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홍릉과 유릉(홍유릉) (2016.05.07)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홍릉과 유릉을 통칭한 능호를 지칭하는 용어. 사적 제207호.
개설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무덤인 홍릉과 순종과 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의 무덤인 유릉의 합칭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1970년 5월 26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내용
홍릉은 조선 제26대 왕 고종과 명성황후(明成皇后) 민씨(閔氏)의 무덤으로 을좌신향(乙坐辛向)한 동봉이강릉(同封異岡陵)이다.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덕수궁 함녕전(咸寧殿)에서 67세로 승하하여 같은 해 3월 3일 남양주시 금곡동에 초장봉릉(初葬封陵)되었다.
명성황후 민씨는 1895년(고종 32) 8월 20일 경복궁에서 일본 낭인(浪人)들에게 시해 당하였다. 1897년(광무 1) 11월 22일 한성부 동부 인창방(仁昌坊) 청량리(현 숭인원)에 처음 장사지냈으며, 1919년 1월 16일 현재 위치로 능을 옮겼다.
능 상설(象設)의 두드러진 특징은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선포에 따라 고종이 황제가 되면서 능역 조성도 명나라 태조의 효릉(孝陵) 방식을 따랐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없었던 구조물이 대폭 확장되었다.
능침의 호석(護石)인 양석(羊石)과 호석(虎石) 대신 능침 앞에서부터 기린, 코끼리, 사자, 해치, 낙타 각 1쌍, 마석(馬石) 2쌍을 2단의 하대석 위에 올려놓았다. 또, 종래의 정자각(丁字閣) 대신 일자형(一字形)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寢殿)을 세웠으며, 문인석의 금관조복(金冠朝服)과 무인석의 성장(盛裝)이 강조되었다.
유릉은 조선왕조 마지막 왕인 순종과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 민씨(閔氏),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윤씨(尹氏)의 묘소로 묘좌유향(卯坐酉向)한 동봉이강릉이다. 순종은 1926년 4월 25일 대조전(大造殿)에서 53세로 승하해 같은 해 6월 11일 이곳에 초장봉릉되었다.
순명효황후 민씨는 1904년(광무 8) 9월 28일 경운궁 강태실(康泰室)에서 33세로 죽어 같은 해 11월 29일 양주군 용마산 내동(현재 어린이대공원 경내)에 초장되어 유강원(裕康園)이라 하였다. 1907년(강희 1) 황후로 추봉되고 능호도 유릉이 되었으며, 1926년 6월 5일 이곳에 천릉되었다.
순정효황후 윤씨는 1966년 1월 13일 72세로 죽어 이곳에 묻혔다. 능의 상설로 홍살문과 석물 침전은 일직선상이나 능침은 옆으로 비꼈으며, 현대 감각을 주는 문인석과 무인석은 사실적으로 입체감을 잘 나타내고 있다.
홍유릉의 상설 규모로는 각기 곡장(曲墻) 3면, 연화(蓮花)와 모란문(牡丹文)이 조각된 병풍석 12면, 난간석 12칸, 혼유석 1, 망주석 2, 명등석 1, 침전 1, 비각 1, 표석 1, 망료위(望燎位) 1, 문인석 2, 무인석 2, 기린석 2, 상석(象石) 2, 사자석 2, 해태석(獬豸石) 2, 낙타석 2, 마석 4, 홍살문 1, 재실 1, 수라간·수복방·금천교 등이 있어 전통적인 제도를 따르고 있다. 유물로는 제기류(祭器類) 7점이 있다.
[南楊州洪陵과裕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
홍유릉 입구의 모습
홍유릉 입구의 모습
홍유릉 입구의 모습
홍유릉의 숲
홍유릉 연지
홍유릉 연지의 연꽃
홍유릉 연지의 연꽃
홍유릉 연지의 연꽃
홍유릉 연지의 연꽃
홍유릉 연지의 연꽃
홍릉 재실
홍릉 재실
홍릉 재실
홍릉 홍살문과 침전
홍릉의 석수
홍릉의 석수
홍릉 침전
홀릉 재실
홍릉 침전에서 본 홍살문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 침전
홍릉의 향나무
홍릉 비각
홍릉 비석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모습
홍릉의 소나무
홍유릉의 소나무
유릉 재실
유릉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 홍살문과 침전
유릉의 모습
유릉 석수
유릉 석수
유릉의 모습
유릉 침전
유릉 비각
유릉 비석
유릉 침전
유릉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 침전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 재실
유릉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의 모습
유릉 재실
유릉 재실
유릉 재실
유릉 재실
유릉 재실
유릉의 모습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왕릉,묘,무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릉.정릉 (2016.05.20) (0) | 2016.05.20 |
---|---|
사육신묘 (2016.05.16) (0) | 2016.05.16 |
사릉 (2016.05.07) (0) | 2016.05.07 |
서울 석촌동 고분군(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2016.04.29) (0) | 2016.04.29 |
방이동 백제고분군(서울 방이동 고분군) (2016.04.29) (0) | 2016.04.29 |