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 참당암 (2019.09.24)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兜率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운이 창건한 암자. 선운사.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산내암자이다. 이전에는 대참사(大懺寺)·참당사(懺堂寺) 등으로 불렸으며, 규모가 상당히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이 절은 627년(진평왕 49)에서 649년(진덕여왕 3) 사이에 의운조사(義雲祖師)가 창건하였고, 1329년(충숙왕 16)에 상량(上良)이 대웅전을 중수하였으며, 1530년(중종 25) 일헌(一軒)이 중수하였다. 1623년(인조 1) 익순(益順)이 정문을 중수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으로 불타자 1642년 숭인(崇印)이 중건하였다. 1713년(숙종 39) 회징(會澄)이 부속암자인 몽성암(夢醒庵)을 중창하였고, 1730년(영조 6) 배극(倍極)이 안양암(安養庵)을 중창하였다. 1754년 청원(淸元)과 삼익(三益)이 대웅전을 중수하였고, 삼익과 찬명(贊明)이 정문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보물 제803호인 대웅전과 약사전, 산신각 등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특이한 느낌을 주는 불상이 봉안되어 있고, 약사전 안에는 보물 제2031호로 지정된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이 있다. 이 지장보살좌상은 옥석(玉石)으로 만들었으며, 의왕불좌상(醫王佛坐像)이라고도 한다. 오른손에 약병을 들고 있는 대단히 희귀한 불상으로, 이 절의 창건 시 인도로부터 왔다는 전설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참당암의 모습
보물 제803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참당암 석탑
보물 제803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803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803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참당암 대웅전 불상과 탱화
대웅전 불상
대웅전 불상
지장전
지장전
보물 제2031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031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보물 제2031호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참당암 꽃무릇
산신당
참당암
참당암 꽃무릇
참당암 꽃무릇
'사찰,절,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 보석사 (2019.10.09) (0) | 2019.10.10 |
---|---|
고창 선운사 도솔암 (2019.09.24) (0) | 2019.09.25 |
고창 선운사 석상암 (2019.09.24) (0) | 2019.09.25 |
고창 선운사 (2019.09.24) (0) | 2019.09.25 |
정선 정암사 (2019.09.01)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