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6844

(보물 제1560호) 도성도

(보물 제1560호) 도성도        정의1788년경 한양 도성 일대를 산수화풍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서지적 사항단독으로 그려진 채색필사본으로 크기는 세로 67㎝, 가로 92㎝이다.내용「도성도」는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군사·경제상의 인문현상뿐만 아니라 풍수지리를 바탕으로 조성된 도성의 지형적 아름다움을 한 눈에 보여준다. 도성을 둘러싸고 있는 산세는 부감(俯瞰)한 시점으로 봉우리를 사방으로 펼치듯이 배치한 묘산도(墓山圖)형식으로 그려졌으며 산의 묘사는 웅장하면서도 아름다운 산수화풍으로 표현했다.도성의 중앙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개천(청계천)과 남쪽과 북쪽에서 모여드는 물길은 도성 주변의 산곡(山谷)과 이어져 있다. 도성 주변의 산세는 회화성이 강조되어 있는 반면에 도성 안 시가지는 주요 궁궐을..

대한민국 보물 2025.03.01

(보물 제850-3호) 대동여지도

(보물 제850-3호) 대동여지도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대동여지도의 규장각 소장본. 2008년 12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는 조선 후기 지리학자인 고산자 김정호(金正浩)가 편찬한 가로 약 4m, 세로 약 6.6m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전국 지도이다. 전국 남북을 120리, 동서를 80리 간격으로 나눠 한 층을 접어 가로 20cm, 세로 30cm 정도 크기의 1첩으로 만들었다. 총 22첩을 병풍처럼 모두 펼쳐 상하로 연결하면 전국 지도가 되는 분첩절첩식(分疊折帖式) 형태로 휴대 및 열람이 편리하도록 만들어졌다. 축척은 약 1: 160,000 정도이며 현대의 범례에 해당하는 지도표를 고안하여 여러..

대한민국 보물 2025.03.01

(국보 제152호) 비변사 등록

(국보 제152호) 비변사 등록        정의조선시대 국가 최고 회의 기관이었던 비변사의 활동을 수록한 등록.내용『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은 273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원본은 1년에 한 권씩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사건이 많을 때는 2권 또는 3권으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비변사가 설치된 1510년(중종 5)에서 1555년(명종 10)까지 45년 동안 임시 기구로 존재할 당시의 등록 작성 여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최소한 1555년(명종 10)에 국가 상설기구로 확정된 때부터는 등록이 작성되었을 것이다.그런데 임진왜란 이후 이 책은 다른 기록과 함께 모두 소실되었기 때문에 왜란 후 1616년(광해군 8)까지, 즉 전후 합계 62년 간의 등록이 남아 있지 않다. 다만 1617년(광해군 9..

대한민국 국보 2025.02.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