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지방문화재

달성 삼가헌 (2017.03.18)

산을 오르다. 2017. 3. 21. 12:48
728x90

달성 삼가헌 (2017.03.18)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중요민속자료 제104호. 이 집은 현 소유자의 6대조 박광석(朴光錫)이 1747년(영조 23)에 건축한 것이다.

건좌손향(乾坐巽向)으로 좌향을 잡은 서사택(西四宅)의 하나로, 넓은 터에 대문간채·사랑채·안채·별당·연못을 배치하였다. 대문간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一자형 평면으로 곳간 2칸, 대문간 1칸, 방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ㄱ자형 평면으로 사랑대청 4칸, 온돌방 2칸을 두었으며, 온돌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2칸의 온돌방에는 각기 골방이 있으며, 툇마루에 연하여서는 1칸의 청지기방이 있다. 사랑대청 안쪽으로는 1칸의 마루방이 있고 그 뒤로 1칸의 온돌방이 있다.

이 사랑채는 안채로 드나드는 중문간 1칸과 곳간 2칸으로 연속되어 있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2칸의 부엌, 2칸의 안방과 반 칸 폭으로 개방된 툇마루, 정면·측면 각 2칸의 대청, 앞뒤로 긴 2칸의 건넌방, 2칸 반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와 안채 사이 서쪽에는 장독대·우물·곳간채·안변소[內厠]가 자리잡고 있다. 별당은 안채의 서쪽 넓은 터에 있는데, ㄱ자형 평면으로 정면 4칸, 측면 1칸이다. 온돌방은 3칸이 넘고 마루는 가운데 1칸에 그쳤으며, 왼편 끝방 앞에 1칸의 누마루를 꾸몄다.

마루와 그 옆방 뒤편에는 툇마루가 있고 앞쪽에도 모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별당 앞에는 네모의 연못이 있고, 연못 가운데는 인공산(人工山)이 있다. 사랑채의 구조는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전면에 5개의 두리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결구한 민도리 소로수장집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가구(架構)는 5량이며 팔작기와지붕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결구한 민도리집으로 5량 가구이며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별당은 막돌기단 위에 둥글게 다듬은 초석을 놓고 두리기둥 4개와 네모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결구한 민도리 집이다.

누마루 쪽은 맞배지붕을 이루고 나머지는 합각을 형성,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조선 중기에 건축된 지방 양반가의 특징을 잘 남긴 대표적인 주택이다. 집주인 박황의 사망으로 지금은 그의 아들 병규(秉圭)가 관리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삼가헌 입구의 모습



삼가헌



삼가헌



삼가헌



하엽정



하엽정(파산서당)



하엽정(파산서당)



하엽정(파산서당)



삼가헌 안내도





728x90

'대구시 지방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징청각 (2022.12.14)  (0) 2022.12.20
현풍 사직단,원호루 (2017.03.18)  (0) 2017.03.21
달성 도곡재 (2017.03.18)  (0) 2017.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