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헌 이석형 묘 및 신도비 (2019.10.23) 저헌 이석형 묘 및 신도비 (2019.10.23) 정의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석형의 묘와 신도비. 개설저헌(樗軒) 이석형(李石亨)은 1441년(세종 23) 사마시에 합격하고 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14년간 집현전에서 여러 관직을 맡았다. 세조의 총애를 받아 황해도관.. 왕릉,묘,무덤 2019.10.25
정몽주 선생 묘 (2019.10.23) 정몽주 선생 묘 (2019.10.23) 정의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고려후기 관리·학자 정몽주의 무덤. 시도기념물. 내용경기도 기념물 제1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능원리)에 있다. 1392년(공양왕 4) 순절한 뒤 풍덕군에 묘를 썼으나, 뒤에 고향인 경북 영천으로 묘를 옮.. 왕릉,묘,무덤 2019.10.25
영월 장릉 (2019.09.01) 영월 장릉 (2019.09.01) 정의강원도 영월군 영월면에 있는 조선전기 제6대 단종의 능. 왕비릉. 사적. 내용사적 제196호. 1458년(세조 3) 성삼문(成三問) 등이 도모한 상왕복위계획이 탄로되어 영월에서 사사(賜死)되자, 영월호장 엄흥도(嚴興道)가 관을 갖추어 장사지낸 뒤 숨겨져왔다. 중종 이후.. 왕릉,묘,무덤 2019.09.03
아산 이충무공 묘 및 신도비 (2019.08.23) 아산 이충무공 묘 및 신도비 (2019.08.23) 정의조선 중기의 명장 이순신의 묘. 개설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에 위치한다. 김육이 지은 글을 새긴 신도비와 이이명의 글을 새긴 묘비, 상석, 혼유석, 무인석, 장명등, 석수 등이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12호로 지정되었고, 현충사 관리.. 왕릉,묘,무덤 2019.08.24
유형원 선생 묘 (2019.08.04) 유형원 선생 묘 (2019.08.04) 정의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에 있는 조선후기 실학자 유형원의 무덤. 시도기념물. 개설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 정배산(鼎排山) 남쪽 야산에 위치한다. 이 묘역의 후방에는 부친인 유흠(柳欽)과 어머니 이씨를 합장한 묘역이 있다. 1976년 8월 27.. 왕릉,묘,무덤 2019.08.05
허균 묘 (2019.08.04) 허균 묘 (2019.08.04) 용인시 원산면 맹리에 소재. 그러나 그의묘는 가묘다, 역모혐의로 능지처참을 당하여 시신조차 수습할수 없었기 때문이다. 허균 묘소 허균 묘비 허균 묘소 허균 부친 허엽 묘소 혀균 부친 허엽 묘소 허엽 정부인 강릉김씨 묘비 왕릉,묘,무덤 2019.08.05
채제공선생묘 (2019.08.04) 채제공선생묘 (2019.08.04) 정의조선 후기, 정조 때의 재상 채제공의 무덤. 개설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위치한다. 1973년 7월 10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채제공(蔡濟恭, 1720~1799)의 본관은 평강(平康), 호는 번암(樊巖)이다. 1743년(영조 19)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관.. 왕릉,묘,무덤 2019.08.05
민영환 선생묘 (2019.07.02) 민영환 선생묘 (2019.07.02) 정의조선 말기 을사늑약에 항거해 순국한 민영환의 묘. 내용경기도 기념물 제18호. 경기도 용인시 구성면 마북리에 있다. 봉분 앞에 상석과 향로석, 장명등, 그 우측에 묘비가 있으며, 묘역 앞 좌우로 문인석 1쌍이 배열되어 있다. 높은 사성(莎城 : 무덤 뒤를 반달.. 왕릉,묘,무덤 2019.07.03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2019.07.02)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 (2019.07.02) 정의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조광조의 묘와 신도비. 개설조광조(趙光祖)[1482~1519]는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으로,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 본관은 한양(漢陽)이다. 중종의 총애를 받으면서 유교를 통해 정치와 .. 왕릉,묘,무덤 2019.07.03
숭선군묘 (2019.06.06) 숭선군묘 (2019.06.06) 정의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인조의 다섯째 아들인 숭선군[崇善君(?∼1690), 이름: 이징(李澂), 시호: 효경(孝敬)]의 유택. 내용충청남도 기념물 제6호. 이곳에 묘소가 있게 된 연유는 이괄(李适)의 난으로 인조가 공주로 파천한 적이 있었는데, 훗날 숭선.. 왕릉,묘,무덤 2019.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