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보 제235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정의
고려후기 『대방광불화엄경』을 감색 종이에 금분(金粉)으로 필사한 불교경전.
내용
1986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권 1첩. 이 사경은 당나라 반야(般若)가 한역(漢譯)한 「보현행원품」으로 지정(至正) 연간(1341∼1367)에 삼중대광(三重大匡) 영인군(寧仁君) 이야선불화(李也先不花)가 집안의 평안을 빌기 위해 사성한 『금강경』·『장수경(長壽經)』·『미타경(彌陀經)』·『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보현행원품」 가운데 하나이다.
권말의 사성기(寫成記)에 사성연도가 지워져 있어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으나, ‘지(至)’자로 시작되는 점과 사경의 품격으로 보아 고려 말인 지정 연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현존하는 고려시대 사경 중 뛰어난 변상도를 지녔을 뿐 아니라 그 뒷면에 ‘행원품변상문경화(行願品變相文卿畵)’와 같이 변상도 작가가 명시되어 있어 고려시대 사경을 연구하는 데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2024.04.16 촬영









2021.08.19 촬영
728x90
'대한민국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 (0) | 2022.09.03 |
---|---|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 (0) | 2022.09.03 |
(국보 제210호)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0) | 2022.09.03 |
(국보 제234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0) | 2022.09.03 |
(국보 제295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