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원관지 (2016.08.29) 작원관지(鵲院關址) (2016.08.29)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73호로 지정되었다. 밀양시가 소유하고 있으며, 영남(嶺南)지방의 동서와 남북을 잇는 요로(要路)의 역원(驛院)인 작원관의 옛터로 까치원터라고도 한다. 작원관은 고려시대부터 왜적의 침공을 방비하던 요새지로 고려 ..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30
월연정 (2016.08.21) 월연정 (2016.08.21) 경상남도 밀양시 용평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별서(別墅) 건축. 정면 5칸, 측면 2칸의 2익공계 팔작지붕건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3호. 월연정은 본래 월영사가 있던 곳으로 밀양강가 월영연(月影淵)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 별서를 창건한 것은 조선 중종 때..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22
아랑각 (2016.08.21) 아랑각 (2016.08.21)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밀양시 소유로 시에서 관리하며 아낭사(阿娘祠)라고도 부른다. 아낭은 조선 명종 때 밀양부사의 딸 윤동옥(尹東玉)을 가리키며 재기있고, 자색이 뛰어난 규수로 전..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22
밀양읍성 (2016.08.21) 밀양읍성 (2016.08.21) 경상남도 밀양시 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지. 경상남도 기념물 제167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1479년(성종 10)에 처음 돌로 쌓았는데 둘레 4,670자, 높이 9자, 우물 4개와 못이 1개소가 있었다고 하였다(石築周四千六百七十尺 高九尺 內有四井一池 成化十..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22
밀양관아지 (2016.08.21) 밀양관아지 (2016.08.21) 경상남도 기념물 제270호 지방의 수령(守令)이 공무(公務)를 처리하던 곳을 관아(官衙)라 하는데, 『밀주구지(密州舊誌)』에 밀양의 관아에 대하여 “아사내외 동서헌별실백여간임진왜란탕진무여 만력신해부사원유남중창(衙舍內外 東西軒別室百餘間壬辰倭亂蕩盡..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22
표충비 (2016.08.21) 표충비 (2016.08.21) 경상남도 밀양시 부안면 무안리에 있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이었던 사명대사(泗溟大師)의 충정심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 표충사에서 동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에 있다. 현종(顯宗)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서산대사(西山大師)·사명..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22
박익 벽화묘 (2016.08.21) 박익 벽화묘 (2016.08.21) 고려말기 문신 박익의 벽화가 그려진 무덤. 사적 제459호. 박익벽화묘는 문인석(文人石) 1쌍, 갑석(甲石), 호석(護石: 묘를 보호하기 위해 봉분 둘레에 세워진 판석으로 병풍석이라고도 함)을 갖춘 방형분(方形墳)으로 1420년(세종2)에 축조된 것이며, 1999년 9월 태풍으.. 경상남도 지방문화재 2016.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