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지방문화재

단양 적성산성(단양적성) (2019.05.29)

산을 오르다. 2019. 5. 30. 15:51
728x90

단양 적성산성(단양적성) (2019.05.29)



정의

충청북도 단성면 하방리에 있는 신라시대 산성.

개설

해발 323.7m의 성산(, 성재산) 정상부에 있는 산성이다. 소백산맥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았는데, 동쪽은 죽령천(), 서쪽은 단양천()이 북쪽으로 남한강에 합류하여 3면이 하천으로 둘러싸인 자연 해자를 이루고 있다. 남동쪽으로 4.5㎞ 떨어진 곳에는 공문성()이 자리하고 있고, 서남쪽으로는 소이산봉수()가 바라다 보인다. 산성의 주변에는 남한강의 상류 방면과 하류 방면으로 각각 고대 교통로가 나 있으며, 동서쪽으로는 벌령() 길이 트여 있다. 남한강 수로를 따라 영월과 충주 방면으로 진출이 용이하고, 강 건너 제천 방면으로 진출하기에도 유리한 교통의 요충지에 있는 산성이다.

역사적 변천

적성이 자리한 단양 지역은 신라시대에 적성현()이 위치하였다. 적성에 대해서는『신증동국여지승람(輿)』에 “둘레가 1,768척이고 안에는 큰 우물 1개소가 있다”고 하면서, 원래 성산(), 성산성(), 고성() 등으로 불렸다고 기록되었다.『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調)』에는 주민들이 민보성(), 농성()이라 불렀다고 전한다.

그러나 1978년에 발견된 단양신라적성비(, 국보 제198호)에는 이 산성을 적성()이라고 하였다. 비문의 내용에 의하여 이 산성이 법흥왕·진흥왕 때 신라가 죽령()을 넘어 한강의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고 북쪽으로 세력을 팽창시키는 요충지로 이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성 안에서는 신라 토기와 기와 조각이 주로 확인되었지만 통일신라시대 토기 조각과 고려시대의 토기·청자 조각도 출토되어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산성은 동서로 긴 타원형으로, 말 안장 모습을 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북서쪽은 경사가 급하고, 남동쪽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성 안은 서고동저(西)·북고남저()의 지형을 하고 있다.

성벽은 깬돌을 안팎을 포개며 엇물린 내외협축()의 방식으로 쌓았다. 북동쪽의 성벽이 잘 남아 있는데, 높이는 3m쯤 되며, 남서쪽·남쪽·동남쪽 성벽에는 성문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산성의 북쪽에 남한강이 흐르고 강 주변이 가파른 절벽이므로, 자연적인 지리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축성한 것으로 보인다.

특징

성벽과 성 안에서는 여러 시설이 확인되었다. 성벽은 주변에 많이 분포하는 화강암과 석회암반 등을 잘라 확보한 깬돌과 다듬은 돌을 이용하여 쌓았는데, 지형에 따라 돌의 재질과 크기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북쪽벽에서 남쪽벽으로 낮아지며 돌아 나가는 동쪽 끝부분은 완만한 경사지로, 가장 쉽게 성벽에 접근할 수 있는 취약한 부분인데, 문터가 있었다가 메워진 흔적이 남아 있다. 문터 안쪽에는 투석용으로 추정되는 석환() 무더기가 있다. 성벽의 서쪽 끝부분은 매우 가파른 지형임에도 능선을 따라 곡성() 형태의 치()를 두었다. 치 아래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보축 성벽이 남아 있어 동쪽 끝부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곳에는 문구부 시설이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현재 상태로 보아 문구부의 너비는 6.4m 이내로 추정되며, 이 구간의 성벽 아래부분에는 들여쌓은 계단식 축조 방법이 확인되었다. 남쪽 벽은 대부분 붕괴되었으나 남향한 경사면의 중간 부분을 다듬어서 바깥면에 돌을 쌓았고 안쪽에는 돌을 메워 축조하였다. 산성에서 가장 낮은 남동쪽에는 윗부분에 이르러 내외협축하였는데, 성벽의 기울기는 75∼80°정도이며 벽면이 정연하지는 못하다. 이곳에 문터와 수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 안으로 진입하는 출입구는 모두 남쪽벽에 있지만 지표상에서 문터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두 출입구 사이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는 궁형()으로 성벽이 돌아가고 있으며 동쪽 끝부분과 서쪽 끝부분을 평지로 연결하는 가장 넓은 환도상()을 이루고 있다. 북쪽벽은 환도상의 평탄한 서반부와 동향으로 경사진 동반부로 나누어지지만, 군데군데 성벽이 붕괴된 채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적성에서는 단양신라적성비가 발견되었다. 이 비는 적성의 성격이나 축성 주체·목적·연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비의 건립 연대는 늦어도 신라 거칠부()의 10군 공략이 이루어지는 진흥왕 12년(551) 이전으로 보인다. 따라서 적성은 6세기 중엽 이전에 신라가 남한강 상류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 기지로 활용하고자 쌓은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닌 성으로 평가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단양적성에서 본 소백산 방향의 모습



단양적성신라비 가는길



단양적성산성에서 본 소백산 방향의 모습



단양적성산성에서 본 소백산 방향의 모습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과 말목산의 모습



적성산성



적성산성과 남한강의 모습



적성산성에서 본 남한강의 모습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



적성산성의 모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