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포충사(요동백 김응하 장군 묘비) (2021.01.03)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조선후기 선천군수 김응하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문화재자료.
내용
1619년(광해군 11) 후금과의 전투에서 당시 선천군수로 전사한 김응하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건립하였다.
김응하는 명나라의 요청으로 새로이 흥기하는 후금을 토벌하기 위하여 도원수 강홍립(姜弘立)과 같이 좌영 군병을 이끌고 출정하였는데, 부차령(富車嶺)의 전투에서 명나라 군사가 크게 패하자 이를 구원하다가 전사하였다. 명나라 신종(神宗)은 그를 요동백(遼東伯)에 추봉하였고, 조선에서도 영의정에 추증하였으며, 충무공(忠武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특히, 효종대에 들어와 북벌론(北伐論)의 일환으로 존명의리(尊明義理)가 강조되는 분위기 속에서 송덕비를 세우고 1665년 철원유생 임창립(任昌立) 등의 주동으로 그가 거처하던 곳에 사당을 세워 철원부사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1668년 철원유생들이 상소하여 포충사로 사액되었으며, 1871년(고종 8) 대원군에 의한 서원철폐 때에도 특별히 존속되었다. 이 건물은 6·25전쟁 때 불타버리고 현재는 김응하장군묘비(강원도 유형문화재, 1985년 지정)만 남아 있다. 안동김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褒忠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조선후기 무신 김응하의 묘비. 비.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건주여진(建州女眞) 반란의 토벌 원군으로 참전하여 전공을 세운 김응하의 묘정비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에 위치한다. 1985년 9월 13일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되었고, 철원군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내용
김응하(金應河, 1580~161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철원 출신이다. 25세 때 무과에 급제한 후 변방의 군직을 거쳐 선천군수(宣川郡守)를 역임하였다. 누르하치를 중심으로 건주위(建州衛)가 반란을 일으키자, 명나라에서 조선에 원군을 요청했는데, 1618년(광해군 10) 좌영장으로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으나 이듬해 3월 전사하였다. 이에 명(明)에서는 ‘요동백(遼東伯)’으로 추증하였으며, 조선에서도 영의정으로 추증하고 시호를 충무(忠武)라고 하였다. 1665년(현종 6) 철원에 사당이 건립되었고, 1668년(현종 9)에 ‘포충사(褒忠祠)’로 사액(賜額)되었다.
포충사는 6·25 때 묘비(廟碑)를 제외하고 모두 소실되었다. 1974년에 묘비를 3군영내(三軍營內)로 이전했다가, 1984년 다시 현재 위치로 옮겼다. 비의 총 높이는 3.89m이며, 비신은 오석(烏石)으로 크기는 96㎝×215㎝×32㎝이다. 비문은 전·후면에 모두 새겨져 있으며, 송시열(宋時烈)이 글을 짓고 박태유(朴泰維)가 글씨를 썼으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 전서로 제액(題額)을 썼다.
[遼東伯 金應河 將軍墓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강원도 지방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원 노동당사 (2021.01.03) (0) | 2022.08.14 |
---|---|
철원 이호민 선정비 (2021.01.03) (0) | 2022.08.14 |
영월 김종길 가옥(조견당) (2021.01.01) (0) | 2022.08.14 |
영월 창원리 고택 (영월 고진하 가옥) (2020.12.05) (0) | 2022.07.30 |
영월 북쌍리 고택 (영월 우구정 가옥) (2020.12.05)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