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234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정의
1330년 『묘법연화경』을 감색 종이에 은니로 필사한 불교경전.
개설
『묘법연화경』은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한데 모아 요약한 경전으로, 법화사상을 담고 있는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이다. 흔히『법화경』이라고 하며, 가장 널리 알려진 대승 경전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406년에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한역(漢譯)한 것이 주로 간행·유통되었고, 그 뒤 송나라 계환(戒環)이 본문의 뜻을 쉽게 풀이한 주해본(註解本) 7권이 크게 유행하였다.
내용
감색 종이에 은가루[銀泥]를 개어 베껴 쓴 것으로,『묘법연화경』전 7권 완질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8.3㎝, 가로 10.1㎝이며, 6행을 한 면으로 접었는데, 1행은 17자이다. 경전의 본문은 은니로 되었지만, 표지의 경전 제목, 본문 위아래의 테두리를 두른 선인 변란(邊欄), 행과 행을 구분하는 계선(界線) 등은 금니(金泥)로 되어 있다. 표지의 경전 제목 위아래에는 꽃무늬가 금색과 은색으로 화려하게 그려져 있다.
권7 끝부분에는 사성기(寫成記)가 있다. 그에 따르면, 1330년(충숙왕 17) 4월에 홍산군(鴻山郡)의 호장(戶長)이었던 이신기(李臣起)가 살아계신 아버지의 장수와 돌아가신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조성하였고, 승려 정인(正因)이 한 마음으로 발원하였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경전의 내용을 요약한 변상도(變相圖)가 없어 아쉽지만, 사경을 한 시기가 빠른 데다가 7권 모두 온전하게 전한다. 고려시대 사경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紺紙銀泥妙法蓮華經]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2024.04.16 촬영



2021.08.19 촬영




'대한민국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235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0) | 2022.09.03 |
---|---|
(국보 제210호)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0) | 2022.09.03 |
(국보 제295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 (0) | 2022.09.02 |
(국보 제50호) 영암 도갑사 해탈문 (0) | 2022.09.02 |
(국보 제315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