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2019.12.28)

산을 오르다. 2019. 12. 28. 21:28
728x90

서울역사박물관 (2019.12.28)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옛 경희궁터에 위치한 시립 박물관.

개설

조선시대 이후 서울의 역사와 서울 사람들의 생활, 현대 서울로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설립된 도시역사박물관으로, 2002년 5월 21일 개관하였다.

내용

건물은 건축가 김종성이 설계하였으며, 지하 1층, 지상 3층, 총면적 20,882㎡이다. 조직은 관장 이하 경영지원부와 학예연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관으로 청계천문화관, 동대문역사관, 한성백제박물관, 몽촌역사관이 있다.

상설전시는 1존 조선시대 서울, 2존 개항․ 대한제국기 서울, 3존 일제강점기 서울, 4존 고도성장기 서울, 5존 도시모형영상관 등 5개 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증전시실에는 800여 점의 기증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야외 전시장에는 종루 주춧돌, 옛 조선총독부 부재, 콘크리트 광화문 부재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서울의 역사문화와 도시 성장사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어린이역사탐험교실, 청소년 인턴제, 박물관대학, 외국인 역사문화교실 등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조사연구 활동으로 아현동, 왕십리, 이태원, 세운상가, 창신동, 동대문시장, 명동 등 재개발 등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생활문화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북한산 삼천사지, 종묘광장, 서울성곽 등 서울의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고 있다.

유물은 대동여지도, 동여도, 흥선대원군 이하응 초상, 용비어천가 등 보물 21점을 비롯하여 고지도, 고문서와 전적, 사진자료, 운현궁 유물 등 약 12만 여점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서울 도시역사박물관의 특징을 살려 서울과 관련된 자료를 중심으로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중음식점, 봉제공장 등 60년대 이후 서울의 급격한 도시화 관련 자료와 함께 현재 서울의 변화과정을 담고 있는 자료들로 수집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울역사박물관은 기존의 고고학이나 미술사 중심의 박물관과 다른 도시 서울의 성장과 변화, 그 속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주제로 한 도시역사박물관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성균관과 반촌 특별전



벽옹(연행도첩)(1784년이후.18세기 연행의 주요 과정을 그림으로 남긴 연행도첩 중 청의 국자감 벽옹을 그린 그림이다.숭실대학교 박물관)



태학성전(1689.이만부.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9호.1689년에 태학 전반에 대해 정리한 책이다)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74호 반궁도(태학계첩)(1747년 성균관 대사성 이정보가 성균관 유생들과 계회를 하고 만든 계첩으로,유일하게 현존하는 성균관 유생들의 계첩이다)



공자초상(서원이나 향교,서당 등에 모셔졌던 공자의 초상이다)



공자초상



문묘향사배열도(성균관대학교 박물관.성균관 대성전과 동,서무의 구조,배향된 성현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대사례도(고려대학교 박물관,1743년(영조 19)에 시행된 대사례 절차를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렸다)



대사례도(어사의례, 시사의례, 시사관상벌의례이다)



대사례도(어사삼획)



왕세자입학도첩(국립고궁박물관)



팔환은배(복제품,성균관대학교박물관)



성균관친림강론도(1748~1770 추정.고려대학교박물관)(성균관 마당에서 천막을 치고 강론을 하는 모습이다)



우경도(19세기.양기훈,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1463-2호 용비어천가



보물 제1474-2호 경주이씨양월문중고문서및향안-이지대왕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31호 비변사계회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31호 비변사계회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97호 도성대지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97호 도성대지도



보물 제850-2호 경조오부도(김정호가 만든 채색지도)



보물 제850-2호 경조오부도



추관계첩(1709년,형조관리들의 모임을 기록한 그림으로 형조관아의 배치를 잘 보여준다)



어제준천제명첩(1760년.영조가 준천사업을 끝낸후,신하들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창덕궁에서 벌인 연회장면)



산수도(신위.19세기 전반)



기승(한성판윤을 지낸 강세황의 글씨이다.강세황,18세기)



풍속도병(김홍도,18세기,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풍속도병(김홍도,18세기,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풍속도병(김홍도,18세기,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백자 '동묘'명 병(19세기,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12호)



백자 '동묘'명 병(19세기,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12호)



환구단 모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