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절,암자

고창 선운사 도솔암 (2019.09.24)

산을 오르다. 2019. 9. 25. 20:34
728x90

고창 선운사 도솔암 (2019.09.24)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제24대 진흥왕 당시 창건한 암자. 선운사.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산내 암자이다. 본래는 상·하, 동·서·남·북의 여섯 도솔암이 있었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상·하·북 세 도솔암만이 남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도솔암이라 불리는 암자가 하도솔이며, 하도솔에서 365계단을 올라가서 있는 도솔암 내원궁()이 상도솔암으로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125호로 지정되어 있다.

상도솔암은 진흥왕 때 창건한 뒤 1511년(중종 6)에 지은()이 중창하였고, 1694년(숙종 20)에 태헌()이 중수하였다. 1705년에는 보경()이 중종()을 봉안하였고, 1829년(순조 29)에는 경문()이 중수하였다.

그 뒤 내원궁만 남기고 퇴락한 듯하다. 당우로는 내원궁만이 있는데, 이곳에는 미륵이 아니라 지장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보물 제280호로 지정된 이 선운사지장보살좌상은 턱 밑까지 내려온 귓밥과 이륜(), 가슴의 영락이 특이하고 의문()의 선이 부드러운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조선 초기의 5대걸작불상 중의 하나로 꼽힌다. 하도솔암은 1658년(효종 9)에 해인()이 창건한 뒤 1669년(현종 10)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나한전·요사채 등이 있다. 상부 약 100m 지점에는 높이 25m, 너비 10m의 암각() 석가여래좌상이 보물 제1200호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로 지정되어 있다.

옛날에는 이곳에 동불암()이 있었으나 조선 말기 폭풍으로 도괴되었다고 한다. 이 동불암지는 1994년에 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 조사한 바 있다. 이 밖에 이 절의 입구에는 약수가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도솔암 보제루



보제루



도솔암의 모습



도솔암 종각



극락보전



극락보전 불상



극락보전 불상



도솔암



윤장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나한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나한전



도솔암 윤장대



극락전 불상



극락전 앞 석탑



내원궁 입구



내원궁 가는 계단길



내원궁에서 본 천마봉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5호 선운사 도솔암 내원궁



보물 제28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80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도솔암 산신각



내원궁에서 본 용문굴 방향의 모습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보물 제1200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728x90

'사찰,절,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산 각연사 (2019.10.20)  (0) 2019.10.21
금산 보석사 (2019.10.09)  (0) 2019.10.10
고창 선운사 참당암 (2019.09.24)  (0) 2019.09.25
고창 선운사 석상암 (2019.09.24)  (0) 2019.09.25
고창 선운사 (2019.09.24)  (0) 201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