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

충주박물관 (2019.04.07)

산을 오르다. 2019. 4. 8. 13:52
728x90

충주박물관 (2019.04.07)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길에 있는 시립박물관.

개설

중원문화의 중심지인 충주지역에 산재해 있는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문화재와 유적지를 조사․ 연구․ 전시하고 있다. 1986년 11월 25일 충주시민들이 기증한 유물을 모아 성내동에 개관한 유물전시관에서 출발하여 1990년 11월 3일충주박물관으로 등록하였다. 1995년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되면서 1994년 개관한 중원향토민속자료전시관으로 통합되어 지금의 시립충주박물관으로 성장하였다.

현황

충주 지방의 향토사 연구 단체인 예성동호회(현 예성문화연구회)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건립되었다. 중원 문화권의 학술 연구와 유물 및 유적의 보호·전승 및 학술 조사, 사회 교육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박물관은 제1관, 제2관, 야외전시,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관은 역사1·2실, 민속1·2실로 구분하여 불교미술품과 민속품 위주로 전시되고 있으며, 제2관은 선사삼국실, 고려조선실, 충주항쟁실, 충주명현실 4실로 구분하여 충주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되었다. 야외전시에서는 중원문화권내에 흩어져 있던 석조유물을 한눈에 볼 수 있는데, 충주댐 수몰지역에서 옮겨온 신매리 선돌을 비롯하여, 율능리 석불입상, 장성리 삼층석탑과 석불좌상, 용탄동 석탑, 신만리부도, 성불사 석불좌상 등 많은 불교관련 유물과 각종 묘비, 문인석과 동자석, 촛대석 등이 있다.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은 신석기·청동기시대의 조동리 유적의 유구와 유물을 소개하고 전시하는 선사문화실과 선사시대의 농경, 선사시대 곡물 출토 유적, 출토 곡물로 본 조동리의 유적을 전시하는 농경실이 있다.

소장 유물은 금속 유물 384점, 옥석 유물 281점, 토도 유물 1,264점, 목죽초칠 유물 381점, 피모지직 유물 242점, 서화 탁본 유물 488점 등 총 3,000여 점에 이른다.

이 중 특히 주목되는 유물은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및 초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자양금()」(충청북도 시도민속문화재 제9호) 등이다. 이수일장군 초상은 17세기의 초상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자양금은 한말의 유학자인 유중교()가 연주하던 악기로,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설 전시와 더불어 충주 지역에서 수집·발굴되는 유물을 중심으로 매년 특별전을 개최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충주지역 출토 유물 특별전’(1995),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2004), ‘우리 벼루의 가을 나들이'(2008) 등의 전시를 개최하였다.

전시와 더불어 박물관의 주요 기능인 학술 조사 활동도 활발히 진행하여 『충주단월동고려묘 발굴조사보고서( 調)』(1992), 『충주이류면 야철유적 지표조사보고서( 調)』(1996), 『충주단월동고려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調)』(1996) 등의 지표 및 발굴 조사 보고서를 간행하였다. 이 중 『충주이류면 야철유적 지표조사보고서』는 47개소의 야철 유적지를 조사 보고함으로써 문헌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과거 충주가 철의 산지였음을 입증한 것이다.

또한 사회 교육 활동으로 매년 초·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충주 지역의 역사와 인물, 문화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체험학습과 답사를 실시하는 어린이문화학교를 비롯하여 박물관대학, 전통문화학교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충주박물관의 모습



충주박물관



흑유정병(고려)



보물 제700-2호 선림보훈



보물 제700-2호 선림보훈



보물 제700-2호 선림보훈



보물 제700-2호 선림보훈



선종영가집(고려 1381년)



백자모정(조선,충주 숭선사지 출토)



청동뿔잔(고려)



백자용문소호(조선)



청자 탁잔(고려.충주시 단월동 고려묘 출토)



청자 탁잔(고려.충주시 단월동 고려묘 출토)



중요민속문화재 제246호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창의)



중요민속문화재 제246호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철릭)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63호 지리신법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62호 십현담요해



김창집 초상(조선)



임경업 장군 초상



쌍용문경(고려)



흑백상감 국화문 청자탁잔(고려)



흑백상감 국화문 청자탁잔(고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