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의암 유인석 묘역 (2011.02.12) 춘천 의암 유인석 묘역 (2011.02.12) 2000년 3월 11일 강원도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 한말의 대표적인 의병장 의암(毅菴) 유인석(柳麟錫)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묘지 및 비석이 있는 일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유인석은 본관은 고흥(高興), 자 여성(汝聖)이다. 남면 가정리.. 왕릉,묘,무덤 2011.02.12
박문수 묘 (2010.11.28) 박문수 묘 (2010.11.28)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은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박문수의 묘. 개설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 은지리 일대는 박문수(朴文秀)[1691~1756]의 사패지(賜牌地)[임금이 내려준 논과 밭]로 알려져 있다. 박문수는 조선 후기 이인좌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분무공신(.. 왕릉,묘,무덤 2010.11.28
남양주 홍릉과 유릉 (2010.06,24) 남양주 홍릉과 유릉 (2010.06,24)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능. 개설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무덤인 홍릉과 순종과 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의 무덤인 유릉의 합칭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1970년 5월 26일에 사적 제207호로 지정되.. 왕릉,묘,무덤 2010.06.24
구리 동구릉 1 (2010.06.08) 구리 동구릉 1 (2010.06.08)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능. 9릉 17위의 왕과 왕비, 후비 등을 안장한 왕릉이다. 사적 제193호. 1408년(태종 8) 태조의 건원릉(健元陵) 터로 쓰여지기 시작한 뒤 조선시대 일대를 통해 족분(族墳)을 이루고 있는 왕릉군(王陵群)이다. 기록에 따르면, 태.. 왕릉,묘,무덤 2010.06.08
구리 동구릉 2 (2010.06.08) 구리 동구릉 2 (2010.06.08) 휘릉 정자각에서 본 홍살문 동구릉 숲길 동구릉 숲길 원릉 원릉 원릉 원릉 원릉 정자각 원릉 정자각 원릉 홍살문의 모습 동구릉 숲길 경릉 경릉 노송 경릉 정자각 경릉 경릉 홍살문 경릉 동구릉 숲길 동구릉 숲길 혜릉 혜릉 혜릉 혜릉 정자각 혜릉 혜릉 혜릉 홍살.. 왕릉,묘,무덤 2010.06.08
국립 이천호국원 (2009.11.21) 국립 이천호국원 (2009.11.21) 2008년 5월 1일 국립묘지로 개원하였다. 2002년 수도권 주변인 경기도 이천에 부지를 매입하였으며 면적은 1205㎡이다. 2005년 공사를 착공하여 2008년 4월 30일 준공하였다. 유해가 없는 유공자를 봉안하는 시설로 위패를 봉안할 수 있는 봉안담이 설치되어 2,230기의 .. 왕릉,묘,무덤 2009.11.21
국립4.19 민주묘지 (2009.08.23) 국립4.19 민주묘지 (2009.08.23) 삼각산(북한산) 기슭의 국립 4.19 묘지는 1960년 4.19 혁명 때에 희생된 224분의 합동 분묘로서, 이들을 기리는 기념탑이 세워져 있고, 기념탑 중앙에는 의롭게 죽어간 이들을 기리는 탑문이 새겨져 있다. 135,901m²의 묘지 경내에는 소나무와 향나무, 주목과 단풍나.. 왕릉,묘,무덤 2009.08.23
서울 태릉 (2008.08.03) 서울 태릉 (2008.08.03)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있는 조선 제11대왕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능. 사적 제201호. 능호는 1565년(명종 20)에 정하여졌다. 문정왕후는 중종의 원비 장경왕후(章敬王后)와 동원(同原)에 있는 중종의 정릉(靖陵)을 봉은사(奉恩寺) 곁에 옮기고 자신도 후.. 왕릉,묘,무덤 2008.08.03
국립4.19 민주묘지(2008.01.05) 국립 4.19 민주묘지(2008.01.05) 삼각산(북한산) 기슭의 국립 4.19 묘지는 1960년 4.19 혁명 때에 희생된 224분의 합동 분묘로서, 이들을 기리는 기념탑이 세워져 있고, 기념탑 중앙에는 의롭게 죽어간 이들을 기리는 탑문이 새겨져 있다. 135,901m²의 묘지 경내에는 소나무와 향나무, 주목과 단풍나.. 왕릉,묘,무덤 2008.01.05
구암한백겸 묘 및 신도비 (2007.10.29) 구암한백겸 묘 및 신도비 (2007.10.29) 정의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부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실학자 한백겸(韓百謙)의 묘 및 신도비. 내용 경기도기념물 제165호. 한백겸(1552∼1615)의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구암(久菴)이다. 1579년(선조 12) 문과에 급제했으나 당시 당쟁이 격화되어 정국이 혼.. 왕릉,묘,무덤 200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