국보 2024.12.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