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6844

(보물 제1478호) 조씨삼형제 초상

(보물 제1478호) 조씨삼형제 초상        정의조계(趙啓, 1740-1813), 조두(趙, 1753-1810), 조강(趙岡, 1755-1811) 삼형제를 하나의 화폭에 그린 가족 초상화.개설「조씨삼형제초상」은 원래 평양 조씨 승지공파 문중에 내려오던 것으로 조계, 조두, 조강 삼형제를 하나의 화폭에 그린 작품이다. 맏형 조계는 종2품 외관직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를 역임하였고, 둘째 조두는 정조7년 무과 급제 후 3품 선천부사(宣川府使)를, 막내 조강은 삭주부사(削州府使)를 거쳐 종2품 광주중군(廣州中軍)을 지냈다.특징「조씨삼형제초상」은 얼굴을 살짝 오른 편으로 돌린 좌안8분면(左顔八分面)의 복부까지 내려오는 반신상으로, 맏형 조계를 중심으로, 하단 좌우에 둘째 조두와 셋째 조강이 그려진 삼각형 ..

대한민국 보물 2024.10.08

도봉산(포대능선정상,신선대) 산행사진 (2024.10.02)

도봉산(포대능선정상,신선대) 산행사진 (2024.10.02)        이동거리 : 11.98km 산행시간 : 5시간 43분(휴식시간 1시간 7분 포함) 최고고도 : 727m 최저고도 : 26m 오름높이 : 1459m    날씨 : 맑고 쾌청. 전형적인 가을 날씨.    코스 : 망월사역 ~ 대원사 ~ 쌍용사 ~ 덕제샘 ~ 망월사 ~ 포대능선정상 ~ Y계곡 ~ 신선대 ~ 마당바위 ~ 천축사 ~ 도봉산역  - 11:24 : 망월사역   - 11:40 : 대원사  - 11:54 : 쌍용사   - 12:35 : 덕제샘  - 12:58 : 망월사  - 13:44 : 포대능선 합류  - 14:39 : 포대능선 정상(해발 722m)  - 14:45 : Y계곡  - 15:11 : 도봉산 신선대 정상(해발 726m)..

서울 도봉산 천축사 (2024.10.02)

서울 도봉산 천축사 (2024.10.02)        정의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내용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673년(문무왕 13)에 의상(義湘)이 만장봉 동북쪽 기슭에 있는 의상대(義湘臺)에서 수도할 때 현재의 위치에 절을 창건하고 옥천암(玉泉庵)이라고 하였다.그 뒤 고려 명종 때는 영국사(寧國寺)를 창건한 뒤 이 절을 부속 암자로 삼았으며, 1398년(태조 7)함흥으로 갔다가 돌아오던 태조가 옛날 이곳에서 백일기도하던 것을 상기하여 절을 중창하고 천축사라는 사액(寺額)을 내렸다. 절 이름을 천축사라고 한 것은 고려 때 인도 승 지공(指空)이 나옹화상(懶翁和尙)에게 이곳의 경관이 천축국의 영축산과 비슷하다고 한..

사찰,절,암자 2024.10.07

의정부시 도봉산 망월사 (2024.10.02)

의정부시 도봉산 망월사 (2024.10.02)        요약망월사(望月寺)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가 창건한 사찰이다. 해호가 머물렀던 동대(東臺)의 옛 산성 이름이 망월성(望月城)이었기 때문에 망월사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이 사찰은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의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경내에는 고려 혜거국사의 승탑이 남아 있으며, 망월사에서 간행된 『진언집』 책판 관련 목판 4종 등 조선시대 불교 관련 유물이 다수 전한다.정의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가 창건한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사찰.요약망월사(望月寺)는 경기도 의정부시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해호(海浩)가 창건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의 본사인 봉..

사찰,절,암자 2024.10.07

의정부시 도봉산 쌍용사 (2024.10.02)

의정부시 도봉산 쌍용사 (2024.10.02)         원도봉계곡을 끼고 도봉산 자락에 위치한 쌍용사는 비탈사면에 계단식으로 터를 조성하여 밑에서 보면 가람이 한눈에 들어온다.전체적인 가람의 배치는 계단을 중심으로 대웅전이 서 있고 좌측으로 요사채, 우측으로 범종각, 종무소, 삼성각이 자리한다. 도봉산 쌍용사(경기 의정부시 호원동 산92)는 대한불교조계종 봉선사의 말사이다.신라의 최초 여왕인 선덕여왕 때 원효가 창건한 비룡사 터에 쌍용사로 중건하였는데 정확한 연대는 알수가 없다.     쌍용사의 모습  쌍용사 석불  쌍용사의 모습  쌍용사의 모습  대웅전  석탑  석불  삼성각  쌍용사에서 보는 의정부시의 모습

사찰,절,암자 2024.10.07

의정부시 도봉산 대원사 (2024.10.02)

의정부시 도봉산 대원사 (2024.10.02)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산93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봉선사 말사이다.대원사는 옛가람 비룡암터에 1956년 낡은 암자 건물을 헐고 현재의 대웅전과 요사채를 건립하였다.1960년 경내를 확장하고 삼성각과 선원채를 건립해 가람을 이루었으며, 그 다음해에 정중탑도 건립하였다.1965년 범종을 주성하고 범종각을 건립하였으며, 1967년에는 약사전을 창건하였다.약사전 부근의 청감수가 유명하다.      대원사 일주문  대원사 일주문  대원선원  삼성각  삼성각에서 보는 대원사의 모습  대원사의 모습  대원사 석탑  대웅전  천불전  범종각  대원사의 모습

사찰,절,암자 2024.10.07

북한산 형제봉능선 (형제봉,잠룡봉) (2024.09.24)

북한산 형제봉능선 (형제봉,잠룡봉) (2024.09.24)       이동거리 : 10.80km 산행시간 : 4시간 19분(휴식시간 22분 포함) 최고고도 : 688m 최저고도 : 62m 오름높이 : 1096m   날씨 : 맑고 쾌청. 한여름내내 우중충한 껍질을 벗겨내고 파란물감을 하늘에 뿌린 느낌이다.    코스 : 국민대학교 ~ 북악공원지킴터 ~ 형제봉 ~ 일선사 ~ 대성문 ~ 대남문 ~ 잠룡봉 ~ 대성암 ~ 산영루 ~ 중성문 ~ 대서문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10:51 : 국민대학교  - 11:00 : 북악공원지킴터  - 11:59 : 형제봉 정상(해발 462m)  - 12:46 : 일선사  - 13:05 : 대성문  - 13:15 : 대남문  - 13:20 : 잠룡봉 정상(해발 701m)  ..

서울 북한산 일선사 (2024.09.24)

서울 북한산 일선사 (2024.09.24)        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도선국사가 창건한 사찰. 내용북한산 보현봉 아래에 위치한 일선사(一禪寺)는 보현사(普賢寺), 관음사(觀音寺), 일선사(一詵寺)라고도 불렀다.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 사찰이다. 신라말인 9세기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보현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는데, 현재의 위치보다 서쪽으로 300m쯤 떨어진 자리였다. 지금도 서쪽으로 30m 떨어진 곳에 '보현굴'이라고 불리는 굴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대감국사(大鑑國師) 탄연(坦然, 10701159)이 중창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 13271405)가 중창하여 이 절에서 수도 정진했고, 이곳이 한양의 요충지라고 지목하여 ..

사찰,절,암자 2024.10.06

북한산성 금위영 이건기비 (2024.09.24)

북한산성 금위영 이건기비 (2024.09.24)        정의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산성에 있는 조선후기 금위영의 이건 내력을 기록한 기적비.내용1979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총높이 1.41m, 비높이 1.05m, 너비 2.25m이다. 원래 금위영은 소동문(小東門) 안에 있었으나 그 지세가 높아 비바람이 몰아치면 무너지기 쉬우므로 보국사(輔國寺) 아래로 옮기게 되었다. 금위영 이건기비는 이러한 사실을 적은 비이다. 비의 재료는 화강암으로 뒷면은 땅에 묻혀 있다. 장대석(長臺石)으로 지붕돌을 씌웠는데 전면에만 낙수면을 새겼다.와비(臥碑)의 형식으로 비문의 끝부분에 ‘을미즉대명숭정갑신후칠십이년야도제조이이명지(乙未卽大明崇禎甲申後七十二  年也都堤調李頤命識)’이란 명문으로 보..

불교중앙박물관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 교종본찰 봉선사 특별전) (2024.09.05)

불교중앙박물관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 교종본찰 봉선사 특별전) (2024.09.05)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관장 서봉 스님, 이하 박물관)과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 봉선사(주지 호산 스님)는 봉선사 본·말사의 불교문화유산을 조망하는 특별전 《큰 법 풀어 바다 이루고, 교종본찰 봉선사》(이하 특별전)를 2024년 9월 5일(목)부터 12월 1일(일)까지 박물관 전시실에서 개최합니다. 특별전에는 경기 북부 지역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보물 15건을 비롯해 총 93건 262점의 문화유산을 전시합니다. 이를 위해 봉선사 본·말사는 물론 해인사, 통도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등 여러 사찰과 기관 26곳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을 선보입니다. 봉선사는 969년에 운악사..

박물관,미술관 2024.10.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