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논산 노성산성 (2019.02.16)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송당리 일원에 있는 백제시대의 산성.
내용
사적 제393호. 둘레 약 950m 옛 이산현(尼山縣)의 진산인 노산(魯山) 혹은 성산(城山)이라 불리우는 산 위에 있는 테뫼식 산성(산 정상을 둘러 쌓은 성)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주산석성(主山石城)이라 하여 둘레 350보(步)이고 성안에 3개의 샘이 있어 마르지 않으며, 군창이 있다고 하였고, 이곳의 봉화대가 남으로 은진의 노산(蘆山 : 지금의 황화산)과 이어지고, 북으로 공주의 효포산(曉浦山 : 지금의 月城山) 봉수와 이어진다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노산성(魯山城)이라 하고, 둘레 1,950척(尺)이고, 높이 8척이며, 성안에 4개의 우물이 있다고 하였다. 이로 보아 조선 초기까지 이용된 산성임을 알 수 있다.
해발 348m의 성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형성된 작은 곡부(谷部)의 상단을 삼태기 모양으로 에워싸고 있으며, 성벽은 남쪽에서 6.8m나 되고, 서쪽에서도 4.2m나 된다. 성벽은 표면이 장방형으로 다듬어진 할석으로 수평쌓기하고, 기단의 아래에서는 계단식으로 점차 안쪽으로 수렴되도록 축조되어 매우 견고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
728x90
'충청남도 지방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성 궐리사 (2019.02.16) (0) | 2019.02.17 |
---|---|
논산명재고택 (2019.02.16) (0) | 2019.02.17 |
보령 성주사지 (2011.12.14) (0) | 2011.12.14 |
상가리 미륵불 (2011.07.20) (0) | 2011.07.20 |
공주 공산성 (2011.02.19) (0) | 201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