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울 황학정 (2022.12.02)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활쏘기 연습을 위한 누정. 정자.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내용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정자는 1898년 어명에 의하여 경희궁의 회상전(會祥殿) 북쪽 궁장(宮墻) 가까이에 꾸며졌던 궁술연습을 위한 사정(射亭)이다. 1922년 일본사람들이 경성중학교(京城中學校)를 짓기 위하여 경희궁을 헐 때,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한말에는 도성 안 서쪽에 다섯 군데의 사정이 있어서 이것을 ‘서촌오사정(西村五射亭)’이라 하였다. 옥동(玉洞)의 등룡정(登龍亭), 삼청동의 운룡정(雲龍亭), 사직동의 대송정(大松亭), 누상동의 풍소정(風嘯亭), 필운동(弼雲洞)의 등과정(登科亭)이 그것이다.
현재 황학정이 서 있는 자리는 원래 오사정의 하나인 등과정이 있던 자리이다. 오사정이 모두 자취를 감추어버린 오늘날에도 황학정에서는 때때로 궁술행사가 거행되어 옛 무인들의 기개를 보여주고 있다.
[黃鶴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728x90
'서울시 지방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2023.01.17) (0) | 2023.01.29 |
---|---|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2023.01.17) (0) | 2023.01.29 |
서울 우정총국 (2022.11.02) (0) | 2022.11.02 |
서울 광통관 (2022.08.24) (1) | 2022.09.24 |
서울 경교장 (2022.06.02) (1)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