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정의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동조도금의 불상. 국보 제337호.
개설
202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이 원래부터 이 전각에 봉안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현 건물에 비하여 작은 편이다. 그러나 조성문에 의하면 약사불상으로 봉안되었음이 분명하다. 현재는 대좌나 광배는 없어지고 불상만 남아 있다.
내용
불신 자체는 손상이 거의 없는 완전한 환조상(丸彫像: 한 덩어리의 재료에서 물체의 모양 전부를 조각한 상)이다. 자세는 길상좌(吉祥坐: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은 자세)로 위엄 있게 앉아 있다.
왼손은 가슴에 들어 약호(藥壺)를 잡았고 오른손은 치켜들어 엄지와 중지를 대면서 다른 손가락들도 굽히고 있는 약사불의 특징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자세와 함께 전체적인 모습은 의젓하고 단아한 모습을 명쾌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상 전체에 나타난다.
달걀 모양의 갸름한 얼굴, 반달 모양의 눈썹, 가늘면서도 적정한 눈, 단정하면서도 오뚝한 코, 작고 예쁜 입, 적당한 크기의 굴곡진 귀 등의 표현에서 나타난다. 머리카락은 나발(螺髮)이며 나형(螺形)은 꼭지로 올라갈수록 점점 커진다. 육계가 시작되는 머리 중앙부에 큼직한 둥근 구슬[寶珠]이 박혀 있는데 얼굴 모습과도 조화를 이룬다.
삼도(三道)의 단정한 처리, 다소 둥글면서 시원한 어깨선과 당당한 가슴, 비교적 균형 잡힌 체구, 손발의 곡선적 처리에서 단정함이 잘 나타나 있다. 이 불상의 대의(大衣)는 가슴을 넓게 벌렸는데, 신라 불상들과는 판이하다.
뿐만 아니라 옷주름을 간략하게 묘사한 것이라든가 왼쪽 팔꿈치에 Ω자형 옷주름을 표현한 점 등은 당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세부 특징으로 왼쪽 젖가슴 아래로 비스듬히 표현된 승각기 치레, 승각기 내지 군의(裙衣)의 나비형 띠 매듭과 띠의 네 가닥 주름 등도 당대 불상의 특징을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과 함께 불상이 균제(均齊)하면서 건장한 비례, 단아한 모습, 단순 명쾌한 선조 등에서 풍기는 불상의 양식은 복장(腹藏)에 있는 1346년(충목왕 2)에 조성된 작품이라는 기록과 합치되어 고려 후기 불상 양식의 편년 설정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靑陽長谷寺金銅藥師如來坐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2023.03.23 촬영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발원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오색번)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비단주머니)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청색연화조문릉)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녹색운조문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녹색만자용문릉)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청색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녹색초화문릉)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녹색소화문직금릉)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소색초)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근봉지)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소색저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미색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아청색초)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홍색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담홍색만자용문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미색초)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은합포장직물-옥색귀갑비운문사)

2019.06.06 촬영


2018.12.09 촬영
'대한민국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339호)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0) | 2022.12.20 |
---|---|
(국보 제338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0) | 2022.12.20 |
(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0) | 2022.12.19 |
(국보 제184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0) | 2022.12.19 |
(국보 제183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