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보물 제1782호)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

(보물 제1782호)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        정의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려 시대 청자.개설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고려청자로는 처음 확인된 두꺼비 모양의 벼루이다. 이 벼루가 적재되었던 선박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되었으며, 대접, 접시, 완, 발우, 주자, 향로 등 2만 3천여 점의 청자를 실은 청자 전용 화물선으로 밝혀졌다.내용청자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는 태안 대섬 침몰선에서 발견된 유일한 벼루이다. 현재까지 청자벼루 중에는 청자 상감'신축'명 국화모란문 벼루(보물, 2003년 지정) 한 점만이 알려져 있었다. 이 벼루는 웅크리고 앉아 있는 두꺼비 형태이며, 머리와 몸체, 다리까지 전체적으로 비례가 잘 맞게 제작되었다..

대한민국 보물 2024.12.15

간송미술관 (여세동보 - 세상 함께 보배 삼아 특별전) (2024.11.19)

간송미술관 (여세동보 - 세상 함께 보배 삼아 특별전) (2024.11.19)          대구간송미술관 개관 기념으로 국보와 보물 40건 97점을 전시하는 특별전이다. 이 취지를 함께 누리자는 뜻으로 전시명을 "여세동보(與世同寶)"로 하였으며 보화각 머릿돌에 새겨진 오세창의 글귀로 "세상 함께 보배 삼아"라는 의미이다.       대구 간송미술관의 모습  대구 간송미술관에서 보는 팔공산 방향의 모습  대구 간송미술관  여세동보 특별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

박물관,미술관 2024.11.23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1443년에 창제된 훈민정음에 대한 한문해설서.《훈민정음예의본(訓民正音例義本)》과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이 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으로 2권 2책이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에 소장되어 있다.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는 "나라말씀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고 한 《훈민정음예의본》과, 글자를 지은 뜻과 사용법 등을 풀이한 《훈민정음해례본》이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세종실록》과 《월인석보(月印釋譜)》 첫권에 같은 내용이 실려 있어 널리 알려졌으나, 후자에 대하여는 1940년 발견될 때까지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한글의 형체에 대하여 고대..

대한민국 국보 2024.11.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