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국립중앙박물관 (2024.11.27)

국립중앙박물관 (2024.11.27)        정의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에 있는 국립박물관.연원 및 변천우리나라의 박물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중심적인 국립박물관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908년 9월에 발족한 창경궁 내의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에서 출발하였다. 이왕가박물관은 왕실의 재정적 뒷받침으로 미술품을 수집하기 시작하여 1909년 11월 창경궁과 함께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경복궁 내에 박물관 건물을 신축하고 1915년 12월 총독부박물관으로 문을 열었다. 총독부박물관에서는 일부 구입품 외에 고적 조사를 통해 습득한 매장유산 그리고 사찰의 기탁품 등 역사 · 고고 미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전시하였다.한편, 1915년부터 경주고적보존회에 의해 ..

박물관,미술관 2024.12.17

(보물 제1677-2호) 이광사 필적 원교법첩

(보물 제1677-2호) 이광사 필적 원교법첩        정의조선후기 양명학자·서예가 이광사가 두보의 시 18수를 다양한 서체로 필사하여 엮은 서첩.서지사항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서첩은 모두 20장 4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앞쪽의 25면은 밝은 옥색 비단에 먹으로 썼고, 중간의 9면은 옅은 옥색 비단에 먹으로 썼으며, 뒤쪽의 6면은 검은 비단에 금니(金泥)로 썼다.표지 왼쪽에는 “원교법첩(員喬法帖)”이라고 쓴 제첨(題簽)이 있고 그 밑에 “전해초(篆楷艸)”라고 작은 글씨로 써놓았다. 제첨에 쓴 ‘원교(員喬)’는 이광사의 호의 오류이므로 국가유산명은 ‘원교법첩(員嶠法帖)’이라 고쳐 표기하였다.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의 오체(五體)를 다양한 크기로..

대한민국 보물 2024.12.16

(보물 제2260호)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보물 제2260호)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병풍       정의북송대 명사들이 정원에 모여 한때를 즐기는 모습을 담은 고사인물화.개설중국 북송대 영종(英宗)의 부마였던 왕선(王詵)이 수도 개봉(開封)에 있던 자기 집 정원, 즉 서원(西園)에서 당시의 유명한 문인묵객들을 초청하여 베풀었던 아회(雅會) 장면을 담은 그림이다.왕선을 비롯해 소식(蘇軾), 채조(蔡肇), 이지의(李之儀), 소철(蘇轍), 황정견(黃庭堅), 이공린(李公麟), 조보지(晁補之), 장뢰(張耒), 정가회(鄭嘉會), 진관(秦觀), 진경원(陳景元), 미불(米芾), 왕흠신(王欽臣), 원통대사(圓通大師), 유경(劉涇) 등의 16인(진사도(陳師道)를 넣어 17인이 되기도 함)이 모여 시를 읊고 휘호를 하고 현금(玄琴)을 타고 담론을 즐기거나 석벽(石..

대한민국 보물 2024.12.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