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절,암자

서울 옥천암 (2021.05.09)

산을 오르다. 2022. 8. 26. 17:59
728x90

서울 옥천암 (2021.05.09)

 

 

 

 

 

 

 

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지문 부근에 있는 조선후기 명성왕후의 명으로 승려 정관이 관음전을 건립한 암자.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의 말사이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며, 1868년(고종 5)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정관법사()가 관음전(殿)을 건립하여 천일기도를 올렸다.

1927년에는 주지 이성우()가 칠성각()과 관음전을 건립하였으며, 1932년에는 대방 6칸과 요사채 3칸을, 1942년에는 주지 동봉()이 관음전을 중수하고 보타전(殿)을 중건하였다.

이 절은 사찰 자체보다 높이 10m의 바위 남쪽 면에 새겨진 관음보살상으로 더 유명하다. 2014년 보물로 지정된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은 오래 전부터 흰 칠을 하였고 근년에 지붕을 씌워 보도각백불()이라 칭하였는데, 머리에 관모를 쓰고 있는 것이 큰 특색이다. 이 마애불은 예로부터 많은 신남신녀()들이 와서 기도하고 영험을 얻었다고 한다. 조선의 태조가 기도한 일이 있고, 또 흥선대원군의 부인이 아들인 고종을 위해서 자주 찾아와 기도하였다고 전한다.

이 마애불에는 1편의 영적기()가 전해지고 있다. 1807년(순조 7)에 고양군 신도면에 살았던 윤덕삼()이라는 노총각은 나무 장사를 하여 노부모를 봉양하였다. 그는 홍제동에서 자하문을 넘어 나무를 팔고 돌아올 때마다 이 석불 앞에서 수십 번씩 절하면서 아내를 얻어 아이를 낳고 부자가 되어 나무 장사를 면하게 해 달라고 기원하였다. 100일이 넘은 어느 날, 꿈에 한 노부인이 나타나서 “내일 새벽 자하문에 나가 문이 열리거든 첫 번째 성 밖으로 나오는 여인을 집으로 데리고 오면 소원을 이루리라.” 하였다. 다음날 새벽에 자하문이 열릴 때 윤 도령을 찾아간다는 처녀를 만났는데, 그녀 역시 전날 밤에 윤 도령과 백년해로하라는 꿈을 꾸었다는 것이다. 두 사람은 석불에 예()를 올린 뒤 집으로 돌아와서 낭자가 가지고 온 패물을 팔아 전답과 산을 사고 일대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되어 자손을 낳고 단란하게 살았다고 한다.

[玉泉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옥천암의 모습

 

삼각산 옥천암 일주문

 

삼성각

 

삼성각뒤 산신

 

삼성각뒤 산신

 

범종각

 

극락전

 

극락전

 

극락전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보물 제1820호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728x90

'사찰,절,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은평구 진관사 (2021.05.30)  (0) 2022.08.28
문경 봉암사 (2021.05.19)  (0) 2022.08.27
서울 삼각산 현통사 (2021.05.09)  (0) 2022.08.26
동해 삼화사 (2021.05.05)  (0) 2022.08.25
화순 유마사 (2021.04.26)  (0) 20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