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산행및여행/유럽여행사진(2016년)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풍경 1 (2016.06.05)

산을 오르다. 2016. 6. 17. 23:34
728x90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풍경 1 (2016.06.05)

 

 

스플리트

 

반도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에 수심이 깊은 보호항이 있다.

이 항구와 중앙에 자리잡은 지리적 위치 및 북쪽으로 연결되는 훌륭한 철도·도로 교통망이 결합되어 상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 되었다. 스플리트 항에는 대규모 조선소가 있다. 그밖에 이 도시에서는 플라스틱·화학제품·알루미늄·시멘트 제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시와 섬들을 연결해주는 여러 척의 연락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1962년 이후 국제공항을 확장시켰다. 대학교(1974)와 해양학연구소가 있다. 항도인 리예카(이탈리아어로는 피우메)를 이탈리아에 일시적으로 빼앗긴(1945 반환) 1924년부터 이곳의 항만시설이 개발되었다.

옛 시가지의 중심 부분은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안에 자리잡고 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05년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난 후 313년 사망하기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거대한 이 궁전(295~305 세움)에는 바다를 향하는 두께 2m, 높이 22m의 벽과 북쪽을 향하는 높이 15m의 벽이 있다. 원래 이 궁전에는 4개의 성문과 16개의 탑이 있었는데, 그중 3개의 탑만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옛날에는 아드리아 해의 파도가 남쪽 벽까지 밀려왔으나 이제는 가로수가 줄지어 심겨진 산책로로 인해 성벽까지 이르지 못한다.

615년에 살로나이를 약탈한 아바르족이 이 궁전에도 피해를 입혔다. 당시 주민들은 처음에 섬들로 피했으나 그후 620년경에 다시 돌아와 이 궁전을 피신처로 삼고 주거지를 스팔라툼이라고 불렀다. 그들은 성벽과 기둥들까지 포함하여 면적이 3ha인 궁전 안에 자신들의 집을 지었다. 이 궁전은 로마 시대의 궁전 건축물 가운데 가장 크고 가장 잘 보존된 것이며, 그리스 양식과 비잔틴 양식이 반씩 섞인 과도기적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이 궁전의 평면은 로마 시대의 야영지처럼 직4각형이고 4개의 길이 중앙에서 만나도록 설계되었으며, 길마다 거대한 아케이드가 늘어서 있다.

북쪽 끝에는 다수의 노예·하인·수비대를 위한 숙소가 있었으며 남쪽 끝에는 웅장한 아치형의 황실 거처와 집무실들이 있었다. 653년 이 시 최초의 주교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영묘를 대성당으로 바꾸었는데 이 성당은 훌륭한 프레스코, 대리석으로 만든 설교단, 로마네스크 양식의 조각물로 유명하다. 주피터 신전은 오래전에 세례당으로 바뀌었으며, 14, 15세기에 로마네스크 양식의 아름다운 종탑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이 궁전이 세워진 이래로 계속해서 사람들이 거주해왔으며, 로마 시대뿐만 아니라 중세·르네상스·바로크 시대의 건축물과 장식물들이 있다. 크로아티아 당국은 로마 시대의 유적들을 더 발굴하고 중세 초기의 유물들을 밝혀내기 위해서, 절충적인 양식의 건축물들과 현대적인 특색들을 보존하기 위해 힘써왔다. 지금도 주민들은 이 궁전을 박물관으로서가 아니라 시의 중심으로 여긴다.

대성당과 세례당은 지금도 사용되고 있으며 기둥이 늘어선 중정(中庭)에는 카페가 있다. 로마 시대 양식의 아케이드에는 가게들이 즐비하며 궁전의 동문 바로 바깥쪽에는 이 시의 주요시장이 있다. 그러므로 관광객들은 시민들의 빨랫줄 아래를 거닐면서 로마 시대 및 그 이후 모든 시대의 건축유적을 보게 된다. 박물관으로는 크로아티아의 조각가인 이반 메슈트로비치의 작품들을 전문적으로 소장한 박물관과 무기 박물관이 있다.

베네치아풍의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시청사는 민속학 박물관으로 쓰인다. 주(主)광장의 서쪽과 남쪽에는 중세에 옛 시가지가 확대되면서 생긴, 미로처럼 얽힌 좁은 가로망이 있다. 벨프리 교회의 성모 마리아 종각(1100경)은 달마치야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812년부터 이 도시는 비잔틴 제국의 주요도시로 발전했다. 베네치아(998)와 크로아티아(1069)에게 잠시 점령당한 후 1105년에 헝가리-크로아티아의 명목상의 종주권을 인정했으며, 경쟁관계에 있는 트로기르와 가끔 싸웠다.

1420~1797년에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았고 1797~1918년에는 오스트리아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오스트리아의 통치기간중 1808~13년에는 잠시 프랑스에 넘어가기도 했다. 1918년 유고슬라비아에 합병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중 항만시설이 독일군과 연합군의 폭격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옛 도시는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1980년의 지중해 연안 경기대회를 위해 새 종합경기장이 건설되었다. (Daum 백과사전 인용)

 

 

스플리트 구 시가지로 가는길(뒤의 야산이 마르얀 산(Marjan)이다)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가는길의 모습

 

 

스플리트 구 시가지 가는길에 본 유람선의 모습

 

 

스플리트 항구의 선박

 

 

스플리트 항구의 대형 크루즈 유람선

 

 

스플리트 항구의 건물

 

 

리바(Riva) 거리와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모습

 

 

리바거리와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 종탑

 

 

리바거리와 마르얀 산

 

 

리바거리

 

 

리바거리의 야자수

 

 

리바거리에 있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조감도

 

 

마르코 마룰리치(Marko Marulić 1450 - 1524)

마르코 마룰리치(1450~1524)는 스플리트에서 귀족의 집안에서 태어나 크로아티아 문예부흥의 아버지로, 국민시인으로 불리며 크로아티아 화폐 500쿠나 속에 인물이다.

 

 

마르코 마룰리치(Marko Marulić 1450 - 1524)

 

 

리바거리의 노천카페

 

 

나로드니 광장(Trg Narodni)

중세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나로드니 광장은 ‘인민 광장’이라는 뜻으로,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서문(철문)과 연결되어 있다. 광장 안에는 베네치아 고딕 양식으로 15세기에 지어진 구시청사가 자리하고 있으며 바로크 양식, 르네상스 양식 등 다양한 양식의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다. 노천카페와 레스토랑이 즐비하기 때문에 광장에서 여유를 즐기기에도 좋다.(ENJOY 동유럽 인용)

 

 

나로드니 광장의 종탑

 

 

나로드니 광장의 종탑과 '꽃보다 누나'에서 일행이 묶었던 숙소

 

 

나로드니 광장의 신드로(Cindro) 궁전

 

 

나로드니 광장의 건물과 시계탑

 

 

스플리트 구 시가지의 건물

 

 

마르코 마룰리치(Marko Marulić 1450 - 1524) 동상

 

 

리바 거리의 상점들

 

 

리바거리 상점의 꽃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우물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 지하의 모습

 

 

스플리트 지형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옛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흉상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지하궁전의 모습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의 종탑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모습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석문의 옛모습

 

 

황제아파트 대기실 돔

이 공간은 황제의 거처로 들어가는 입구로,황제를 알현할 사람들이 대기하던 장소였다. 옛날에는 화려한 모자이크로 벽면이 장식되었고, 천장에는 돔이 있었지만 관리부실등으로 현재의 모습으로 남아있다. 본래의 이름은 베스티비일(Vestibül)로 우리말로는 '현관'이란 의미다.

 

 

달마시안 전통 민요를 아카펠라로 부르자 이 돔이 울림판 역할을 하여 훌륭한 음향효과를 제공한다.

이들의 이름은 '클라파 베스티비일(Klapa Vestibül)'로, 황제 알현 대기실인 '베스티비일에서 공연하는 클라파'라는 뜻이다.

이들이 부르는 노래는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예능보유자로 구성되어 있다.

클라파(Klapa)는 주로 크로아티아 달마티아의 전통 민속노래와 그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그룹은 제1테너, 제2테너, 바리톤, 베이스로 구성된다. 인원은 대개 4~10명이며, 지휘자는 없고 제1테너가 리더를 맡는다. 노래의 내용은 사랑, 인생사, 살고 있는 배경 등을 주제로 한다.

 

 

황제 아파트 대기실 돔 천장의 하늘

 

 

황제 아파트 대기실 돔의 모습

 

 

아카펠라를 부르는 사람들

 

 

황제 아파트 대기실 돔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의 종탑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의 종탑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주피터 신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자신을 가장 힘이 센 주피터라고 불렀다. 그래서 황제가 자신을 주피터의 아들이라고 칭하며 신전을 만들고 신을 섬기던 곳이다. 황제의 영묘가 있던 도미니우스 대성당 앞쪽에 있다. 주피터 신전의 스핑크스는 신전을 장식하기 위해 5세기 이집트에서 가져온 것이다. 주피터 신전은 후에 기독교인들에 의해 세례당으로 바뀌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