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보물 제1282호) 최유련개국원종공신녹권

(보물 제1282호) 최유련개국원종공신녹권       정의1395년(태조 4) 공신도감에서 최유련에게 발급한 개국원종공신녹권.개설199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정공신(正功臣)에 한하여 교서와 녹권을 주고, 원종공신에게는 녹권만 주었다. 녹권은 일종의 공신 증명서로,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심지백개국원종공신녹권을 비롯하여 여러 점이 남아 있다.원종공신은 국가나 왕실의 안정에 특별한 공이 있는 정공신 외에 측근에서 힘써 수행한 사람들에게 주는 칭호로, 주로 정공신의 자제·사위 및 수종자 들에게 주어졌다. 1392년(태조 1) 개국공신을 훈봉한 뒤, 1,000여 명에게 개국원종공신을 준 것이 최초의 사례였다.개국공신녹권 중에는 필사본과 인쇄본이 있는데, 위의 녹권은 필사본이다. 원종공신의 녹권..

대한민국 보물 2024.12.18

국립고궁박물관 (궁중음식.공경과 나눔의 밥상) (2024.11.27)

국립고궁박물관 (궁중음식.공경과 나눔의 밥상) (2024.11.27)       조선 왕실의 궁중음식 문화를 재조명하는 전시가 열린다.국가유산청은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20일부터 내년 2월 2일까지 ‘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 특별전을 개최한다.전시에서는 궁중음식에 관한 여러 기록물과 그림, 그릇, 조리도구 등 200여점의 유물을 비롯해 궁중음식을 재현한 수라상 모형을 선보인다.1부에서는 백성들이 정성으로 일군 진상품이 숙수(궁중 요리사)의 손을 거쳐 왕의 밥상에 오르는 과정을 소개한다. 궁궐 부엌의 간판인 수라간 현판과 숙수들이 분주하게 요리하는 모습이 담긴 그림, 궁궐의 조리도구와 식기들로 연출된 부엌 공간을 살펴볼 수 있다.2부에선 1892년 고종 즉위 30주년과 41세 생신을 축하하..

박물관,미술관 2024.12.18

(보물 제1190호) 오자치 초상

(보물 제1190호) 오자치 초상        정의조선 전기의 무관 오자치(吳自治. 1426∼?)의 초상화.개설199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476년(성종 7)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60㎝, 가로 105㎝. 종손가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종손가에 전해 오는 바로는 이 초상화는 세조가 하사한 영정이라 한다. 회화적 표현 및 형식으로 보아 손소 초상(보물, 1995년 지정) 및 장말손 초상(보물, 1969년 지정)과 함께 적개공신(敵愾功臣) 책록 후에 그려진 공신도상이다.내용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났을 때 그 토벌에 공을 세운 공신들은 적개공신으로 책봉되었다. 그 공훈의 일환으로 공신상들이 제작되었던 것은 1476년(성종 7년)이었..

대한민국 보물 2024.12.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