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릉,묘,무덤

문간공 김세필 묘역 일원 (2019.10.23)

산을 오르다. 2019. 10. 25. 19:40
728x90

문간공 김세필 묘역 일원 (2019.10.23)



정의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김세필과 그 후손들의 묘역.

개설

이 묘역은 이조참판을 지낸 문간공 김세필()[1473~1533]의 묘를 중심으로 한 경주김씨의 세장지이다. 김세필은 기묘사화 때 화를 당했고, 김세필의 삼남 김저는 을사사화 때 화를 당하였다. 김세필을 비롯하여 김세필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이곳에 세장되었다.

형태

문간공 김세필 묘역에는 김세필의 어머니 진천 송씨의 묘가 가장 위쪽에 자리잡고 있고, 그 아래에 김세필과 김세필의 정부인 고성이씨가 합장된 묘가 있다. 그 아래에는 김세필의 둘째아들 김구의 묘가 있다. 김구의 묘는 정부인과 계배의 삼합장묘이다. 셋째아들 김저의 묘는 정부인 증정부인 고령신씨와 합장묘이다.

다음으로 김구의 첫째아들 김원경과 공인() 하동장씨의 합장묘가 있다. 그 밑으로는 김구의 둘째아들 김중경, 김중경의 셋째아들 김의, 그의 손자 김득곤 등의 묘가 세대별로 자리잡고 있다.

묘 하단에는 1980년에 건립된 김세필의 신도비, 1985년에 건립된 김저의 신도비가 있으며, 김저의 신도비 우측에는 1996년 건립한 충민공() 고결시비()가 있다. 고결시에는 사화를 입어 남쪽에서 북쪽지방으로 이배()되면서 형(김구)의 둘째아들로 후사를 이어비 달라는 내용이 들어 있다.

현황

김세필과 그 후손들의 묘역은 후대에 들어와 묘역이 개축되면서 본래의 형태가 많이 훼손되었다. 그러나 몇 대에 걸쳐 조성된 묘역으로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의의와 평가

문간공 김세필의 묘역은 1400년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조성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묘제 양식의 변천을 보여준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인용)



























김저 묘(김세필 아들묘)



김저 묘



김저 묘



김세필 묘역



김세필 묘역



김세필 묘역



김세필 묘역

















728x90

'왕릉,묘,무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곤릉 (2020.05.21)  (0) 2020.05.24
이종무 장군묘 (2019.10.23)  (0) 2019.10.25
오윤겸 선생 묘 (2019.10.23)  (0) 2019.10.25
저헌 이석형 묘 및 신도비 (2019.10.23)  (0) 2019.10.25
정몽주 선생 묘 (2019.10.23)  (0) 20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