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박물관(2021.11.26)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역사박물관.
2008년에 준공하여 2009년 4월 27일 수원 화성을 주제로 개관한 역사박물관이다.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 화성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조선시대 정조와 관련된 역사적 기록물들이 전시되고 있는데 야외전시실에는 거중기 등 화성 축성에 사용된 도구들이 전시되고 있다. 정조 대왕의 태실을 복원하여 전시하며 야외 정원이 만들어져 있다. 박물관 1층은 기획 전시실로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며, 정도 시대 역사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2층 화성축성실에서는 국내 성과 해외의 성을 축성하는 방법을 서로 비교하여 전시하고 있으며 정조의 문집을 전시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 수원의 모습을 디오라마 형식으로 전시하고 있다. 또한 정조의 정치적 목표와 개혁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던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화성문화실은 정조가 창덕궁에서 화성으로 행차하는 모습의 그린 그림이 전시되며,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그리고 호위부대였던 장용영과 관련된 내용을 전시하고 있다.
수원화성박물관(두산백과 인용)
박물관의 모습
보물 제743호 정조필 파초도
보물 제744호 정조필 국화도
정조어필 비망기(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8호)
홍제전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2호)
홍제전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2호)
영조예필 - 송죽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26호)
사도세자가 조돈에게 내린 영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사도세자가 조돈에게 내린 영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사도세자가 조돈에게 내린 영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사도세자가 조돈에게 내린 영서(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김후 초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91호)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정조 어제시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정조어필배상비망기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전령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장용외사에게 절목의 문제점을 아뢰라는 전령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부채를 선물하면서 보낸 정조어찰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이우직이 쓴 편지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시호교지
채제공 관련 고문서 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7호)-정조가 정해준 채제공 문집의범례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초상화)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초상화)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초상화)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채제공초상유지초본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채제공 초상 시복본 함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채제공 초상 시복본 누비보와 보자기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채제공초상유지초본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채제공초상유지초본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선추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안녕, 모란"(2021.10.07) (0) | 2022.09.14 |
---|---|
국립중앙박물관(중국고대청동문명) (2021.11.04 외) (0) | 2022.09.14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장서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 (2021.10.28) (0) | 2022.09.13 |
불교중앙박물관(지리산 대화엄사 - 화장) (2021.10.01) (0) | 2022.09.04 |
남양주 실학박물관 (2021.08.28) (0) | 202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