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보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산을 오르다. 2023. 11. 21. 17:19
728x90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8각 석등. 국보.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97m.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팔각석등으로 상하 비례의 교묘함이나 조각의 정교함에서 신라시대 석등 중에서도 손꼽히는 걸작이다.

4매로 짠 방형의 지복석() 위에 1석으로 된 지대석()이 놓였는데 지대석의 네 면에는 각각 2구씩의 안상()이 장식되었으며 상면에는 팔각의 하대석() 받침 2단이 마련되었다.

하대석은 모서리를 향하여 한 잎씩 복판복련()이 조각되었고 꽃잎 끝은 말려서 귀꽃이 되었다. 특히, 복련 중심에는 높은 3단의 받침이 있어 연꽃 속에서 간주(竿)를 받쳐 올리는 듯이 표현되었다. 간주는 전형적인 팔각주()로서 굵기나 높이가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고 있다.

상대석()은 통식을 따라 평박()하나 여기에 조각된 8엽의 앙련()은 상당한 입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화사석(: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은 팔각으로 네 곳에 장방형 화창()을 내었고 화창 주위에는 작은 구멍을 돌려 뚫었으며 나머지 네 면에는 앙련 위에 보살입상 1구씩이 조각되었는데 조각수법이 매우 정교하다.

옥개석()은 낙수면이 우뚝하고 추녀 밑에 약간의 반전()이 있고, 정상에는 복련이 조각되었다. 상륜부()에는 보주()가 남아 있다.

[榮州浮石寺無量壽殿앞石燈]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2023.10.31 촬영

 

 

 

 

 

 

 

 

 

 

 

 

 

 

 

 

 

 

 

 

 

 

 

 

 

 

 

 

 

 

 

2019.12.22 촬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