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253호)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완.
내용
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7.7㎝, 입지름 18.7㎝, 밑지름 6.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자기 그릇은 장식적 효과를 위해 아가리에 금속테를 두르는 경우와 복소법(覆燒法)으로 구워져 노태(露胎)인 아가리 부분에 금속테를 두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 대접은 전자에 속한다.
대접의 측면선은 양감 있는 곡선이며 아가리는 측면선을 따라 마무리되어 있다. 굽의 외곽선은 V자형으로 좁아지며 비교적 높다. 유약은 미세한 기포가 있고 약간 반투명한 담청색을 띤 회녹색(灰綠色)이며 전면에 가는 균열이 있다.
그릇의 내면은 압출양각기법(壓出陽刻技法)으로 전면에 치밀한 양각문이 찍혀 있는데, 바닥의 내저원각(內底圓刻)에는 국판문(菊瓣文)이 있고 측면 전체에는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이 주문양으로 새겨져 있다. 아가리 밑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가 둘러져 있다. 외면에는 중앙 세 군데에 모란절지문(牡丹折枝文)이 간결한 형태로 흑백상감 되었다. 이와 같이 내면을 압출양각기법으로 시문하고 외면을 간략한 상감기법으로 처리하는 방식의 상감청자는 고려 시대 상감기법의 전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사례이다.
굽의 안바닥은 외부 굽 언저리보다 높으며 작고 정교하게 깎여진 굽의 접지면에까지 유약이 잘 시유되어 있다. 굽의 안바닥에는 세 군데의 규석받침 흔적이 있다.
[靑磁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銀釦鉢]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2021.02.22 촬영



2016.05.27 촬영


'대한민국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 제113호)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0) | 2022.08.20 |
---|---|
(국보 제98호)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0) | 2022.08.20 |
(국보 제115호) 청자 상감당초문 완 (0) | 2022.08.19 |
(국보 제114호)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병 (0) | 2022.08.19 |
(국보 제175호)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0) |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