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맞춤박물관 (2019.05.23)
안성시 대덕면 내리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입구에 세워진 안성맞춤 박물관은 유기를 중심으로 안성의 풍부한 문화유산을 함께 접할 수 있는 테마박물관이다. 지상 2층, 지하 1층, 총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기 전시실, 영상실, 기획 전시실, 농업역사실, 향토 사료실, 세미나실, 학예연구실, 수장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전시실은 유기의 역사, 제작 방법별 유기분류, 유기제작과정 모형, 제기, 반상기, 무구, 불기 등 생활속에 쓰이는 다양한 유기를 전시하고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곳곳에 영상물을 설치하였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통해 안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농업역사실은 안성 농업의 역사와 계절에 따른 농경모습, 안성의 특산물이 전시되어 있어 과거와 현재의 안성농업을 알수 있다. 향토 사료실에는 안성의 옛모습이 담긴 사진, 안성장시재현, 안성남사당, 불교문화재 등 안성문화와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안성맞춤의 유래
우리는 흔히 매우 잘 맞음을 비유하여 ‘안성맞춤’이란 말을 쓴다. 그 만큼 어떤 물건이나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릴 때 이런 말을 쓰는데, 안성에서 맞춘 유기 장인정신과 뛰어난 솜씨로 정성껏 만들어 품질이나 모양 등 기교면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만족시켰기에 ‘안성맞춤’의 대명사가 되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용, 한국관광공사)
박물관 건물의 모습
박물관 내부의 모습
장명사지 출토 사리장치 및 탑지석(997년)
장명사지 출토 사리장치 및 탑지석(997년)
택당집(1674년)
관세이(종묘제례때 제관의 손을 씻는 의식에 사용되는 항아리)
궤(원형의 제기로 하늘을 상징한다)
덕봉서원 원장선생안(조선후기,덕봉서원 소장)
해주오씨 문헌통고(조선후기)
오두인 화상(해주오씨 종중소장. 조선중기)
오두인 화상(해주오씨 종중소장. 조선중기)
창죽집(조선후기.조선후기,서흥김씨 종중소장)
천자문(1926년)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고궁박물관 (2019.06.09) (0) | 2019.06.09 |
---|---|
국립공주박물관 (2019.06.06) (0) | 2019.06.07 |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근대서화) (2019.05.18) (0) | 2019.05.19 |
국립중앙박물관 (2019.05.18) (0) | 2019.05.19 |
대전시립박물관 (2019.05.11) (0) | 2019.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