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우리의 기록, 인류의 기억 특별전) (2024.02.21)

산을 오르다. 2024. 3. 17. 15:07
728x9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우리의 기록, 인류의 기억 특별전) (2024.02.21)

 

 

 

 

 

 

 

정의

조선시대 왕실 도서관이면서 학술 및 정책을 연구한 관서.

내용

1776년(정조 즉위년) 3월, 궐내에 설치되었다. 역대 왕들의 친필·서화·고명()·유교()·선보() 등을 관리하던 곳이었으나 차츰 학술 및 정책 연구기관으로 변해 갔다.

조선 세조 때 양성지()의 건의로 일시 설치되었으나 폐지되었다. 1694년(숙종 20)에 세조가 친히 쓴 ‘(규장각)’이라는 액자를 종정시()의 환장각()에 봉안하고 역대 국왕의 어필·어제를 보관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군주의 권위를 절대화시키는 규장각의 설치를 유신들이 찬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뒤 정조가 즉위하면서 외척 및 환관들의 역모와 횡포를 누르기 위한 혁신 정치의 중추로서 설립되었다. 이를테면 단순한 서고의 구실을 위한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즉, 정조는 “승정원이나 홍문관은 근래 관료 선임법이 해이해져 종래의 타성을 조속히 지양할 수 없으니, 왕이 의도하는 혁신정치의 중추로서 규장각을 수건()하였다.”고 설각 취지를 밝힌 바 있다.

창설한 뒤 우선 영조의 어필·어제를 봉안하는 각을 창덕궁 내에 세워 봉모당()에 모시고, 사무 청사인 이문원() 등을 내각으로 하였다. 주로 출판의 일을 맡아보던 교서관을 병합해 외각으로 했고, 활자를 새로이 만들어 관리를 맡는 일과 편서·간서를 내각에 맡겼다.

1781년에 청사를 모든 관청 중 가장 광활하다는 옛 도총부() 청사로 옮겼으며, 강화사고() 별고를 신축해 강도외각()으로 삼았다. 또한, 내규장각의 부설 장서각으로 서고(西 : 조선본 보관)·열고관( : 중국본 보관)·개유와( : 중국관 보관) 등을 세워 내외 도서를 정리, 보관하게 하였다.

장서는 청나라에서 구입한 1만여 권의 고금도서집성()을 포함, 약 8만여 권을 헤아렸다. 이것이 현재 총 3만여 권에 달하는 현재 규장각 도서의 원류이다. 규장각의 주합루()는 당조()의 어필(어진)·인장 등을 보관하며, 봉모당은 열조의 어필·어제 등을 봉안하였다.

열고관·개유와는 내각과 함께 서고로서, 이문원은 사무 청사의 구실을 하였다. 구교서관()은 외각과 열조의 어제·서적 등을 보관하는 강도외각()으로 구성되었다.

관원으로 제학 2인, 직제학 2인, 직각() 1인, 대교() 1인 외에 검서관() 4인이 있었다. 각신들은 삼사보다도 오히려 청요직()으로 인정되었다. 종1품으로부터 참하관에 이르는 노소 6인과 실무담당으로 검서관 4인을 두었다.

내각에는 검서관 외에 사자관 8인 등이 있었고, 다시 이속으로 70인이 있었으며, 외각에도 이속 20여 인을 두었다. 규모도 1781년까지 계속 정비되어갔는데, 열고관의 도서가 늘어남에 따라, ‘개유와()’라는 서고를 증축하기도 하였다.

규장각의 기능은 점차 확대되어 승정원·홍문관·예문관의 근시()기능을 흡수했으며, 과거 시험과 초계문신() 제도도 함께 주관하였다. 특히 초계문신은 글 잘하는 신하들을 매월 두 차례씩 시험을 치른 후 상벌을 내려 재교육의 기회를 주는 제도였다. 따라서 학문의 진작은 물론 정조의 친위()세력 확대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규장각의 도서 출판의 기능을 위해 예조 소속의 출판 전단 관서이던 교서관을 규장각의 속사()로 삼고, 정유자(, 1777년), 한구자(, 1782년), 생생자(, 1792년), 정리자(, 1795년) 등의 새로운 활자를 만들어 수천 권에 달하는 서적을 간행하였다.

많은 양의 국내외 도서가 수집·간행됨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목록화하는 작업도 이루어졌다. 첫 번째 분류 목록은 1781년(정조 5) 약 3만여 권의 중국 책을 대상으로 서호수()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를 ≪규장총목 ≫이라 하며 이것이 오늘날 규장각도서의 시원()이다. 그리고 우리 나라 책들만을 분류한 것이 ≪누판고 ≫와 ≪ 군서표기≫이다.

각신들의 권한으로 시신()은 승지 이상으로 대우를 받아 당직을 하면 아침 저녁으로 왕에게 문안했으며, 신하와 왕이 대화할 때 사관으로서 왕의 언동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특히, 1781년부터는 일기를 기록해 ≪내각일력 )≫이라 했는데, ≪승정원일기≫ 이상으로 상세하였다. 또한, 2년 뒤부터는 각신이 매일의 정령형상() 등을 기록, 왕이 친히 첨삭한 뒤에 등사하였다.

1779년에는 새로 규장각 외각에 검서관을 두고 서얼출신 임과()로 했는데, 국초 이래로 재주와 학문은 뛰어나도 입신의 길이 막혀 있었던 서얼들에게는 큰 의의가 있는 일이었다. 또, 당하관의 소장관원 중 우수한 자로 뽑힌 초계문신()에게 매월 두 차례 시험을 치러 상벌을 내렸다.

각신은 초계문신 강제()에 시관이 되어 일대의 문운을 좌우하였다. 또 실질적인 경연관()으로서 왕과 정사를 토론하고 교서 등을 대리 찬술하는 일에서부터 편서와 간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규장각에서 양성된 학자들은 정조대의 문예 부흥을 주도하고 왕권 안정을 뒷받침하였다. 그러나 정조의 사후 규장각은 그대로 존속했지만, 정치적 선도 기구로서의 기능은 예전과 같지 않았다. 차츰 왕실 도서관으로서의 기능만 남게 된 것이다.

설립 이후 그대로 존속되어오던 규장각은 1868년(고종 5) 경복궁이 중건되면서 창덕궁에서 이곳으로 옮겨지고 소장도서들도 이문원·집옥재()·시강원 등에 분산, 보관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궁내부에 두었다가 이듬 해 규장원으로 고쳐, 이때 한·중 두 나라의 도서와 각종 왕가 전보()를 보관하였다. 그 뒤 1897년(고종 34)에 다시 규장각으로 환원시켰다.

1908년에 근대적인 직제를 편성해 전모()·도서·기록·문서 등 4과가 사무를 집행하였다. 이 때 ≪승정원일기≫·≪비변사등록≫, 각 관서의 일기 및 등록과 정족()·태백()·오대()·적상() 등의 사고 장서까지 관할하였다.

그 뒤 1910년에 이름이 없어지고 도서는 한 때 이왕직에 도서실을 두어 보관했으나, 이듬 해 조선총독부 취조국으로 넘어갔다. 이 때 넘어간 도서는 5,353부 10만187책, 각종 기록은 1만730책에 달하였다.

그러나 1912년 총독부에 참사관실이 설치되어 도서 및 관련된 사무가 참사관실로 이관되었다. 1922년에 학무국으로, 이어 다시 1928년에서 1930년사이에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되었는데, 이 때 15만119권이 이 대학 도서관으로 옮겨졌다.

일제가 규장각 도서를 보존한 것은 식민 통치를 위한 우리 나라 역사 연구에 이 자료들을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창덕궁 안의 규장각 건물 가운데 서향각·주합루·부용정만 남기고, 그 밖의 열고관·개유와·서고·이문원·대유재()·소유재 등은 모두 헐리고 말았다.

이 책들은 광복 후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옛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건물)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1950년 한국전쟁으로 규장각도서 중 국보급 자료 8,657책이 부산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환도 후 서울로 돌아오기도 하였다.

1975년 서울대학교가 관악으로 이전하면서 규장각 도서도 함께 옮겨졌다. 이 때 경복궁 회랑에 있던 교서관 소장 목판() 17,800여 장이 함께 옮겨졌다. 그리고 도서관 안에 규장각 도서관리실을 따로 두어 규장각 도서의 관리를 맡게 했으며, 도서관 소속의 일반 고도서와 문고본 도서 등을 규장각도 서로 편입, 약 20만 권의 장서를 헤아리게 되었다.

1990년에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의 보존·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독립 건물을 완공하였다. 이에 규장각도서가 신축건물로 이전했고, 1992년 3월에 서울대학교 설치령이 개정되어 ‘서울대학교규장각’이라는 독립된 기관으로 새롭게 발족하였다. 이로써 서울대학교규장각은 자료연구부·자료관리실·행정실의 부서를 갖추고 자료 보존·열람 기능 뿐만 아니라 국학 연구 기관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되었다.

규장각은 정조 때 다른 어느 기구보다도 넓고 중요한 비중을 가진 정치적·문화적 기구였다. 설립 당시 노론의 벽파 등 반대파를 숙청하며, 혁신정치를 위한 중추기구 내지는 기획 연구기관의 구실을 하였다.

원래 ‘규장()’이란 임금의 어필과 어제를 가르키는 것으로, 그것을 모아두는 제도는 중국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고사를 따른다는 명분에 힘입어 실질적으로는 새로운 정치적·문화적 기구를 마련했던 것이다.

교양 없는 인물로 문화와는 거리가 있던 홍국영()의 제거를 계기로, 문화 기관으로 충실해졌고, 각신의 권한도 날로 커져갔다. 설립 시기에는 정적 소탕을 주임무로 했던 규장각이 정세의 안정과 더불어 정치의 연구 및 기획 기관이 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소속된 각신은 승지 이상으로 왕과 친밀하였다. 밖으로는, 청나라 건륭 문화()의 영향을 받아 내외 서적의 수집·편서·간서에 구심적 역할을 했으며, 우리 문화재의 정리와 보관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奎章閣]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규장각 세계기록유산 특별전 - 우리의 기록, 인류의 기억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보물 제1542호 요계관방지도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선조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숙종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정조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태조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태종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세종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선조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선조수정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숙종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세종실록

 

 

국보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 선조실록

 

 

국보 151-6호 조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 생지본

 

 

국보 151-6호 조선왕조실록 낙질 및 산엽본 - 밀랍본

 

 

선현영정첩(1793년 전후)

 

 

선현영정첩(1793년 전후)

 

 

실록포쇄형지안(김홍휘, 봉굧탄, 1588년 선조 21)

 

 

강화부전도(1872년 고종 9)

 

 

강화부전도(1872년 고종 9)

 

 

강화부전도(1872년 고종 9)

 

 

강화부전도(1872년 고종 9)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303호 승정원일기

 

 

국보 153호 일성록

 

 

국보 153호 일성록

 

 

국보 153호 일성록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영조실록청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선조실록수정청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정조왕세손책례도감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정조효의왕후가례청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친경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정조국장도감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정조건릉산릉도감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정조태실석란간조배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경모궁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화성성역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원행을묘정리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종묘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고종어진순종예진도사도감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영접도감사제청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대사례의궤

 

 

보물 1901-1호 조선왕조의궤 - 보인소의궤

 

 

보물 1592호 여지도

 

 

보물 1592호 여지도

 

 

보물 1592호 여지도

 

 

보물 1592호 여지도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국보 제306-2호 삼국유사

 

 

국보 제306-2호 삼국유사

 

 

국보 제306-2호 삼국유사

 

 

국보 제319-3호 동의보감

 

 

국보 제319-3호 동의보감

 

 

국보 제319-3호 동의보감

 

 

무예도보통지(정조 명찬, 1790년)

 

 

무예도보통지(정조 명찬, 1790년)

 

 

무예도보통지(정조 명찬, 1790년)

 

 

혼천전도(관상감, 19세기 중엽 추정)

 

 

혼천전도(관상감, 19세기 중엽 추정)

 

 

혼천전도(관상감, 19세기 중엽 추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