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행/강원도 산행사진

공작산 산행사진 1 (2006.09.02)

산을 오르다. 2006. 9. 2. 11:37
728x90

공작산 산행사진 1 (2006.09.02)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및 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가 887m이다. 산세의 아름답기가 공작새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암봉과 노송이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시키는 산이다. 높이에 비해 산세가 아기자기하고 바위와 소나무가 이루는 조화가 아름답다. 이 산의 가장 큰 아름다움은 정상 부분의 암봉미와 조망에 있지만 산을 오르내리며 암릉을 포함한 여러 갈래의 능선에서 보는 산골짜기의 상쾌한 조망과 코스 중의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면서 맛보는 기분도 색다른 곳이다.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눈 덮인 산이 등산객들을 매료시킨다. 정상은 암벽과 암릉으로 되어 있으며 정상 일대의 철쭉군락지에 꽃이 필 때면 지리산의 세석평전을 연상케 한다. 여름에는 멋진 암봉과 암릉이 나무에 가려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 산은 녹음이 우거지기 전에 오르는 것이 좋다.
산 정상에서 서남쪽 능선을 따라 6km 산자락에 있는 수타사 대적광전은 강원도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어 있고 이 절에서 노천리에 이르는약 8km 길이의 수타계곡은 암반과 커다란 소, 울창한 수림으로 수량도 풍부하고 기암절벽이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비경지대로 여름철 계곡 피서지로 이름난 곳이다.
산행기점은 공작골 입구로 공작현으로 넘어가는 도로를 따라 걸으면 4~5채의 민가가 있는데 여기서 서북쪽 계곡을 향하여 가다가 갈림길에서 왼쪽길로 접어든다. 낙엽송지대를 거쳐 암벽을 몇 차례 지나 바위벼랑을 타고 오르면 정상이다.
정상에 닿기 전 궁지기골과 문바위골이 보이는 전망대가 있으며 그것은 정상부의 복사판 같은 곳으로 두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어 골짜기가 시원스레 조망되는 곳이다. 정상부도 이와 같이 생겼다. 홍천군 일대가 시원하게 조망된다.


날씨 : 약간 무더우나 청명한 날씨. 시야 좋음

코스 : 공작골저수지 ~ 문바위골 ~ 공작산정상 ~ 궁지기골 ~ 공작골저수지
-13:41 : 공작골저수지(문바위골로 등산)
-14:35 : 안부
-14:50 : 공작산 정상(해발 887.4m)
-15:56 : 안공작재(궁지기골로 하산)
-17:13 : 공작골저수지


공작산 등산지도 

 

 

공작골 저수지에서 본 공작산의 모습

 

 

들머리의 등산안내도

 

 

안부의 등산로 표지판

 

 

안부의 등산 표지기

 

 

안부 전망바위에서 본 전망

 

 

안부 전망바위에서 본 전망

 

 

갈림길의 등산로표지판

 

 

홍천시내 방향과 저멀리 용문산의 모습

 

 

갈림길의 등산로 표지판

 

 

정상의 산불감시 초소

 

 

산불감시 초소 철조망 안에 갇힌 공작산 정상 표지석

 

 

공작산 정상의 모습

 

 

공작산 정상의 삼각점

 

 

공작산 정상 표지판(해발 887m)

 

 

공작산에서 본 산모습

 

 

정상에서 본 설악산 방향의 모습

 

 

공작산 정상의 모습

 

 

정상에서 본 산들

 

 

정상에서 본 고양산,아미산 방향의 모습

 

 

정상에서 본 홍천시내 방향의 모습

 

 

굴운저수지 및 뒤로 구절산

 

 

덕치리(수타사)방향의 모습

 

 

대학산,발교산 방향의 모습

 

 

설악산 방향의 모습

 

 

많은 산에 묻혀 어느산이 어느산인지 모르겠다.

 

 

소나무 배경으로

 

 

소나무 배경으로

 

 

굴운저수지 뒤로 구절산,자지봉

 

 

안부와 740봉의 모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