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국립고궁박물관 (2023.02.22)

산을 오르다. 2023. 2. 24. 21:16
728x90

국립고궁박물관 (2023.02.22)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내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

설립목적

조선왕실 및 대한제국 황실 문화유산의 종합적인 조사·연구·수집·보관 및 전시를 통해 왕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역사관 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국권피탈부터 8·15 광복, 한국전쟁 등 굴곡 많은 근현대사 속에서 조선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유품()은 그 동안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를 받지 못했다. 조선왕실의 유품은 일제에 의해 ‘이왕직의 재산’으로 격하되었고, 8·15 광복을 맞으면서 미군정은 구황실사무청을 발족시켜 이왕직의 재산을 인수받아 문화재관리 업무를 관장케 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에는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개편되었으나 왕실 및 황실유물들은 총체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관계 기관으로 뿔뿔이 이양되었다. 즉 황실 박물관의 미술공예품은 덕수궁 소장품이라는 이름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규장각과 장서각의 방대한 고문서들은 서울대학교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나머지 생활용품들은 고궁의 행랑채에서 보관되었다.

이에 문화재청은 1992년 4대궁·종묘·능·원 등에 흩어져 있던 궁중의 문화재를 모아 덕수궁에 궁중유물전시관을 개관하였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왕실유물의 관리·전시·연구·보존이 시작되었는데 덕수궁 석조전은 전시 공간과 수장 공간이 협소하여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1993년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용산으로 옮겨 가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옛 건물에 조선왕실역사박물관을 건립하기로 결정하고, 광복 60주년인 2005년 8월 15일 역사적인 개관을 맞이한 후 다시 2007년 11월 28일 3개층 전관을 개관하게 되었다.

기능과 역할

조직은 관장 이하 기획운영과, 전시홍보과, 유물과학과로 이루어져 있다. 기획운영과는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조정, 주요사업계획의 수립·조정·심사평가 및 홍보, 보안 및 관인관수, 문서의 수발·통제·발간 및 보존, 임용·복무·교육·연금·인사관리, 예산․ 회계 및 결산, 물품 및 국유재산의 관리, 청사와 시설의 관리 및 방호, 관내 시설물 및 수목의 보호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전시홍보과는 국립고궁박물관의 전시 및 홍보, 전시실의 운영 및 관리, 궁중유물의 조사 및 연구,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교류 및 협력, 전시 관련 도서 자료 등의 발간 배포, 도서실의 관리와 운영,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에 관한 사항 등을 담당한다. 유물과학과는 소장유물 및 수장고 관리, 유물의 출·격납과 등록에 대한 업무, 유물의 과학적 보존처리, 유물의 복제·복사·모조·촬영 허가, 궁중유물의 조사·연구 자료수집 및 보관·관리, 소장유물 복원·복제품 등의 저작권·지적재산권에 관한 사항, 궁중유물 관련 도서와 자료 등의 발간·배포, 전산실 운영 및 홈페이지 관리 등을 담당한다.

현황

국립고궁박물관 상설전시실은 총 3개층 12개실로 2층의 제왕기록실, 국가의례실, 궁궐건축실, 과학문화실, 왕실생활실과 1층의 탄생교육실, 왕실문예실, 대한제국실 및 지하층의 궁중회화실, 궁중음악실, 어가의장실, 자격루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층 제왕기록실에는 절대 권력자인 왕의 치적, 공식 업무와 관련된 기록물과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어보, 어책, 어진, 교명, 의궤, 어필, 어좌, 일월오봉도 등 관련 유물을 전시하였다. 국가의례실에는 좋은 정치를 펼치기 위해 제도화한 국가의례 관련 유물 가운데 제례에서 사용된 각종 제기, 종묘 신실, 각종 의례서 등을 전시하고 있다. 궁궐건축실에는 최고 통치자인 왕이 정무를 관장하고 생활하는 공간인 궁궐의 건축제도와 궁궐 관련 부속 유물인 각종 현판, 경복궁 근정전 상량문, 보개, 각종 조각, 잡상 등을 전시하였다. 왕실생활실에는 통치자로서의 존엄성을 드러내는 곤룡포와 적의·대홍원삼, 가구, 각종 장신구, 도자, 은공예품 등 조선왕실의 세련되고 격조 높은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층 탄생교육실에는 왕실 아기씨들의 태를 담은 태항아리와 이를 기록한 태지석, 태실, 각종 세자교육 자료와 문방구류 등을 전시하여 왕세자가 왕으로 성장하기까지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왕실문예실에는 역대 국왕들의 개인생활 속에서 그림과 인장을 수집하고 감상하는 등 당시의 수준 높은 문예생활을 즐기는 문예군주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도록 왕이 직접 쓴 글씨와 시, 인장 등을 전시하였다. 대한제국실에는 격동하는 근대기에 대한제국 선포를 통해 자주국가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했던 대한제국기의 각종 유물들과 황실 사진자료, 황제․ 황후의 근대식 어차, 근대화된 궁중 생활공간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그밖의 궁중회화실, 궁중음악실, 과학문화실, 자격루실 등에는 조선의 예술과 과학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의의와 평가

왕실 유물의 체계적, 종합적 연구와 수집, 보존, 국민의 문화향유권 신장을 위한 수준 높은 전시와 교육을 담당하고 세계유산인 창덕궁 등의 궁궐 및 조선왕릉과 연계한 조선왕실 전문 박물관으로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國立古宮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국립고궁박물관의 모습

 

영친왕비 적의(국가민속문화재.20세기 초)

 

백옥국화 앞꽂이(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니사봉황 앞꽂이(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백옥떨비녀(20세기 초,국가민속문화재)

 

백옥나비떨비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백옥호두장식비녀, 비취매조초롱비녀, 난초장식비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마리삭금댕기(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영친왕비 첩지머리(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원수무늬 두루주머니(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귀주머니(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모란불수무늬향주머니(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밀화쌍가락지, 자마노쌍가락지, 호박쌍가락지(20세기초, 국가민속문화재)

 

장도노리개(20세기 초, 중요민속문화재)

 

영친왕비대삼작노리개(1922년경, 국가민속문화재)

 

연화향낭노리개(조선, 중요민속문화재)

 

연화향낭노리개(조선, 중요민속문화재)

 

서각향낭 노리개(조선, 중요민속문화재)

 

서각향낭 노리개(조선, 중요민속문화재)

 

진주비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용머리장식비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용머리장식비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백옥봉황꽂이(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봉황꽂이(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영친왕비 당의와 남색스란치마(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자적용포(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창의와 사규삼(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영친왕 곤룡포(대한제국 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영친왕 옥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영친왕 옥대(20세기 초, 국가민속문화재)

 

경회루 연못 출토 청동용(조선, 1805년)

 

경회루 연못 출토 청동용(조선, 1805년)

 

앙부일구대(조선)

 

보물 제845호 앙부일구

 

보물 제845호 앙부일구

 

보물 제845호 앙부일구

 

보물 제2159호 앙부일구

 

보물 제2159호 앙부일구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국보 제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보물 제841호 간평일구.혼개일구

 

보물 제841호 간평일구.혼개일구

 

보물 제841호 간평일구.혼개일구

 

보물 제840호 신법지평일구

 

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보물 제837호 복각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국보 제331호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