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보물 제2029호)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

(보물 제2029호)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        정의조선 후기의 화가 이인문(李寅文)이 그린 산수화. 보물.내용두루마리. 비단바탕에 수묵담채(水墨淡彩). 세로 44.1㎝, 가로 85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그림의 첫부분과 끝부분에 김정희(金正喜)의 수장인(收藏印)이 찍혀 있어 원래 김정희의 소장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이 그림은 강산만리의 변화무쌍한 대자연과 이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해운과 하역 등의 갖가지 생활상들을 소재로 한 것인데, 세련된 필법과 뛰어난 화면구성으로 미루어 보아 그의 후기작으로 생각된다.심사정(沈師正)의 「방이당촉잔도(仿李唐蜀棧圖)」의 영향과 남종·북종 각체의 화법을 혼합하여 발전시킨 이 그림에는 이인문화풍의 복합성과 더불어 당시 회화조류의 단면이 잘 드러나 있다.산은 부벽준..

대한민국 보물 2024.12.16

(보물 제1887호)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보물 제1887호)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나무판에 흑칠을 한 후 금가루로 그린 고려시대의 불화. 2016년 2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나무판에 흑칠을 한 후 아교에 금박가루를 개어서 만든 이금(泥金)으로 그린 불화이다. 고려시대 말인 1307년에 노영(魯英)이 그린 작품이다. 노영은 1327년에 강화도 선원사 비로전 벽화와 단청을 조성할 때에 우두머리 화가로 활약한 것이 확인된다. 나무판은 세로 21.0㎝, 가로 12.0㎝의 크기로 그림이 그려진 나무판 바닥의 양 끝에는 두 개의 촉을 달려 있다. 이는 이 그림을 받침대 같은 곳에 꽂아서 앞뒤 불화를 예배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보인다. 나무판 가장자리는 일반적인 사경변상도(寫經變相圖)의 테두리처..

대한민국 보물 2024.12.16

(보물 제1662호)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제1662호) 대혜보각선사서        정의송나라 승려 대혜종고가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불교서.개설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혜어록(大慧語錄)』 30권 중에서 25∼30권에 해당되며, 간략히 『서장(書狀)』이라고 한다. 총 62편의 서신 중에서 59편은 관료 또는 지식인들과 주고받은 것이다.편찬/발간 경위이 책은 사집과(四集科)의 강원(講院) 교재였기 때문에 많이 간행되었다. 1166년 8월에 송나라 경산(徑山) 묘희암(妙喜菴)에서 간행되었고, 이 판본은 지눌이 활동하던 1200년경에 전래되었다. 이후 1387년(우왕 13)에 번각되었는데 바로 이 책이다. 이색의 발문에 따르면, “지담(志淡)과 각전(覺全)이 이 책을 널리 전하여 후학들에게 혜택을 주고자 자신들이 비용을 대..

대한민국 보물 2024.12.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