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불교중앙박물관(효심으로나툰불심의세계-화산용주사) (2020.11.05)

산을 오르다. 2022. 7. 28. 17:58
728x90

불교중앙박물관(효심으로나툰불심의세계-화산용주사) (2020.11.05)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조계사 내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단의 박물관.

개설 및 설립목적

우리나라의 대표적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설립한 박물관으로, 전국의 사찰박물관을 대표하는 박물관이다. 각 사찰에서 수장하기 어려운 불교문화재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교육의 장이자 살아있는 도량으로서, 우리나라의 불교문화를 널리 알리게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2002년불교중앙박물관 설립 준비팀이 꾸려져 개관 준비를 시작하였다. 2007년 정식으로 개관하고, 문화관광부에 박물관으로 등록하였다. 2007년 개관특별전 ‘불()’에 이어 2008년 ‘법()’, 2009년 ‘승()’을 개최하고, 이후는 불교문화재를 중심으로 특별전과 상설전을 개최하고 있다.

기능과 역할

불교중앙박물관은 첫째,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으로서 조계종단의 사회적 위상을 강화하는데 그 기능과 역할이 있다. 유수한 문화유산을 가진 조계종단은 그 문화적 자산을 국민과 함께 향유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과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조계종단에서 불교문화재를 보존․ 관리하는 기관으로 총무원 문화부와 불교문화재연구소 외에, 전시․ 활용․ 홍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설립 운영하고 있는 곳이 불교중앙박물관이다.

또한 조계종단 사찰에는 성보박물관 및 유물전시관이 34곳에 있어, 불교중앙박물관은 사찰 성보박물관을 지원 통할하고, 관리 감독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불교중앙박물관에는 불교중앙박물관회를 두어 자원봉사자를 통해서 박물관 지원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일반인을 대상으로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보존처리실은 보존처리가 시급한 유물 가운데 소장 사찰에서 처리가 어려운 유물을 보존처리 하는 등 사찰박물관의 보존처리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현황

본 박물관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300평의 전시실과 약 200평의 수장고, 보존처리실, 학예연구실을 갖추고 있다. 전시실은 3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는데, 기획전과 특별전, 상설전 등을 효과적으로 개최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본 박물관은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제126호)가 있다. 이 사리장엄구 가운데는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남양주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과 승탑의 해체 보수시에 발견된 불상들과 사리장엄구를 모아서 전시하고 있다.

또한 불상 안에 모시는 불복장물을 중심으로 전시하여 이에 대한 이해와 신앙의 대상으로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시대의 가장 진귀한 공양물과 시대를 대표하는 우수한 역사적 산물로 복장물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진귀하고 다채로운 유물들이 많으며, 새롭게 발견되는 유물들을 위주로 전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 전통문화의 일부인 불교문화재 보존과 불교문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리는 장이 되고자 불교문화재를 특성화한 박물관이다. 뿐만 아니라 불교문화재의 대다수를 소유한 조계종단의 문화재들을 보존, 관리, 전시, 활용하는 중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방에 있는 사찰박물관의 센터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佛敎中央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불교중앙박물관 입구의 모습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능원침내금양전도(조선 1878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현륭원과 건릉을 감싸는 산세를 풍수적요소를 강조해 그려냈다.

 

수원부 지도(조선 1872년. 수원광교박물관)

 

보물 제1871호 동제염거화상탑지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탁본(보물 제158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화산 용주사 상량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호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조선 후기. 대흥사 성보박물관)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 목판(조선 1795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조선후기. 국립고궁박물관)

 

삼막사 삼귀자 탁본(불교중앙박물관)

 

보물 제743호 정조필 파초도

 

보물 제743호 정조필 파초도

 

보물 제1302호 청룡사 감로탱(청룡사 감로왕도)

 

보물 제1302호 청룡사 감로탱(청룡사 감로왕도)

 

종현으로 보내는 편지(조선 1795년경. 국립고궁박물관) - 이 첩은 정조가 후궁인 수빈 박씨의 백부가 되는 박윤원에게 보낸 편지를 엮은 것이다.

 

현릉원지문(조선 1789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정조가 장헌세자를 현륭원으로 천장하고 직접 쓴 시문이다.

 

청계사 감로도(조선 1851년. 청계사)

 

청계사 감로도(조선 1851년. 청계사)

 

보물 제959호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불설부모은중경)

 

보물 제959호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불설부모은중경)

 

용주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현대.용주사 효행박물관)

 

용주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조선 후기. 용주사 효행박물관)

 

용주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본(현대. 용주사 효행박물관)

 

용주사 감로도(조선 1790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용주사 감로도(조선 1790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동판)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동판)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동판)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석경)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석경)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석경)

 

보물 제1754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석경)

 

신륵사 천추만세 현판(조선후기)

 

보물 제1430-2호 봉수당진찬도

 

보물 제1430-2호 봉수당진찬도

 

보물 제1430-2호 봉수당진찬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2호 안성 운수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2호 안성 운수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신륵사 금동불입상(통일신라. 신륵사)

 

용주사 탁의(조선후기. 용주사 효행박물관)-탁의는 사찰에서 의식단이나 불단에 사용하던 장엄구이다.

 

용주사 탁의(조선후기. 용주사 효행박물관)-탁의는 사찰에서 의식단이나 불단에 사용하던 장엄구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신륵사 건륭38년명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신륵사 건륭38년명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신륵사 건륭38년명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신륵사 건륭38년명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신륵사 건륭38년명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신륵사 건륭38년명 범종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 용주사 목동자상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보물 제11-4호 사인비구제작동종(안성 청룡사 동종)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2호 용주사 소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1호 용주사 전패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신륵사 삼화상 진영(나옹화상,지공,무학자초 삼대 화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신륵사 삼화상 진영(나옹화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신륵사 삼화상 진영(지공)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신륵사 삼화상 진영(무학자초)

 

몽금척 족자(조선 1795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37호 용주사 나무대성인로왕보살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용주사 전답 양안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용주사 주문왕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호 용주사 선덕로

 

보물 제1627호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보물 제1627호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금광명최승왕경(조선 1622년. 동국대학교박물관)

 

금광명최승왕경(조선 1622년. 동국대학교박물관)

 

금광명최승왕경(조선 1622년. 동국대학교박물관)

 

보물 제1795호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795호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795호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795호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795호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일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1호 효령대군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1호 효령대군 영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1호 효령대군 영정

 

석남사 아미타회상도(용주사 효행박물관)

 

석남사 아미타회상도(용주사 효행박물관)

 

만공대선사 전법게 서(1930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영인본)

 

용주사 도량장엄불화(조선 1882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용주사 도량장엄불화(조선 1882년. 용주사 효행박물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