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행/경상남도,부산광역시 산행사진

철마산,소산봉,매암산,망월산,백운산 산행사진 1 (2017.08.20)

산을 오르다. 2017. 8. 21. 20:42
728x90

철마산,소산봉,매암산,망월산,백운산 산행사진 1 (2017.08.20)



이동거리 : 13.07km


이동시간 : 4시간 30분(휴식시간 14분 포함)


최고고도 : 622m.   최저고도 : 100m


날씨 : 구름 많고 흐림. 무더위 지속. 능선에서는 바람 살살. 시야 다소불량


코스 : 임기마을회관 ~ 묘법사 ~ 법성굴 ~ 서봉 ~ 철마산 ~ 안부 ~ 임도 ~ 소산봉 ~ 매암산 ~ 망월산 ~ 안부사거리 ~ 백운산 ~ 백양농원 ~ 임기저수지 ~ 임기마을

  - 13:27 : 임기마을회관

  - 13:46 : 묘법사

  - 14:08 : 법성굴

  - 14:45 : 철마산 서봉(해발 577m)

  - 14:55 : 철마산 정상(해발 605m)

  - 15:09 : 안부갈림길

  - 15:19 : 임도

  - 15:28 : 소산봉 정상(해발 574m)

  - 15:52 : 매암산 정상(해발 515m)

  - 16:05 : 망월산 정상(해발 521m)

  - 16:25 : 안부사거리

  - 16:45 : 백운산 정상(해발 522m)

  - 17:07 : 백양농원

  - 17:27 : 상곡마을

  - 17:36 : 임기저수지

  - 17:58 : 임기마을



**제발 산이름에 함부로 작명좀 하지 맙시다.


소산봉에 당나귀봉이라!

왜 멀쩡한 소산봉이란 이름을 두고 일개 산악회에서 당나귀봉(당신과 나의 귀한 만남)이란 같쟎은 작명을 하여 정상표지석을 만들어 놓고 여기에 기장군에서는 소산봉 전망데크에 조망에 대한 설명과 함께 당나귀봉에 대한 친절한 설명(?)까지 덧붙이다니요. 기장군이 산악회 작명에 놀아난 것입니까?

이렇게 아무 산악회나 단체에서 작명을 하여 정상표지석을 만들어 놓으면 이것이 산이름이 되어도 되나요?

사람이름이 하나이듯이 산이름도 하나입니다.

복수의 산이름이 언제부터 존재했던가요?

기장군청 관계자 여러분!

제발 제대로 행정처리하세요

그리고 이 당나귀봉 정상표지석은 치웠으면 합니다.

전통적인 이름이 있는데 일제시대에 식민통치를 위하여 그네들의 행정편의위주로 우리나라의 지명을 함부로 바꾸어 아직 왜색이 남아있는 지명이 많음을 기억해야 하고

이것을 다시 정상으로 되돌리는데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어감을 느껴야 합니다.



철마산,소산봉,매암산,망월산,백운산 등산지도



임기마을회관



묘법사 가는길에 본 금정산 방향의 모습



묘법사 대웅전



법성굴



등산로에서 본 천성산의 모습



금정산,양산시,오봉산 방향의 모습



금정산,오봉산,무척산,토곡산,능걸산 방향의 모습



부산시내와 금정산의 모습



천성산의 모습



장산,황령산,금정산의 모습



장산과 해운대구 방향의 모습



장산,황령산,금정산 방향의 모습



금정산의 모습



장산,황령산 방향의 모습



철마산 서봉의 돌탑



철마산 서봉에서 본 금정산과 양산시,오봉산,무척산,토곡산의 모습



금정산,오봉산,천성산의 모습



금정산의 모습



오봉산,토곡산,능걸산,천성산의 모습



서봉에서 본 소산봉,달음산,철마산의 모습



장산과 해운대구 방향의 모습



철마산 정상의 모습



철마산 정상 표지석



철마산에서 본 거문산과 뒤로 장산의 모습



소산봉 가는길의 안부갈림길



임도



소산봉 가는길에 본 천성산의 모습



소산봉 정상의 모습(당나귀봉 표지석이 눈에 거슬린다)



소산봉 정상의 모습



거문산,장산,해운대구 방향의 모습



철마산과 뒤로 금정산 능선의 모습



멀리 대운산 방향의 모습



매암산 갈림길의 노송



매암산에서 본 망월산의 모습



매암산에서 본 정관신도시와 달음산,고리방향의 모습



매암산에서 본 용천산,대운산 방향의 모습



매암산에서 본 정관신도시와 용천산,대운산,함박산,식은덤,삼각산,달음산 방향의 모습



정관신도시와 용천산,대운산,함박산,식은덤 방향의 모습



매암산에서 본 달음산의 모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