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정원의 풍경) (2021.02.05)

산을 오르다. 2022. 8. 17. 10:20
728x90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정원의 풍경) (2021.02.05)

 

 

 

 

 

 

호림박물관은 호림 윤장섭 선생이 출연한 유물과 기금을 토대로 설립되었다. 윤장섭 선생은 1981년 7월 성보문화재단을 설립하고, 이어서 1982년 10월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에 호림박물관을 개관하였다. 그 후 1996년 3월에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 박물관을 확장·신축하여 1999년 5월에 재개관하였다. 신축한 호림박물관은 연면적 4,627㎡ 규모로 지하 1층, 지상 2층의 건물에 4개의 상설전시실과 1개의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 수장고, 세미나실, 자료실 그리고 커피숍, 선물코너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토기, 도자기, 회화·전적류, 금속공예품, 기타 등 1만 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국가문화재로 지정된 유물들이 많아 국내외에서 소장품의 다양성과 질적인 면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호림박물관에서는 상설전과 매년 개최하는 기획전 및 구입문화재특별전을 통하여 국민들에게 한국미술의 아름다움과 독창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용, 한국관광공사)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건물

 

2020 민화 정원의 풍경

 

2020 민화 정원의 풍경

 

청자 압형연적(고려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

 

청자양각포류수금문정병(고려12세기)

 

청자양각포류수금문정병(고려12세기)

 

청자음각연화문매병(고려12세기후반 ~ 13세기 전반)

 

보물 제1454호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보물 제1454호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보물 제1454호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보물 제1540호 청자표형주자

 

보물 제1540호 청자표형주자

 

보물 제1540호 청자표형주자

 

청자상감쌍룡국화문반(고려 13세기)

 

청자상감유죽료수금문표형병(고려 13세기)

 

청자상감유죽료수금문표형병(고려 13세기)

 

보물 제1451호 청자 상감 운학 국화문 병형 주자

 

보물 제1451호 청자 상감 운학 국화문 병형 주자

 


보물 제1451호 청자 상감 운학 국화문 병형 주자

 

청자철채상감운학문매병(고려 13세기)

 

청자철채상감운학문매병(고려 13세기)

 

보물 제1022호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보물 제1022호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보물 제1022호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보물 제1455호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보물 제1455호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보물 제1455호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보물 제1541호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보물 제1541호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보물 제1541호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보물 제1541호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분청사기박지연어모란문장군

 

보물 제1068호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보물 제1068호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보물 제1068호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국보 제179호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 ​ ​ ​

 

국보 제179호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 ​ ​ ​

 

보물 제1456호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보물 제1456호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보물 제1062호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보물 제1062호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분청사기철화초문편병(조선 15~16세기)

 

보물 제807호 백자 상감모란문 병

 

보물 제807호 백자 상감모란문 병

 

백자대접(조선 15세기)

 

국보 제281호 백자주자

 

국보 제281호 백자주자

 

국보 제281호 백자주자

 

백자장군(조선 16세기)

 

백자편병(조선 15~16세기)

 

백자병(조선 16세기)

 

보물 제1457호 백자사각제기

 

보물 제1457호 백자사각제기

 

보물 제1457호 백자사각제기

 

백자호 (조선 15세기)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백자청화국죽조접문호(조선 18세기)

 

백자청화국난접문화(조선 18세기)

 

백자청화국난접문화(조선 18세기)

 

보물 제1458호 백자 청화철화'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보물 제1458호 백자 청화철화'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보물 제1458호 백자 청화철화'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보물 제1458호 백자 청화철화'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보물 제1458호 백자 청화철화'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백자청화송매문호(조선 16세기)

 

백자청화조문소호(조선 16세기)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98호 백자청화매죽문시명병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98호 백자청화매죽문시명병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98호 백자청화매죽문시명병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98호 백자청화매죽문시명병

 

백자청채동채해태형 연적(조선 19세기)

 

보물 제806호 백자반합

 

보물 제806호 백자반합

 

보물 제806호 백자반합

 

보물 제806호 백자반합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정원의 풍경 전시실 1

 

풍속도 8폭병풍 중 6폭(19세기 후반)

 

경직도초본 6폭병풍(20세기 전반)

 

경직도 8폭병풍(1830년)

 

효자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고사인물도 8폭병풍(19세기후반 ~ 20세기 전반)

 

백동자도 8폭병풍(19세기 후반)

 

구운뭉도 6폭병풍(20세기 전반)

 

곽분양행락도 8폭병풍(19세기)

 

곽분양행락도 10폭병풍(19세기)

 

수렵도 8폭병풍(19세기)

 

호피도 6폭병풍(19세기)

 

무이구곡도(19세기 후반)

 

요지군선도 8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소상팔경도 6폭병풍(19세기 후반)

 

평양성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평양성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 부벽루

 

평양성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 을밀대

 

평양성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 대동문,대동관

 

금강산도 10폭병풍(1898년)

 

화조도 8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화조도 6폭병풍(19세기)

 

화조도 6폭병풍(19세기)

 

자수화조도 8폭병풍(19세후반 ~ 20세기 전반)

 

자수화조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화조도 8폭병풍(19세기)

 

어해도 8폭병풍(20세기 전반)

 

연화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연화도 8폭병풍(19세기 후반~ 20세기 전반)

 

모란문 8폭병풍(19세기후반~20세기 전반)

 

모란괴석도(20세기 전반)

 

모란괴석도8폭병풍 중 6폭(20세기 전반)

 

모란괴석도 4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화접도 10폭 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화접도 8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나비모란괴석도(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화접도 8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정원의 풍경 전시실 2

 

화조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화조도 10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

 

화조도 8폭병풍(19세기)

 

화조도 8폭병풍(19세기 후반)

 

화조도 8폭병풍(19세기후반~20세기 초반)

 

화조도 4폭병풍 중 2폭(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화조도 8폭병풍(19세기후반~20세기 초반)

 

낙화화조도 6폭병풍(1896년)

 

장생도 10폭병풍(20세기 초반)

 

화조도 8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화조도 8폭병풍 중 2폭(20세기 전반)

 

화조도 8폭병풍(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화병도 8폭병풍(20세기 전반)

 

화조도 8폭병풍(20세기 전반)

 

호모란도 6폭병풍(박생광,1983년)

 

장생도 6폭병풍(박생광,1983년)

 

장생도 10폭병풍(20세기 중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