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중앙박물관 (만월의 빛, 정토의 빛 특별전) (2023.03.23)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조계사 내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단의 박물관.
개설 및 설립목적
우리나라의 대표적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설립한 박물관으로, 전국의 사찰박물관을 대표하는 박물관이다. 각 사찰에서 수장하기 어려운 불교문화재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교육의 장이자 살아있는 도량으로서, 우리나라의 불교문화를 널리 알리게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2002년 불교중앙박물관 설립 준비팀이 꾸려져 개관 준비를 시작하였다. 2007년 정식으로 개관하고, 문화관광부에 박물관으로 등록하였다. 2007년 개관특별전 ‘불(佛)’에 이어 2008년 ‘법(法)’, 2009년 ‘승(僧)’을 개최하고, 이후는 불교문화재를 중심으로 특별전과 상설전을 개최하고 있다.
기능과 역할
불교중앙박물관은 첫째,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으로서 조계종단의 사회적 위상을 강화하는데 그 기능과 역할이 있다. 유수한 문화유산을 가진 조계종단은 그 문화적 자산을 국민과 함께 향유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과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조계종단에서 불교문화재를 보존․ 관리하는 기관으로 총무원 문화부와 불교문화재연구소 외에, 전시․ 활용․ 홍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설립 운영하고 있는 곳이 불교중앙박물관이다.
또한 조계종단 사찰에는 성보박물관 및 유물전시관이 34곳에 있어, 불교중앙박물관은 사찰 성보박물관을 지원 통할하고, 관리 감독하는 기능을 겸하고 있다.
불교중앙박물관에는 불교중앙박물관회를 두어 자원봉사자를 통해서 박물관 지원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일반인을 대상으로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보존처리실은 보존처리가 시급한 유물 가운데 소장 사찰에서 처리가 어려운 유물을 보존처리 하는 등 사찰박물관의 보존처리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현황
본 박물관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300평의 전시실과 약 200평의 수장고, 보존처리실, 학예연구실을 갖추고 있다. 전시실은 3개의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는데, 기획전과 특별전, 상설전 등을 효과적으로 개최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본 박물관은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1967년 지정)가 있다. 이 사리장엄구 가운데는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남양주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과 승탑의 해체 보수시에 발견된 불상들과 사리장엄구를 모아서 전시하고 있다.
또한 불상 안에 모시는 불복장물을 중심으로 전시하여 이에 대한 이해와 신앙의 대상으로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시대의 가장 진귀한 공양물과 시대를 대표하는 우수한 역사적 산물로 복장물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진귀하고 다채로운 유물들이 많으며, 새롭게 발견되는 유물들을 위주로 전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 전통문화의 일부인 불교문화재 보존과 불교문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리는 장이 되고자 불교문화재를 특성화한 박물관이다. 뿐만 아니라 불교문화재의 대다수를 소유한 조계종단의 문화재들을 보존, 관리, 전시, 활용하는 중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방에 있는 사찰박물관의 센터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Central Buddhist Museum, 佛敎中央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불교중앙박물관의 모습
만월의 빛, 정토의 빛 전시실
전시실 입구의 모습
목조보살좌상(조선후기, 불교중앙박물관)
목조보살좌상(조선후기, 불교중앙박물관)
목조보살좌상(조선후기, 불교중앙박물관)
목조보살좌상(조선후기, 불교중앙박물관)
만월의 빛(장곡사의 연혁)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발원문) - 백운화상 수결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오색번)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비단주머니)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청색연화조문릉)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녹색운조문사)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녹색만자용문릉)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청색견)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녹색초화문릉)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녹색소화문직금릉)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소색초)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근봉지)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소색저포)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미색견)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아청색초)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홍색견)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담홍색만자용문사)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미색초)
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옥색귀갑비운문사)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고려 1377년, 불교중앙박물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고려 1377년, 불교중앙박물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고려 1377년, 불교중앙박물관)
국보 제300호 장곡사 미륵불괘불탱
국보 제300호 장곡사 미륵불괘불탱
국보 제300호 장곡사 미륵불괘불탱
국보 제300호 장곡사 미륵불괘불탱
정토의 빛(개운사의 연혁)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중간대사 발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천정혜흥 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천정혜흥 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천정혜흥 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천정혜흥 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천정혜흥 원문)
보물 제1649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최춘 원문)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4)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78)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78)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78)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78)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33)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16)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16)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16)
보물 제1650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제28)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영보경)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원돈성불론.간화결의론.선가귀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범자원권다라니)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팔엽심연삼십칠존만다라.일체여래심전신사리보협진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다라니)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불정심인다라니)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1호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복장일괄(부적다라니)
'박물관,미술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국대학교 박물관 (2023.04.07) (0) | 2023.04.09 |
---|---|
순천대학교 박물관 (세계유산 선암사 특별전) (2023.03.29) (0) | 2023.04.09 |
예천박물관 (2023.03.15) (1) | 2023.03.18 |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2023.03.15) (0) | 2023.03.18 |
호림박물관 (여지동락 - 종이와 함께하는 즐거움 특별전) (2023.03.08) (1)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