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절,암자

강진 백련사 (2021.04.07)

산을 오르다. 2022. 8. 23. 10:43
728x90

강진 백련사 (2021.04.07)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무염국사가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백련사에 대한 사적은 1432년(세종 13) 윤회()가 저술한 『팔도지리지()』와 정약용()의 『만덕사지()』 등에 나타나 있다.

만덕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만덕사()라고도 하였다. 이 절은 839년(문성왕 1) 무염()이 창건하였으며, 중요한 수도도량으로 면모를 달리한 것은 1211년(희종 7) 요세()가 크게 중창한 뒤부터이다.

요세는 천태종계()의 승려로서 고승 지눌()과 깊은 친분 속에서 지눌과 함께 송광사에 머물다가, 1208년에 천태종의 묘의()를 얻었고, 강진에 살고 있던 최표()와 최홍()·이인천() 등의 권유로 만덕산에 자리를 잡고 그의 제자 원영()으로 하여금 가람 80칸을 짓게 하였다.

이 역사()는 1211년부터 1232년(고종 19)까지 21년 만에 완공되었으며, 당시 목백()이 지극한 정성으로 재물을 보시()하였다고 한다. 절이 완공되자 요세는 보현도량()을 개설하고 실천 중심의 수행인들을 모아 결사()를 맺었다. 이것이 송광사를 중심으로 한 수선사()와 쌍벽을 이루었던 백련사결사()이다.

그 뒤 이 절에서는 120년 동안을 이어 고려의 8국사()를 배출하였다. 고려 말에는 강진지방이 세 차례의 왜구침입을 받았을 때 이 절도 함께 폐허화되었다. 조선 세종 때에는 효령대군()의 보호를 받아 주지 행호()가 불타버린 가람을 복원하였다. 그 뒤 효종 때 3차 중수를 하였으며, 그때 탑과 사적비()를 세웠다.

조계종이 송광사를 중심으로 하여 종세()를 키우고 있을 때, 이 절은 천태사상에 입각한 결사도량()을 개설하여 침체한 불교중흥을 꾀한 중심지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외세의 잦은 침입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절 주위에 성을 쌓았는데, 이 성을 행호토성()이라고 한다. 현재의 절 또한 그때 쌓은 토성으로 둘러싸여 있는 특이한 모습이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시왕전(殿)·나한전(殿)·만경루()·칠성각·요사채 등의 건물이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써 각 추녀마다 네 개의 활주()를 세워 건물을 받치고 있으며, 전면 두 개의 주두()는 용두()로 장식한 다포집 건물이다. 대웅전 안에는 석가모니불이 봉안되어 있다. 또한 만경루는 규모가 큰 누각으로 강진만 일대의 바다를 환히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 밖의 사중유적()으로는 만덕산 백련사사적비와 원묘국사중진탑()이 있다. 사적비의 거북은 앉은 키가 높은 편이고 용의 눈이 험상궂게 생긴 귀부() 위에 비신()이 있으며, 그 위에 옥개석() 모양을 한 가첨석()이 놓여 있다. 중진탑은 방형의 지대석()인 위에 연화문()의 중대석()이 있으며, 상대석에도 무늬가 있으나 잘 보이지 않는다.

고복형()의 옥신()에는 두 줄의 주렴문이 조각되어 있고,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하며, 상륜부에는 노반()·복발()·보주()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절 주위에는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련사 동백나무 숲과 정약용이 신유사옥 때 강진으로 귀양와서 조선의 실학을 집대성하고 차를 끊여 마시던 다산초당()이 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백련사를 가리켜 ‘남쪽바다에 임해 있고 골짜기 가득히 송백이 울창하여 동백 또한 곁들여서 수목이 싱싱하게 푸른 모습이 사계절을 통해 한결같은 절경’이라고 한만큼, 주위의 경관 또한 아름답다.

[白蓮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만덕산 백련사 일주문

 

천연기념물 제151호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천연기념물 제151호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천연기념물 제151호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해탈문

 

천연기념물 제151호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백련사의 모습

 

백련사의 신록

 

백련사

 

백련사 신록

 

백련사 만세루

 

백련사 만세루(만세루 앞 배롱나무 위세가 대단하다. 여름철에 이름값 할듯...)

 

만세루

 

백련사와 뒤로 만덕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대웅보전 불상

 

 

 

 

 

삼성각

 

명부전

 

명부전 불상

 

백련사 배롱나무

 

응진전

 

응진전 불상

 

천불전

 

천불전 불상

 

 

 

백련사의 모습

 

범종각

 

범종각

 

백련사 템플스테이 숙소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보물 제1396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

 

백련사 신록

 

천연기념물 제151호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천연기념물 제151호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728x90

'사찰,절,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 천관사 (2021.04.07)  (0) 2022.08.23
강진 정수사 (2021.04.07)  (0) 2022.08.23
강진 금곡사 (2021.04.06)  (0) 2022.08.23
강진 무위사 (2021.04.06)  (0) 2022.08.22
해남 서동사 (2021.04.06)  (0) 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