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박물관,미술관 242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3.09.22)

평창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3.09.2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珍富面) 월정사(月精寺)에 있는 불교 전문박물관. 1999년 10월 13일 자연적 혹은 인위적 훼손에 노출되어 있는 월정사 본·말사의 주요 불교문화재(성보 聖寶)를 연구·전시하기 위하여 개관하였다. 월정사를 중심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에 속하는 강원도 남부 약 60여 개 전통사찰에 봉안된 성보문화재를 보관·전시·연구하고 있다. 박물관의 기원이 된 것은 1974년 만화대선사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면적 60㎡)에 진열장과 보관시설을 갖추어 조성한 보장각(寶藏閣)이다. 이후 문화재의 보다 안전한 보관을 위하여 1995년 성보박물관 건립이 추진되었고 1996년 공사에 착수하여 1997년 12월 완공하였다. 2000년..

박물관,미술관 2023.09.27

국립고궁박물관 (활옷 만개) (2023.09.15)

국립고궁박물관 (활옷 만개) (2023.09.15) 활옷 만개滿開,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 활옷은 조선의 공주·옹주가 혼례에 갖추어 입었던 의례복이다. ‘활옷’이라는 명칭이 기록에 나타나는 것은 근대기부터지만, 붉은 비단에 각종 무늬가 한가득 수놓아진 여성 혼례복, 그 형태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인 홍장삼紅長衫에 이른다. 홍장삼은 가장 귀한 붉은색인 대홍大紅으로 염색한 옷감에 백년해로百年偕老, 다산多産, 장수長壽 등 부부의 앞날을 축복하는 의미를 담은 다양한 무늬를 수놓아 정성스레 만들었다. 조선왕실의 울타리를 넘어 점차 민간으로 퍼진 활옷에는 이제 갓 부부가 되는 모든 인연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고 축원하는, 그들의 삶이 활짝 피어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문화재청 자료 인..

박물관,미술관 2023.09.26

불교중앙박물관 (백암산 백양사 특별전) (2023.09.15)

불교중앙박물관 (백암산 백양사 특별전) (2023.09.15)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관장 서봉스님)과 제18교구본사 백양사(주지 무공스님)가 특별전 ‘백암산 백양사’를 연다. 이번 특별전은 백양사 본·말사가 소장하고 있는 주요 성보를 불교중앙박물관에서 공개함으로써 전남 북부지역의 불교문화를 대중에게 선보여 불교와 종단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전시는 ‘백양사의 창건과 역사’ ‘전남 북부의 불교문화’ ‘근대 백양사의 중창과 고불총림’ 등 3가지 주제로 마련됐다. 제1전시실에 마련되는 ‘백양사의 창건과 역사’는 백양사 극락보전 아미타회상도(보물)의 발원문과 백양사 명부전 지장보살좌상 및 1653년 발원문을 비롯해 연담유일스님과 설파상언스님, 환응탄영스님 등 조선 후기 백양사 고승 관련 ..

박물관,미술관 2023.09.25

국립진주박물관 (2023.06.16)

국립진주박물관 (2023.06.16)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晋州城) 안에 있는 국립 박물관. 설립목적 1980년 10월 기공식을 가진 뒤 1984년 11월 일곱 번째의 국립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진주는 임진왜란의 최대 격전지인 진주성 전투가 있었던 곳으로 촉석루·쌍충사적비 등 많은 임진왜란 유적들이 남아 있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들의 과학적인 보존과 전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1996년부터 본격적인 전시 체제를 개편하여 1998년 1월 15일 기존의 가야 문화 위주의 박물관에서 임진왜란 전문 역사박물관으로 재개관하였다. 기능과 역할 진주박물관은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를 상징하는 탑의 선을 우리의 고건축 양식으로 조화시킨 현대식 건물이다. 연건평 1,497평, 지상 2층이며, 전..

박물관,미술관 2023.06.24

국립익산박물관 (2023.05.31)

국립익산박물관 (2023.05.31)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국립 박물관 설립목적 백제 무왕(600~641) 때 창건된 미륵사지 출토 유물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고 이를 학술적으로 연구하여 미륵사 1000여 년의 역사와 신앙·생활·문화 등이 복합되어있는 유물들의 전시를 통해 백제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백제의 문화를 규명하기 위해 수립된 정부의 중서부 고도문화권 개발계획으로 이루어진 미륵사지의 발굴조사가 1980년 시작되었으며 1996년까지 1만 9000여 점에 이르는 귀중한 유물이 미륵사지에서 출토 되었다. 이러한 발굴성과를 통해 미륵사지가 백제 최대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전라북도에서는 1992년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을 착공하였다. 1994년 건..

박물관,미술관 2023.06.02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성균관의 보물 특별전) (2023.05.30)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성균관의 보물 특별전) (2023.05.30) 성균관대학교는 ‘국가지정유물’ 등 주요 소장품을 선보이는 《성균관의 보물, Layers of culture》 특별전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성균관대박물관과 동아시아학술원의 존경각(尊經閣)이 손잡고 펼치는 이번 전시는 오는 23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열린다. 전시에는 지난 3일 보물로 지정 예고된 ‘근묵(槿墨)’과 위창 오세창 서거 7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유물들이 공개된다. 아울러 ‘김천리개국원종공신녹권’과 존경각이 소장하고 있는 ‘춘추경좌씨전구해’ 등 국가지정보물이 함께 전시된다. 박물관 건물의 모습 박물관 입구 성균관의 보물 전시실 (보물 제2167호) 춘추경좌씨전구해..

박물관,미술관 2023.06.01

국립중앙박물관(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특별전) (2023.05.29)

국립중앙박물관(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특별전) (2023.05.29) 국립중앙박물관은 2023년 첫 번째 특별전시로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를 재조명하는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을 개최합니다. 고대 신라, 가야의 장송의례에 사용되었던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내세관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수습되어 재정리 사업을 통해 새롭게 복원한 경주 황남동 출토 토우장식 토기 100여 점과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토기 일괄 등 최근의 발굴조사 성과를 종합한 300여 점의 유물을 공개합니다.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 1600년 전 죽은 이와 함께 했던 특별한 동행자가 전하는 이야기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모습 국립중앙박물관의 모습 조..

박물관,미술관 2023.05.30

국립민속박물관 (2023.05.23)

국립민속박물관 (2023.05.23)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경복궁 내에 위치한 민속 박물관. 설립목적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양식·풍속 및 관습을 조사·연구하며, 생활 민속 유물을 수집·보존하며 더 나아가 이를 전시함으로써 우리 민속의 전통 문화를 보급·선양하며 국제 문화 속의 한국 문화를 부각시키고자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45년 11월 8일 한국 민속학의 선구자인 송석하(宋錫夏)의 수장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중구 예장동 2번지에 국립민족박물관으로 처음 창립되었고, 1966년 10월 4일에는 경복궁 내 수정전(修政殿)에 한국민속관을 열었다. 1972년 6월 21일 문화재관리국이 민속박물관설치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박물관 건물 설정 및 민속 자료 수집 등에 착수하였다. 이어 1973년 6월 ..

박물관,미술관 2023.05.28

국립고궁박물관 (다시 마주한 우리 땅, 돌아온 대동여지도 특별전) (2023.05.23)

국립고궁박물관 (다시 마주한 우리 땅, 돌아온 대동여지도 특별전) (2023.05.23) 지난 3월 일본에서 환수돼 화제를 모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가 특별전을 통해 일반에 공개됐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16일 “오늘부터 다음달 18일까지 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대동여지도’의 특별공개전인 ‘다시 마주한 우리 땅, 돌아온 를 열어 국민들이 직접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대동여지도’는 조선 최고의 지리학자·지도 제작자인 고산자 김정호(1804~1866년·추정)가 목판에 새겨 만든 전국지도다. 1861년에 처음 제작해 간행한 뒤 추가로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해 1864년에 다시 만들었다. 조선 국토 전체를 남북 22단으로 구분해 각 첩에 담고, 각 첩은 동서 방향으로 부채처럼 접고 펼..

박물관,미술관 2023.05.28

정읍시립박물관 (2023.04.27)

정읍시립박물관 (2023.04.27) 전라북도 정읍시 국립공원 내장산 진입부에 있는 지역사 전문 시립박물관. 정읍의 다양한 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정립, 연구, 전시하기 위해 2012년 6월 22일 개관하였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건물 총면적 1,867㎡, 부지면적 19,862㎡의 규모이며, 700점 이상의 고고, 민속품 등을 소장하고 있다. 주요시설 주요 전시시설로는 상설전시실인 1층의 제1전시실과 제2전시실, 2층의 제3전시실 및 2층의 기획전시실이 있다. 제1전시실은 정읍사(井邑詞)를 주제로 고문서, 악기 등의 유물을 전시하고 소리와 영상을 활용하여 정읍의 소리 문화를 다룬다. 백제가요 정읍사의 역사적, 예술적 의의와 특징을 소개하고 정읍사에서 유래한 수제천을 조명한다. 또한 ..

박물관,미술관 2023.05.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