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대전시립박물관 (2019.05.11)

산을 오르다. 2019. 5. 12. 16:41
728x90

대전시립박물관 (2019.05.11)



대전시립박물관은 대전 도안신도시 개발에 따라 시민들의 문화공간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2012년 10월 16일 개관하였으며 상설전시실, 기증유물실, 기획전시실, 도시홍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실에서는 대전 유학자의 삶과 문화를 주제로 귀중한 대전의 문화재들이 전시되어 있고, 기증유물실에는 대전시민이 기증해주신 유물들을 전시되어 있다. 또한, 기획전시실에서는 매년 1~2회 특별전을 개최하여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전시민들이 배우고 놀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강좌, 공연 등을 다수 개최하고 있다.
* 개관일 : 2012년 10월 16일

(대한민국 구석구석 인용, 한국관광공사)


대전시립박물관 건물의 모습



전 김홍도 필 평생도(돌잔치)



천자문(조선후기.은진송씨 동춘동가 송봉기 기탁)



경평군 태항아리(조선 1608년.대전 서구 가수원동 출토)



경평군 태항아리(조선 1608년.대전 서구 가수원동 출토)



경평군 태항아리(조선 1608년.대전 서구 가수원동 출토)



경평군 태항아리(조선 1608년.대전 서구 가수원동 출토)



경평군 태지석(조선 1608년.대전 서구 가수원동 출토)



전 김장생 초상화



율곡선생외집(조선후기,은진송씨 동춘동가 송봉기 기탁)



송자대전(송시열지음.조선후기,안동권씨 유회당가 권태원 기탁)



척주동해비문(전 허목 씀.조선 17세기,안동권씨 유회당가 권태원 기탁)



윤증이 권이진에게 보낸 친필 글(윤증 씀.조선 17세기. 안동권씨 유회당가 권태권 기탁)



퇴계 이황 해서 시고(이황 씀. 조선 16세기.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갑신정변 기문(유병응 씀.조선 1884년)



사슴형 은제 연적과 은제 잔(조선후기, 은진송씨 제월당가 종중 기탁)



사슴형 은제 연적(조선 후기)



은제 잔(조선 후기)



무수동을 그린 팔폭 병풍그림(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무수동을 그린 팔폭 병풍그림(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무수동을 그린 팔폭 병풍그림(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사궤장연첩(조선후기. 연안이씨 이시방가 이종억 기탁)



연지계회도(조선후기,연안이씨 이시방가 이종억 기탁)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8호 이시방 초상화 밑그림



송준길이 쓴 한퇴지시(송준길씀. 조선 17세기.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송준길이 쓴 한퇴지시(송준길씀. 조선 17세기.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송준길이 쓴 한퇴지시(송준길씀. 조선 17세기.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송준길이 쓴 편지(조선후기 17세기)



송준길이 쓴 편지(조선시대 17세기.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송시열이 쓴 편지(조선 1684년. 은진송씨 동춘당가 문중 기탁)



송시열이 쓴 해서체 대자병풍(송시열 씀. 조선 17세기,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경국대전



송요좌 별급문기(조선 1705년,은진송씨 늑천가 기증)



신사임당 초서병풍(전 신사임당 씀.조선후기, 은진송씨 동춘당가 송봉기 기탁)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 상제집략판목



이시방 지석(조선후기, 연안이씨 이시방가 종중기탁)



문화재자료 제26호 태실(석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