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보물 제1955호) 청자 양각도철문 정형 향로

(보물 제1955호) 청자 양각도철문 정형 향로        요약「청자 양각도철문 정형 향로」는 고려 중기에 제작된 청자 향로이다. 12세기 초에 유입되는 북송대 예서에 수록된 고동기(古銅器)의 형태를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에 청자 제작 과정에 새롭게 등장하는 도범(陶範)을 이용하여 형태와 문양을 찍어낸 조형성이 우수한 작품이다. 2017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정의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중기에 제작된 청자 향로.제작 배경「청자 양각도철문 정형 향로」는 중국 고대 청동기의 형태를 모방하였으며, 도범(陶範)을 이용하여 형태와 문양을 찍어내었다. 도범은 중국 요주요(耀州窯), 정요(定窯) 등에서 유입되어서 12세기 청자 제작 과정에..

대한민국 보물 2024.11.23

(국보 제65호)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국보 제65호)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정의고려시대의 청자 향로.내용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0㎝. 간송미술관 소장. 턱이 넓고 세 개의 다리가 붙은 몸통 위에 상상의 동물인 기린을 상형하여 붙인 뚜껑을 덮은 향로이다. 향로의 몸통을 받치는 다리는 동물 얼굴[獸面]로 상형되었고, 외면에는 구름무늬를 음각기법으로 장식했다. 턱받침 위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가 배치되었고 그 위에 뚜껑을 덮도록 되어 있다.뚜껑 부분은 기린이 대(臺) 위에 꿇어앉아 고개를 뒤로 돌린 모습이고 뚜껑 옆면에는 뇌문(雷文)과 영지운문(靈芝雲文)이 돌아가며 음각되었다. 기린의 머리에는 뿔이 돋아 있었으나 현재는 부러진 상태이고, 목 뒤의 갈기·꼬리털 등은 곱슬곱슬하게 표현되었다. 기린의 눈은 철화안료로 검게 점..

대한민국 국보 2024.11.23

(국보 제74호) 청자 오리모양 연적

(국보 제74호) 청자 오리모양 연적        정의고려 시대의 청자 연적.내용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8㎝, 너비 12.5㎝. 간송미술관 소장. 꼬인 연꽃 줄기를 입에 물고 있는 오리를 형상화한 청자 연적이다. 연꽃 줄기에 달린 연잎과 봉오리가 오리의 등 위에 자연스럽게 붙어 있다. 오리의 등 중앙에 붙어 있는 연잎에는 안으로 뚫린 구멍이 있어서 이곳으로 물을 넣게 되어 있고, 연꽃 봉오리 모양의 작은 마개를 꽂아서 덮었다. 물을 따르는 구멍은 오리 주둥이의 오른편에 붙어 있으나 그 부분이 파손되어 원형을 확실히 알 수 없다. 사실적 기법으로 조각된 오리는 깃털까지 음각으로 세밀하게 표현되었으며 연한 녹색의 맑은 유약이 전면에 고르게 칠해져 있다.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 비색(翡色)..

대한민국 국보 2024.11.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