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

영주 향교 (2020.01.12)

산을 오르다. 2020. 1. 14. 13:37
728x90

영주 향교 (2020.01.12)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고려후기 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3호.

내용

1368년(공민왕 17)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학덕 있는 사람의 신주를 모시는 것)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33년(세종 15)에 군수 반저()가 중수하고, 1577년(선조 10)에 군수 이희득()이 중수하였다.

1597년에는 명나라 장수 아국기()가 군사를 거느리고 영주를 지날 때 문묘에 알묘()한 뒤 향교 주위의 지형지세를 극찬하였으나 백호()인 오른쪽 산맥이 낮고 인마()가 다니는 오솔길이 있어 결점이라 하여, 1635년(인조 13)에 진사 박종무()가 유림과 협의하여 오솔길을 막고 낮은 산목을 흙으로 쌓아 올렸다.

광복 후 향교 경내에 영주여자중학교를 설립하여 향교 건물의 일부를 학교에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1970년 명륜당을 중수하고 1975년 대성전과 명륜당의 단청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6칸의 명륜당, 각 10칸의 동무()와 서무(西) 각 10칸의 동재()와 서재(西), 존현당(), 횡루(), 전사청(), 전곡청()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의 위패가, 동무·서무에는 송조 2현()과 우리 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현재는 향교 내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충효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6호로 지정되어 있고,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명륜당



영귀루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6호 영주향교 대성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6호 영주향교 대성전





728x90

'향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교동향교 (2020.04.24)  (0) 2020.04.30
연천향교 (2020.04.18)  (0) 2020.04.19
봉화향교 (2020.01.12)  (0) 2020.01.14
용인 양지향교 (2019.08.04)  (0) 2019.08.05
회인향교 (2019.07.28)  (0) 20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