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한겨울 지나 봄 오듯 - 세한歲寒 평안平安) (2020.11.24)
삶의 고락苦樂은 손 뻗으면 닿을 곳에 늘 함께 있습니다.
춥다가 따뜻하기도 하고, 슬프다가 기쁘기도 하고,
힘들다가 평안하기도 하고, 미워하다가 사랑하기도 합니다.
여기 두 그림이 있습니다.
세한歲寒은
한겨울 추위 속에서도 변치 않는 송백松柏의 마음입니다.
어려운 순간을 이겨내는 실낱같은 희망입니다.
평안平安은
봄날 평안감사로서 첫발을 내딛는 순간의 행복입니다.
백성들의 마음을 돌아보고 잊지 말아야 하는 다짐입니다.
선인先人은 변치 않는 희망으로 어려운 시절을 견뎌내었습니다.
우리의 힘든 시절도 곧 지나 봄날 같은 행복이 다시 찾아올 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인생은 늘 그렇습니다.
(특별전 소개글에서 인용)
특별전 전시실 입구
세한도(김준학의 완당세한도와 글)
세한도(김준학의 완당세한도와 글)
세한도(김준학의 완당세한도와 글)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세한도
김정희 세한도와 글
세한도(장목의 글,장요손의 글,김준학의 글)
세한도(오세창의 글)
세한도(이시영의 글)
세한도(장악진의 글,오찬의 글,조진조의 글)
세한도(반준기의글,반희보의 글,김준학의 글,반증위의 글)
세한도(풍계분의 글,왕조의 글,조무견의 글)
세한도(진경용의 글,요복증의 글,오순소의 글,주익지의 글,장수기의 글)
세한도(정인보의글)
세한도(정인보의글)
김정희가 따라 쓴 옛 예서(조선 19세기,천정궁박물관 소장)
김정희가 사용한 인장(조선 19세기, 예산 김정희 종가 소장)
김정희 초상(허련,조선 19세기 중반)
제주도의 김정희가 아내에게 보낸 한글 편지(조선 1842년 10월 3일)
제주도의 김정희가 초의선사에게 보낸 편지(나가묵연첩중, 1840년대 후반 2월)
김정희필 불이선란도(조선 19세기 중반)
손재형이 쓴 행서 편액 해상풍정(1965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양감사 연회도 전시실의 모습
전 김홍도필 연광정 연회도
전 김홍도필 연광정 연회도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연광정의 모습)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연광정의 평양감사)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연광정의 평양감사)-옆에서 지켜보고 있는 기생의 모습이 특이하다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읍호루-대동문의 다른 이름)
전 김홍도필 연광정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평양감사의 모습)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평양감사의 모습)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평양감사의 모습)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능라도에서는 연회와 관계없이 백성들이 농사에 전념하고 있다.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부벽루 연회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대동문,연광정)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장안문)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평양감사의 모습)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평양감사의 모습)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장안문)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경파루)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연광정과 제일누대 현판)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대동문)
전 김홍도필 월야선유도
세한도와 평양감사 연회도 특별전을 관람하고 상설전시실에서 김홍도 특별전(김홍도필 풍속도화첩)을 감상한다.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서당)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서당)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빨래터)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빨래터)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기와이기)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기와이기)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자리짜기)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자리짜기)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타작)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타작)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탁발승)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탁발승)
잔서완석루(오랜 세월동안 깨지고 부서진 비석돌, 또는 그 돌에 남아있는 몇개의 글을 의미한다.김정희필)
주학년을 위해 쓴 행서대련(김정희, 1831년 이전)
전 이재 초상(작가 미상,조선 19세기 초)
보물 제1671호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보물 제1671호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보물 제1671호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이하응 필 행서대련(조선 19세기)(중국 당나라 문인 원진과 이필의 명성을 찬탄하는 내용을 행서체로 쓴글)
나귀에서 떨어지는 진단선생(윤두서,조선 1715년)
늙은 승려(노승도)(윤두서,조선 17세기말~18세기초)
토끼를 잡은 매(심사정,조선 1768년)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보 제86호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전경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고궁박물관(군사의례-조선왕실 군사력의 상징) (2021.02.18) (0) | 2022.08.18 |
---|---|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정원의 풍경) (2021.02.05) (0) | 2022.08.17 |
불교중앙박물관(효심으로나툰불심의세계-화산용주사) (2020.11.05) (0) | 2022.07.28 |
안중근 의사 기념관 (2020.10.28) (0) | 2022.07.28 |
국립중앙박물관 (2020.10.05)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