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중국고대청동문명) (2021.11.04 외)

산을 오르다. 2022. 9. 14. 10:08
728x90

국립중앙박물관(중국고대청동문명) (2021.11.04 외)

 

 

 

 

 

 

 

세계적 청동기 소장 기관으로 유명한 중국 상하이박물관의 명품 67점이 서울을 찾아왔다. '황하문명이 낳은 보물'이라고 할 수 있는 청동기 유물들은 국립중앙박물관이 16일 개막한 특별전 '중국 고대 청동기, 신에서 인간으로'를 통해 공개됐다.

전시에 나온 중국 청동기는 중국 최고(最古) 왕조라고 하는 하(夏)부터 은(殷)이라고도 알려진 상(商), 주(周), 한(漢)까지 2천 년 넘게 이어진 고대 국가들이 제작한 물품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모습

 

중국고대청동문명

 

 

 

고기삶는 세발솥(서주 전기.기원전 11세기~기원전 10세기 전반)

 

거북이와 봉황받침 박산향로(동한. 25 ~ 220년)

 

술 데우는 세발 그릇(상 중기, 기원전 15세기 중엽~기원전 13세기)

 

'부정' 글자가 있는 고기삶는 세발솥(서주 전기. 기원전 11세기~기원전 10세기 전반)

 

'려왕' 글자가 있는 세발솥 (서주 후기, 기원전 9세기 전반 ~ 기원전 771년)

 

굽다리 솥(춘추 전기, 기원전 770년 ~ 기원전 7세기 전반)

 

'경길' 글자가 있는 대야(서주 후기, 9세기 전반 ~ 기원전 771년)

 

'경길' 글자가 있는 대야(서주 후기, 9세기 전반 ~ 기원전 771년)

 

물 따르는 그릇(춘추 전기, 기원전 770년 ~ 기원전 7세기 전반)

 

동물 모양 술통(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동물 얼굴무늬 술병(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소극' 글자가 있는 고기 삶는 세발솥(서주 효왕, 기원전 10세기 말)

 

'소극' 글자가 있는 고기 삶는 세발솥(서주 효왕, 기원전 10세기 말)

 

'죽유' 글자가 있는 손잡이 술통(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곡식 담는 그릇(서주 전기,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10세기 전반)

 

'시' 글자가 있는 곡식담는 그릇(서주 중기, 기원전 10세기 후반 ~ 기원전 9세기 전반)

 

'가' 글자가 있는 세발 술잔(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사슴모양 돗자리 문진(서한, 기원전 202년 ~ 기원후 8년)

 

사슴모양 돗자리 문진(서한, 기원전 202년 ~ 기원후 8년)

 

새 모양 등잔(서한, 기원전 202년 ~ 기원후 8년)

 

향로(서한, 기원전 202년 ~ 기원후 8년)

 

거울(전국, 기원전 475년 ~ 기원전 221년)

 

'대락부귀' 글자가 있는 거울(서한, 기원전 202년 ~ 기원후 8년)

 

'과' 글자가 있는 손잡이 술통(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과' 글자가 있는 손잡이 술통(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기백매망' 글자가 있는 술병 ( 춘추전기, 기원전 770년 기원전 7세기 전반)

 

'백하보' 글자가 있는 술단지(서주 후기, 기원전 9세기 전반 ~ 기원전 771년)

 

종(춘추 후기, 기원전 6세기 전반 ~ 기원전 476년)

 

'천민부경' 글자가 있는 세발 술잔(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추부정' 글자가 있는 곡식담는 그릇(상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칼(상 후기,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11세기)

 

'오왕부차' 글자가 있는 물함지(춘추 후기, 기원전 6세기 전반 ~ 기원전 476년)

 

곡식담는 그릇(춘추후기, 기원전 6세기 전반 ~ 기원전 476년)

 

상감 납작 술병(전국후기, 기원전 3세기 전반 ~ 기원전 221년)

 

상감 네모 술병(전국 후기, 기원전3세기 전반 ~ 기원전 221년)

 

물고기 모양 술병(서한, 기원전 202년 ~ 기원후 8년)

 

동원 이홍근 기념전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국보 제325호 기사계첩

 

보물 제767-4호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국보 제246호 초조본 대보적경 권59

 

국보 제246호 초조본 대보적경 권59

 

국보 제246호 초조본 대보적경 권59

 

국보 제246호 초조본 대보적경 권59

 

정양사에서 바라본 내금강의 장관(정수영, 조선 1799년)

 

정양사에서 바라본 내금강의 장관(정수영, 조선 1799년)

 

정양사에서 바라본 내금강의 장관(정수영, 조선 1799년)

 

정양사에서 바라본 내금강의 장관(정수영, 조선 1799년)

 

 

 

 

2022.02.08 촬영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보물 제269-1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보물 제269-1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보물 제1486호 이광사 초상

 

보물 제1486호 이광사 초상

 

보물 제1486호 이광사 초상

 

앙부일구(조선 19세기말,국립경주박물관)

 

앙부일구(조선 19세기말,국립경주박물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