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찰,절,암자 561

서울 관악산 관음사 (2024.11.18)

서울 관악산 관음사 (2024.11.18)        정의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산(冠岳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이 창건한 사찰.내용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895년(진성여왕 9) 도선(道詵)이 창건하고 수도하였는데, 고려시대에는 어떠했는지 기록이 없어 잘 알 수 없다. 그러나 조선시대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관음사가 존재했음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해서 『범우고』·『가람고』·『여지도서』 등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그리고 예로부터 관음사 아래에 있는 ‘승방벌’이라는 마을이 있었고 그 앞에 승방고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관음사의 사세가 컸음이 짐작된다. 1863년(철종 14)에 행념(行稔)이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 김문근(金汶根)에게 1,000금을 희사받아..

사찰,절,암자 2024.11.22

서울 도봉산 천축사 (2024.10.02)

서울 도봉산 천축사 (2024.10.02)        정의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내용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673년(문무왕 13)에 의상(義湘)이 만장봉 동북쪽 기슭에 있는 의상대(義湘臺)에서 수도할 때 현재의 위치에 절을 창건하고 옥천암(玉泉庵)이라고 하였다.그 뒤 고려 명종 때는 영국사(寧國寺)를 창건한 뒤 이 절을 부속 암자로 삼았으며, 1398년(태조 7)함흥으로 갔다가 돌아오던 태조가 옛날 이곳에서 백일기도하던 것을 상기하여 절을 중창하고 천축사라는 사액(寺額)을 내렸다. 절 이름을 천축사라고 한 것은 고려 때 인도 승 지공(指空)이 나옹화상(懶翁和尙)에게 이곳의 경관이 천축국의 영축산과 비슷하다고 한..

사찰,절,암자 2024.10.07

의정부시 도봉산 망월사 (2024.10.02)

의정부시 도봉산 망월사 (2024.10.02)        요약망월사(望月寺)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가 창건한 사찰이다. 해호가 머물렀던 동대(東臺)의 옛 산성 이름이 망월성(望月城)이었기 때문에 망월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이 사찰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의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경내에는 고려 혜거국사의 승탑이 남아 있으며, 망월사에서 간행된 『진언집』 책판 관련 목판 4종 등 조선시대 불교 관련 유물이 다수 전한다.정의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가 창건한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사찰.요약망월사(望月寺)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海浩)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의 본사인 봉..

사찰,절,암자 2024.10.07

의정부시 도봉산 쌍용사 (2024.10.02)

의정부시 도봉산 쌍용사 (2024.10.02)         원도봉계곡을 끼고 도봉산 자락에 위치한 쌍용사는 비탈사면에 계단식으로 터를 조성하여 밑에서 보면 가람이 한눈에 들어온다.전체적인 가람의 배치는 계단을 중심으로 대웅전이 서 있고 좌측으로 요사채, 우측으로 범종각, 종무소, 삼성각이 자리한다. 도봉산 쌍용사(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산92)는 대한불교조계종 봉선사의 말사이다.신라의 최초 여왕인 선덕여왕 때 원효가 창건한 비룡사 터에 쌍용사로 중건하였는데 정확한 연대는 알수가 없다.     쌍용사의 모습  쌍용사 석불  쌍용사의 모습  쌍용사의 모습  대웅전  석탑  석불  삼성각  쌍용사에서 보는 의정부시의 모습

사찰,절,암자 2024.10.07

의정부시 도봉산 대원사 (2024.10.02)

의정부시 도봉산 대원사 (2024.10.02)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산93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봉선사 말사이다.대원사는 옛가람 비룡암터에 1956년 낡은 암자 건물을 헐고 현재의 대웅전과 요사채를 건립하였다.1960년 경내를 확장하고 삼성각과 선원채를 건립해 가람을 이루었으며, 그 다음해에 정중탑도 건립하였다.1965년 범종을 주성하고 범종각을 건립하였으며, 1967년에는 약사전을 창건하였다.약사전 부근의 청감수가 유명하다.      대원사 일주문  대원사 일주문  대원선원  삼성각  삼성각에서 보는 대원사의 모습  대원사의 모습  대원사 석탑  대웅전  천불전  범종각  대원사의 모습

사찰,절,암자 2024.10.07

서울 북한산 일선사 (2024.09.24)

서울 북한산 일선사 (2024.09.24)        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국사가 창건한 사찰. 내용북한산 보현봉 아래에 위치한 일선사(一禪寺)는 보현사(普賢寺), 관음사(觀音寺), 일선사(一詵寺)라고도 불렀다.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 사찰이다. 신라말인 9세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보현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는데, 현재의 위치보다 서쪽으로 300m쯤 떨어진 자리였다. 지금도 서쪽으로 30m 떨어진 곳에 '보현굴'이라고 불리는 굴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대감국사(大鑑國師) 탄연(坦然, 10701159)이 중창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 13271405)가 중창하여 이 절에서 수도 정진했고, 이곳이 한양의 요충지라고 지목하여 ..

사찰,절,암자 2024.10.06

구례 화엄사 화엄매(홍매화) (2024.03.20)

구례 화엄사 화엄매(홍매화) (2024.03.20)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지리산(智異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승려 연기가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 사찰. 사적. 개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화엄종(華嚴宗)을 선양하였던 사찰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연원 및 변천 1. 창건 화엄사의 창건 및 중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었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煙氣)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하고 있다. 중관대사(中觀大師) 해안(海眼, 1567~?)이 1636년(인조 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湖南道求禮縣智異山大華嚴寺事蹟)』 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544년(신라 진흥왕 5, 백제 성왕 22) 인도의 승려인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

사찰,절,암자 2024.03.26

김천 직지사 (2023.11.14)

김천 직지사 (2023.11.14)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황악산(黃嶽山)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아도가 창건한 사찰.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이다. 역사적 변천 418년(눌지왕 2) 아도(阿道)가 창건했다고 한다. 직지사라고 한 데는 세 가지 설이 있다. 아도화상이 선산 도리사(桃李寺)를 창건하고 황악산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쪽에 큰 절이 설 자리가 있다’고 하여 직지사로 불렸다는 설과, 고려 초기에 능여(能如)가 절을 중창할 때 절터를 측량하기 위해 자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기 때문에 직지사라고 하였다는 설, 선종의 가르침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창건 이후 645년(선덕여왕 14)에 자장..

사찰,절,암자 2023.11.27

산청 법계사 (2023.11.13)

산청 법계사 (2023.11.13)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智異山) 천왕봉(天王峯)에 있는 삼국시대 승려 연기가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높이 1,400m에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사찰로서 544년에 조사(祖師) 연기(緣起)가 창건하였다. 1405년에 선사 정심(正心)이 중창한 뒤 수도처로서 널리 알려졌으며, 많은 고승들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6·25 때 불탄 뒤 워낙 높은 곳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토굴만으로 명맥을 이어오다가 최근에 법당이 준공되어 절다운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법당 왼쪽에 1968년 보물로 지정된 법계사 삼층석탑이 있으며, 절 뒤에는 암봉(巖峰)과 문창대(文昌臺)가 있다. [法界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사찰,절,암자 2023.11.24

예천 보문사 (2023.11.12)

예천 보문사 (2023.11.12)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학가산(鶴駕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676년(문무왕 16)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1185년(명종 15)에 지눌(知訥)이 중창하였는데 지눌이 『화엄론』을 읽다가 오도한 사찰로도 유명하다. 또한, 이 절은 고려왕조의 사고(史庫)로 이용되기도 하였는데, 고려 말 왜구의 잦은 침략으로 1381년(우왕 7) 7월충주 개천사(開天寺)로 옮겼다. 1407년(태종 7) 교종에 예속되었고, 1569년(선조 2)에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뒤 1791년(정조 15)에 중창하였다. 1882년(고종 19) 강주(講主) 금해(錦海)가 이 절에 머물..

사찰,절,암자 2023.11.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